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3 no.3, 2010년, pp.187 - 197
The paleoseismological study in Korea has begun along the Yangsan fault zone (YFZ) and Ulsan fault zone (UFZ) since 1994. Some evidences related to late Quaternary movement are found at only some part of the YFZ, such as Pyonghae, Yuge, and Eonyang-Tongdosa areas. However, it is found along the mos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고지진학적인 연구란 무엇인가? | 고지진학적인 연구란 현재 활동 중이거나 가까운 과거에 활동한 이력이 있는 단층, 습곡 등의 지질구조에 대한 조사로서, 이들 지질구조가 과거 역사시대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시기에 어느 정도의 크기와 시간 간격을 갖고 지진활동을 유발하여 왔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는 주로 제4기(최근 약 200만년) 후기에 들어와 활동한 활동성 지질구조의 위치, 길이, 폭, 단층면의 면적, 형태 등의 기하학적 특성, 이동방향, 단위 이동거리, 단층의 분절화, 단층에 대한 광역 지구조 응력 방향, 다른 지질구조와의 연관성, 최대 잠재지진의 크기, 재래 주기(변위이력과 연관) 등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의미한다. | |
단층 활동의 장기적인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무엇이 매우 중요한가? | 역사시대에 발생한 지진의 지진단층 규명은 현재로서 역사 문헌상에 지형변위에 대한 부분적인 서술이 있지만 야외에서 지형 및 지질학적인 증거를 아직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단층 활동의 장기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데는 역사 시대 뿐만 아니라 역사시대 이전인 현세 및 제4기 후기에서의 지진활동의 증거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
본 논문에서 양산 및 울산단층대에 대해서 실행한, 제4기 후기 단층운동 조사를 통해 밝혀진 고지진 활동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 가. 양산단층대의 경우, 긴 단층대와 단층대에 평행한 단층을 따라 평해, 유계, 언양-통도사 등에서 부분적으로 고지진 활동을 나타내고, 각 지역에 여러 회의 단층운동 기록을 보여준다. 양산단층대를 따라 제4기후기 동안 단층운동이 일부 구간에 국한되었을 가능성과 전 구간에 단층운동이 있었다 하더라도 일부 지역에서만 그 흔적이 나타날 가능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로 단정하기 어렵지만, 양산단층이 몇 개의 분절로 구분되고, 각 분절의 활동시기가 다른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나. 울산단층대의 경우 단층의 북부와 남부 일부를 제외하고 전 구간에서 단층운동 기록이 나타난다. 단층운동의 특성은 양산단층은 주로 우수주향이동이 우세하며, 울산단층은 역단층 운동이 우세하였다. 이는 이 지역 일대에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지진들의 단층운동 감각과 유사함을 보인다. 다. 고지진에 의한 단층운동의 이력을 보면 양산단층의 경우 유계지역 일부를 제외하고 주로 20여만년 이전 기록이 대부분이다. 한편, 울산단층의 경우 운동 시기는 30만년전 이후 수천년 전까지로 매우 최신까지의 기록이 나타나, 양산단층보다 최근까지 활동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라. 평균변위율을 통해 단층의 활동도를 평가하는 일본의 경우에 대비할 경우, 양산단층의 평균변위율인 0.1 ~ 0.04 m/ka은 C 등급에 해당하며, 울산단층대의 평균변위율인 0.2 ~ 0.06 m/ka는 B-C 경계 등급에 해당한다. 마. 각 단층대의 일부 구간에서 외국의 최대변위−규모의 경험식에 기초하여 평가한 최대지진의 규모는 양산단층대의 유계단층에서는 평균 6.8, 울산단층대의 갈곡단층에서는 7.0의 값을 얻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역사시대 동안 있었던 피해 지진의 상세한 지표 변이에 대한 기록이 미흡하고 지진의 규모와 단층과의 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지진 사례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최대지진 평가는 국외의 경험식에 비추어 평가해야 하므로 그 결과에 불확실성이 내재될 수 밖에 없다. 바. 지진의 재래주기는 극히 일부 단층에서만 추정되었으며, 울산 단층대의 갈곡단층에서 약 7 ka, 개곡단층에서 약 15 ka 로서 비교적 긴 재래주기를 나타낸다. |
경재복, 2002, 양산단층대 남부 상천리 일대의 신기단층운동에 대한 트렌치 조사, 한국자원공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대한지질학회 2002년도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293-297.
