$\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가에 대한 생애주기 관점과 여가생활주기 단계별 모형 개발
Proposal on the Leisure life Cycle Model by Approaching life Cycle of Leisure Activit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4 = no.106, 2010년, pp.103 - 115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pproached the leisure with the step of life cycle, analyzing the process of leisure career and leisure development in individual life. The leisure life cycle leads the other related studies by examining the concepts of continuity, change, leisure socialization, and leisure career. It als...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고동우(2007). 여가학의 이해. 서울. 세림출판사. 

  2. 김미숙(1998). 고령화사회의 사회보장정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23, 31-44. 

  3. 김종인 . 우주형 . 이준우(2007). 장애인 복지론. 서울: 서현사 

  4. 김종환(1995). 생애주기에 따른 대도시 주민의 여가활동유형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진욱(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6. 김태주(2002). 지속이론(Continuity)에 대한 고찰. 대구산업 정보대학 논문집, 16, 307-314. 

  7. 노용구 외 20 인공저 (2008). 여가학총론. 서울: 레인보우. 

  8. 보건복지부(2000). 고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과 노인을 위한 유엔원칙. 

  9. 이한숙 . 강봉화(2007). 여가스포츠 참가 직장인의 여가만족과 직무만족간에 신체적 효능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1, 1429-1441. 

  10. 정경희(2004). 인구고령화와 연령통합 사회, 사회연구(한국사회조사연구소), 7, 11-26. 

  11. 최태은(1993). 생애주기와 성별에 따른 여가의 주관적 자유 인지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통계청(2005), 200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보고서. 

  1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여가 그리고 정책. 서울: 대왕사. 

  14. 홍성희 . 김성희(2000). 공공시설의 여가프로그램 이용실태 분석-중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97-113 

  15. Bammel, G. & Bammel, L. B.(2006), Leisure & Human Behavior 여가와 인간행동, 하동현.황성혜(공역). 서울: 백산출판사 (1995년 '원저발간') 

  16. Bammel, G., & Bammel, L. L.(1996). Leisure & Human Behavior(3rd ed.). Madison Dubuque, IA: Brown & Benchmark. 

  17. DeCarlo, T. J.(1974). Recreation participation patterns and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29(4), 416-422. 

  18. Goodbey, J.(2003). Leisure in your life: An exploration. PA: Venture Publishing Inc. 

  19. Goodbey. G.(1985). Leisure in your life: An exploration. State College. Pennsylvania: Venture Publishing, Inc.. 

  20. Gordon, C., Gaitz, C. M, & Scott, J.(1976). Leisure and Lives: Personal expressivity across the life span. In R. H. Binstock & E. Shanas(Eds.),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pp.301-341).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 

  21. Heuser, L.(2005). We're not too old to play sports: the career of women lawn bowlers. Leisure Studies, 24. 45-60. 

  22. Iso-Ahola, S. E.(1980).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isure and recreation. Iowa: WM. C. Brown Company. 

  23. Iso-Ahola, S.E., Dunn, E. and Jackson, E. (1994). Starting, Ceasing, and Replacing Leisure Activities Over the Life Spa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6(3). 227-249. 

  24. Kelly, J. R, & Godbey, G.(1992). The sociology of leisure. Venture Publishing. 

  25. Kelly, J. R. & Freysinger, V. J.(2000). 21st century leisure: Current issues. Boston: Allyn and Bacon. 

  26. Kleiber, D. A. & Kelly, J. R.(1980). Leisure, socialization, and the life cycle, in S.E. Iso-Ahola(Eds)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isure and recreation, Charles C. Thomas. 

  27. Mobily, K. E.(1992). Leisure, lifestyle, and life span. M. L. Teaque & R. D. MacNeil(Eds.). Aging & leisure. Brown & Benchmark. 

  28. Rapoport. R. & Rapoport. R.(1975).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29. Roberts, K.(2006). Leisure in Contemporary Society. UK:CABI. 

  30. Sadler, W.(2007). The Third Age. US: Da Capo Press. 서드에이지, 마흔 이후 30년. 김경숙(역). 서울: 사이. (2000년 원저발간) 

  31. Scott, D. & Willits, F. K.(1998). Adolescent and adult leisure patterns: a reassess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D, 319-330. 

  32. 한국 통계청 국가통계포탈 홈페이지, www.kosis.kr 

  33. 미국 노동통계국 홈페이지, www.bls.gov/tus 

  34. 뉴질랜드 통계청 홈페이지, www.stats.govt.nz 

  35. 영국 통계청 홈페이지, www.statistics.gov.u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