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그린에너지 리소스 - 미생물연료전지 원문보기

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v.52 no.3, 2010년, pp.2 - 9  

장재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미해군성은 해저에 배치된 전기장비에 전원을 공급할 목적으로 해저 퇴적물에서 얻어 이들 군사장비에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연구를 하였다<;그림 4>.
  • 본 글의 목적은 미생물연료전지 기술 개발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그리고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및 향후 전망을 통해서 소개 하고자 하는 것이다.
  • 미국을 중심으로 미생물연료전지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미생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The Institute For Genome Research (TIGR)를 통하여 Geobacter sulfureducens의 전체 genome sequencing 작업을 완료하였으며 이 결과를 2003년 Science지에 발표하였다. 이들 미생물에서 전극으로 전자전달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연구하고 있다. 미국 남가주대학의 Nealson 교수와 Craig Venter Institute의 Gorby박사는 미생물의 pili를 통해 전자가 미생물에서 전극으로 전달-nanowire-된다는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그림 3>.
  • 신재생에너지원 개발과 더불어 최근 zero-waste society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폐기물이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처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서, 이제는 자원 순환형 사회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효율적 생산, 폐기물 발생 최소화 그리고 발생된 폐기물은 재활용하거나 에너지로 환원시키는 방향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즉, 생산 단계부터 폐기물 발생을 컨트롤하여 환경적으로 안전하게 배출하고, 최소한으로 폐기물이 발생된다 하여도 폐기물을 에너지 리소스로 이용하자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오염, 자원고갈, 그리고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 기후현상 등환경재해와 에너지 자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진국의 대책은? 최근 환경오염, 자원고갈, 그리고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 기후현상 등 환경재해와 에너지 자원문제는 앞으로 국가의 존폐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 세계가 직면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에도 불구하고 화석에너지의 고갈에 대비한 적극적인 대책마련과 지구환경의 보전이라는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과감한 투자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화석연료의 고갈에 대비한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지속적인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분야임에는 분명하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폐기물, 지열,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 11개의 분야로 구분되는데 각 분야별 연구개발 및 보급이 활발하게 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IT, BT, NT 기술 집약된 분야로 가까운 미래 차세대 산업으로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따라서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운영되어야 한다.
미생물연료전지 연구가 지지부진해진 이유는? 미생물연료전지는 영국과학자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이 기술을 우주선의 배설물을 재활용하는 연구에 이용하였지만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이 제한적이고 전자전달을 위하여 사용하였던 매개체(mediator)가 페놀계 화합물질이 많아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미생물에도 영향을 미쳐 장기적으로 운전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미생물연료전지 연구가 지지부진해졌다<그림 1>. 미생물연료전지는 미생물세포 안에서 환원되고 전극표면에서 산화될 수 있으며, 세포막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물질매개체 (mediator)-을 통해서만 미생물과 전극간의 전자전달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im BH, Kim HJ, Hyun MS, Park DH. 1999(a). Direct electrode reaction of Fe (III) reducing bacterium, Shewanella putrefacience. J. Microbiol. Biotechnol. 9:127-131. 

  2. Kim HJ, Hyun MS, Chang IS, Kim BH. 1999(b) A microbial fuel cell type lactate biosensor using a metal-reducing bacterium, Shewanella putrefaciens. J. Microbiol. Biotechnol. 9, 365-367. 

  3. Chang IS, Jang JK, Gil GC, Kim M, Kim HJ, Kim BH. 2004. Continuous determination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using a microbial fuel cell type novel biosensor, Biosens. Bioelectron. 19, 607-613. 

  4. Jang, J.K.; Pham,T.H.; Chang, I.S.; Kang, K.H.;Moon, H.; Cho, K.S.; Kim, B.H. 2004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novel mediator- and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Process biochemistry, 39, 1007-1012. 

  5. Jang, J.K.; Chang, I.S.; Moon H.; Kang, K.H.; Kim, B.H. 2007 Nitrilotriacetic acid degradation under microbial fuel cell environment. Biotech.Bioeng., 95, 772-774. 

  6. Liu H, Ramnarayanan R, Logan BE. 2004. Production of Electricity during Wastewater Treatment Using a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8(7), 2281-2285. 

  7. Logan BE. 2009. Exoelectrogenic bacteria that power microbial fuel cells. Nature Rev. Microbiol., 7(5):375-381. 

  8. Catal T, Bermek H, Liu H. 2009. Removal of selenite from wastewater using microbial fuel cells. Biotechnology letters, 31(8), 1211-1216. 

  9. Zhao F, Rahunen N, Varcoe JR, Chandra A, Avignone-rossa C, Thumser AE, Slade RCT. 2008. Activated Carbon Cloth as Anode for Sulfate Removal in a Microbial Fuel Cell. Environ. Sci. Technol. 42, 4971-4976 

  10. Cheng S. and Logan BE. 2007. Ammonia treatment of carbon cloth anodes to enhance power generation of microbial fuel cells. Elec. Comm. 9, 492-496. 

  11. Gorby YA, Yanina S, McLean JS, Rosso KM, Moyles D, Dohnalkova A, Beveridge TJ, Chang IS, Kim BH, Kim KS, Culley DE, Reed SB, Romine MF, Saffarini DA, Hill EA, Shi L, Elias DA, Kennedy DW, Pinchuk G, Watanabe K, Ishii H, Logan B, Nealson KH, Fredrickson JK. 2006. Electrically conductive bacterial nanowires produced by Shewanella oneidensis strain MR-1 and other microorganisms. PNAS, 103, 11358-11363. 

  12. Lovley DR. 2006. Microbial energizers: Fuel cells that keep on going. Microbe 1(7):323-329. 

  13. Fan Y, Hu H, Liu H. 2007. Enhanced Coulombic efficiency and power density of air-cathode microbial fuel cells with an improved cell configuration. Journal of Power Sources 171, 348-354. 

  14. Yuzvinsky TD and Nealson KH. 2010. Bacterial nanowires and electricity generation in microbial fuel cell. The electrochemical society 217th ECS meet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