경재복, 2007, 제4기 후기 이후 양산단층대 및 울산단층대의 고지진학적 특성, 한국의 지질 논문집 제3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5-117.
경재복, 이기화, Okada, A., Watanabe, M., Suzuki Y., and Takemura, K., 1999a, 양산단층대 남부 상천리 일대의 트렌치 조사에 의한 단층특성 규명, 지구과학회지, 20, 101-110.
경재복, 이기화, Okada, A., 1999b, 양산단층대의 고지진학적 연구 -변위지형 분석 및 트렌치 조사-. 지구물리, 3, 155-168.
경재복, 장태우, 2001, 양산단층대 북부 유계리일대의 신기 단층운동, 지질학회지, 37, 563-577.
김영석, 진광민, 2006, 트렌치 단면의 단층변위 자료를 이용해 산정한 유계단층의 지진규모, 지질학회지, 42, 79-94.
류충렬, 이봉주, 손문, 이융희, 최성자, 최위찬, 손문, 2002,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의 제4기 단층, 지질학회지, 38, 309-323.
손문, 이융희, 김인수, 장태우, 2001, 울산시 북구 농소1동 차일마을 제4기 역단층(차일단층), 대한지질학회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65p.
양주석, 2006, 한반도 남동부의 제4기 단층운동, 강원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학위논문, 382p.
이희권, 2002, 단층암에 대한 ESR 연대측정 연구, 강원대학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KINS/HR-474, 42p.
이희권, 2003, 단층암에 대한 ESR 연대측정 연구, 강원대학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KINS/HR-540, 48p.
장천중, 장태우, 1998, 고응력 분석을 통한 양산단층의 구조 운동사, 지질공학회지, 8, 32-49.
장태우, 2001, 울산단층 동쪽지괴의 제4기 조구조 운동, 지질학회지, 37, 431-444.
정봉일, 1981, 한국의 고지진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4, 257- 268.
채병곤, 장태우, 1994, 청하-영덕지역 양산단층의 운동사 및 관련 단열발달상태, 지질학회지, 30, 379-394.
최범영, 이창범, 류충렬, 최영섭, 김주용, 현혜자, 김유성, 김중렬, 최위찬, 2002, 제4기 말방단층의 기하분석: 시추자료 및 지표자료의 해석, 지질학회지, 38, 163-174.
최원학, 2003, 경주-울산간 신기 지체구조 운동의 연구,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205p.
최원학, 이종림, 장천중, 연관희, 강금석, 박동희, 2005, 단층 변위속도 평가 및 분정화 국제공동연구, 한전 전력연구원, 227.
최위찬, 이동영, 이봉주, 류충렬, 최범영, 최성자, 조등룡, 김주용, 이창범, 기원서, 양동윤, 김인준, 김유숙, 유장한, 채병곤, 김원영, 강필종, 유일현, 이희권, 1998, 활성단층 조사평가 연구 -한반도 동남부 지역-, 한국자원연구소, 301 p.
최위찬, 최성자, 조등룡, 이영준, 류충렬, 고인세, 신현모, 송미 주, 이진한, 권성택, 이희권, 최광선, 2000, 신기지각변형연구, 한국자원연구소, 278 p.
Bonilla, M. G., Mark, R. K., and Lienkaemper, J. J., 1984, Statistical relations among earthquake magnitude, surface rupture length, and surface fault displacement. Bulletin of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4, 2379-2411.
Chang, K., Woo, B., Lee, J., Park, S., and Yao, K., 1990,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ongsang Bas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6, 471-487.
Cheong, C.-S., Hong, D. G., Lee, K. S., Kim, J. W., Choi, J. H., Murray, A. S., Chwae, U., Im, C. B., Chang, C. J., and Chang, H. W., 2003, Determination of slip rate by optical dating of fluvial deposits from the Wangsan fault, SE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2, 1207-1211.
Choi, H. I., Oh, J. H., Shin, S. C., and Yang, M. Y., 1980, Ge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Gyeongsang strata in Ulsan area, Korea Institute Geology, Mining & Materials Bulletin, 20, 33.
Iida, K., 1965, Earthquake magnitude, earthquake fault, and source dimensions, Journal of Earth Science, Nagoya University, 13, 115-132.
Inoue, D., and Choi, W. H., 2006, The Activity of the Ulsan Fault System Based on Marine Terrace Age Study at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CLIEPI Report: N05012, Central Rease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83p.
