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랑카위 지질공원의 고생대 퇴적층: 한반도 고생대 퇴적층과의 대비
Paleozoic Strata in the Lankawi Geopark, Malaysia: Correlation with Paleozoic Strata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3 no.4, 2010년, pp.417 - 427  

유인창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랑카위 군도는 말레이 반도 서부해안 타일랜드-말레이시아 국경 부근 30 km 서쪽 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479km^2$에 걸쳐 99(+5)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식물에서의 생물학적 다양성과 함께 랑카위 군도는 암석의 다양성, 풍광의 다양성 및 화석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지질학적 다양성도 보여준다. 이러한 생물학적 다양성과 지질학적 다양성은 랑카위 군도를 동남아시아의 새롭게 떠오르는 생태관광 중심지로 이끌었으며, 결과로 2007년 7월 1일 유네스코에 의해 동남아시아 최초의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오늘날의 랑카위 지질공원의 지질학적 다양성은 고생대 동안의 다양한 퇴적계와 고환경 하에서의 오랜 퇴적사와 함께 중생대 초까지 일어났던 지구조 및 마그마 활동에 이어 현재의 아름다운 풍광으로 침식시킨 지표작용의 결과이다. 랑카위 지질공원에 노출되어 있는 고생대 퇴적층은 하부로부터 캠브리아기의 Machinchang층, 오오도비스-데본기 초기의 Setul층, 데본기 후기-석탄기의 Singa층 및 페름기의 Chuping층을 포함하는 4개의 층으로 세분된다. 이러한 퇴적층은 섬의 동쪽으로 갈수록 젊어지나, 섬의 동부에서 Kisap 트러스트에 의해 단절되어진다. 상부가 서쪽으로 이동되어진 키삽 트러스트는 시대가 오래된 Setul층(그리고 아마도 Machinchang층과 함께)을 동쪽으로부터 이동시켜 섬의 중앙 축 부군에서 시대가 젊은 Chuping층 또는 Singa층 상위에 올려놓았다. 트라이아스기 Gunnung Raya 화강암은 고생대 퇴적층들을 관입하여 부분적으로 다양한 접촉 변성작용을 일으켜 지역적으로 주석을 함유하는 광상을 형성시켰다. 트라이아스기 이후의 지질역사는 랑카위 군도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있어 쥬라기 초기 이후 랑카위 군도의 암석들은 열대성 풍화의 영향을 받아왔으며 그 영향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열대성 풍화 현상은 오늘날의 랑카위 군도의 아름다은 풍광을 만들어 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ankawi archipelago is located in 30 km western offshore near the Thailand-Malaysia border in west coast of the Malay Peninsula and consists of 99 (+5) tropical islands, covering an area of about $479km^2$. Together with biodiversity in flora and fauna, the Lankawi archipelago displ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지질답사에서는 랑카위 세계지질공원 내 3곳의 지질 숲 공원을 3일에 걸쳐 답사하고 이곳에 보존되어있는 지질명소들의 지질학적 의미와 함께 공공적 보존 가치와 지질학적 다양성에 대한 토론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랑카위 세계지질공원 내에 분포하는 고생대 퇴적층을 한반도 태백산 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퇴적층(캠브로-오오도비스기의 조선 누층군 및 석탄기 후기 -삼첩기 초기의 평안누층군)과의 층서대비를 통해 향후 한반도 태백산 지역의 지질공원 수립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들을 수집토록 한다.
  • 한다. 아울러 본랑카위 세계지질공원 내에 분포하는 고생대 퇴적층을 한반도 태백산 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퇴적층(캠브로-오오도비스기의 조선 누층군 및 석탄기 후기 -삼첩기 초기의 평안누층군)과의 층서대비를 통해 향후 한반도 태백산 지역의 지질공원 수립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들을 수집토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li, C.A., Mohamed, K.R., Leman, M.S., Komoo, I. and Unjah, T. (2008) Field guide to geology of Langkawi Geopark. Universiti Kebangsan Malaysia, 82p. 

  2. Bank Negara Malaysia (2007) Annual report 2006: Kuala Lumpur, Malaysia, Bank Negara Malaysia, 142p. 

  3. Cheong, C.H. (1969)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1).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5, p. 13-56. 

  4.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v. 52, p. 175-235. 

  5. Cocks, L.R.M., Forteya, R.A. and Lee, C.P. (2005) A review of Lower and Middle Palaeozoic biostratigraphy in west peninsular Malaysia and southern Thailand in its context within the Sibumasu Terran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 24, p. 703-717. 

  6. Lee, C.P. (2006) The Cambrian of Malaysia. Palaeoworld, v. 15, p. 242-255. 

  7. Leman, M.S., Komoo, I., Mohamed, K.R., Ali, C.A., Unjah, T., Othman, K. and Yasin, M.H.M. (2008) Geology and geoheritage conservation within Langkawi Geopark, Malaysia (unknown source). 

  8. Metcalfe, I. (2006) Palaeozoic and Mesozoic tectonic evolution and palaeogeography of East Asian crustal fragments: The Korean Peninsula in context. Gondwana Research, v. 9, p. 24-46. 

  9. Metcalfe, I. (2000) The Bentong-Raub Suture Zon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 18, p. 691-712. 

  10. Ree, J.H., Cho, M., Kwon, S.T. and Nakamura, E. (1996) Possible eastward extension of Chinese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The Imjingang belt. Geology, v. 24, p.1071-1074. 

  11. Schwartz, M.O., Rajah, S.S., Askury A.K., Putthapiban, P. and Djaswadi, S. (1995) The Southeast Asian tin belt. Earth-Science Reviews, v. 38, p. 95-2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