Jolivet, L., Huchon, P., Pichon, X., Chamot-Rooke, N., and Thomas, C., 1991, Arc deformation and marginal basin opening: Japan Sea as a case stud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6, B3, 4367-4384.
Kanamori, H., 1977, The energy release in great earthquak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2, 2981-2987.
Khromovskikh, V. S., 1989, Determination of magnitudes of ancient earthquakes from dimensions of observed seismodislocations, Tectonophysics, 166, 1-12.
Kyung, J. B., 2003, Paleoseismology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nals of Geophysics, 46, 983-996.
Lee, H.-K., and Schwarcz, H. P., 2001, ESR dating of the subsidiary faults in the Yangsan faults systems,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0, 999-1003.
Lee, Kiehwa, and Yang Woo-Sun, 2006, Historical Seismicity of Ko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6(3), 846-855.
Lee, Kiehwa, and Jin, Y. K., 1991, Segmentation of the Yangsan fault system: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Kyeongsang basin,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434-449.
Lee, Kiehwa, and Na, S. H., 1983,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along the Yangsan fault,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9, 127-135.
Mason, D. B., 1992, Earthquake magnitude potential of active faults in the intermountain seismic belt from surface parameter scaling. M.S. Thesis, University of Utah, Salt Lake City, U.S.A.
Matsuda, 1975, Earthquake magnitude and return period from active fault, Journal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Japan (Jisin), 28, 269-283 (in Japanese).
Okada, A., Watanabe, M., Sato, H., Jun, M. S., Jo, W. R., Kim, S. K., Jeon, J. S., Chi, H. C., and Oike, K., 1994, Active fault topography and trench survey in the central part of the Yangsan fault, south Korea. Journal of Geography (in Japanese), 103, 111-126.
Okada, A., Takemura, K., Watanabe, M., Suzuki, Y., and Kyung, J. B., 2001, Trech excavation survey across the Yangsan and Ulsan fault system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ransaction, Japanese Geomorphological Union, 22, 287-306.
Okada, A., Takemura, K., Watanabe, M., Suzuki, Y., Kyung, J. B., and Chae, Y. H., Taniguchi, K., Ishiyama, T., Kawabata, D., Kaneda, H., and Naruse, T., 1999, Trench excavation survey across the Ulsan (active) fault at Kalgok-ri, Kyonju city, southeast Korea (in Japanese), Journal of Geography, 108, 276-288.
Okada, A., Watanabe, M., Suzuki, Y., Kyung, J. B., Jo, W. R., Kim, S. K., Oike, K., and Nakamura, T., 1998a, Active fault topography and fault outcrops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system, southeast Korea. Journal of Geography (in Japanese), 107, 644-658.
Okada, A., Watanabe, M., Suzuki, Y., Takemura, K., Ishiyama, T., Kawabata, D., Kaneda, H., Kyung, J. B., and Chae, Y. H.,1998b, Activity evaluation of the active faults of the Ulsan fault system, southeast Korea, Proc. in Geographical Society of Japan, o-38 (in Japanese).
Otsuki, K., and Ehiro, M., 1978, Major strike-slip faults and their bearing on spreading in the Japan Sea, Journal of Physics of the Earth, 26, 537-556.
Ree, J.-H., and Kwon, S.-T., 2005. The Wangsan Fault: One of the most 'active' faults in South Korea?, Geoscience Journal, 9, 223-226.
Slemmons, D. B., 1982, Determination of design earthquakes magnitudes for microzonation. In proceeding International Earthquake Microzonation, Conference, Seattle, WA,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1, 110-130.
Suzuki, Y., Okada, A., Takemura, K., Kyung, J. B., Kim, H. Y.,Hirouchi, D., Ito, A., Ooishi, K., Nakamura, Y., Naruse, T., Kitagawa, H., and Watanabe, M., 2005, Paleoseismic activity at the northern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 Excavation study at Kalgok-ri, Kyongju city, southeast Korea (in Japanese). Active Fault Research, 25, 147-152.
Wells, D. L., and Coppersmith, K. J., 1994, New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magnitude, rupture length, rupture area, and surface displacement, Bulletin of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4, 974-1002.
Yoon, S., and Kim, J. Y., 1990, Tectonic history of the Yangsan Fault, south 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cific Neogene Events, their timing, nature and interrerationship, edited by R. Tsuchi, University of Tokyo Press, 151-16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