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보행 비대칭성과 속도, 하지 운동 기능과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Gait Asymmetry, the Gait Velocity and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3, 2010년, pp.385 - 394  

남형천 (경북전문대학 물리치료과) ,  김성렬 (경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안승헌 (국립재활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and severity of asymmetry in independently ambulating stroke survivors and to establish the association between gait asymmetry, velocity, and the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Methods :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3 subjects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적 활동 수준과 장애 정도와의 관련성에 의해 보행 속도와 대칭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의 시, 공간적인 비대칭정도에 관련한 보행 속도와 FM-L/E 및 보행의 대칭성 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적 활동 수준과 장애 정도와의 관련성에 의해 보행 속도와 대칭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의 시, 공간적인 비대칭정도에 관련한 보행 속도와 FM-L/E 및 보행의 대칭성 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의 .공간적인 비대칭정도에 관련한 보행 속도와 FM-L/E 및 보행의 대칭성 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let L, Leemann B, Guyen E, et al. Effect of different walking aids on walking capacity of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8):1408-13 . 

  2. Anderson TP.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complete stroke. In: Kottke FJ, Lehmann JF.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90. 

  3. Bilney B, Morris M, Webster K. Concurrent related validity of the GAITRite walkway system for quantification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rameters of gait. Gait Posture. 2003;17(1):68-74. 

  4. Bohannon RW. Gait performance of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elected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1987;68(11):777-81. 

  5. Bohaonon RW. Strength of lower limb related to gait velocity and cadence in stroke patient. Physiotherapy Canada 1986;38(4):204-6. 

  6. Brandstater ME, deBruin H, Gowland C, et al. Hemiplegic gait: analysis of temporal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1983;64(12):583-7. 

  7. Cohen E. Gait asymmctry and step to step variability post stroke [dissertation]. Toronto: Univ Toronto; 2004. 

  8. Davis BL, Ortolano M, Richards K, et al. Realtime visual feedback diminishes energy consumption of amputee subjects during treadmill locomotion. J Prosthet Orthot. 2004;16(2):49-54. 

  9. Draper ER. A treadmill-based system for measuring symmetry of gait. Med Eng Phys. 2000;22(3): 215-22. 

  10. Duncan PW, Propst M, Nelson SG.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Phys Ther. 1983;63(10):1606-10. 

  11.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Scand J Rchabil Med. 1975;7(1):13-31. 

  12. Griffin MP, Olney SJ, McBride ID. Role of symmetry in gait performance of stroke subjects with hemiplegia. Gait & Posture. 1995;3(3):132-42. 

  13. Holden MK, Gill KM, Magliozzi MR. Gait assessment for neurologically impaired patients. standards for outcome assessment. Phys Ther. 1986;66(10): 1530-9. 

  14. Hornby TG, Campbell DD, Kahn JH, et al. Enhanced gait-related improvement after therapist-versus robotic-assisted locomotor training in subject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Stroke. 2008;39(11):1786-92. 

  15. Hsu AL, Tang PF, Jan MH.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185-93. 

  16. Kim CM, Eng JJ. Symmetry in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is accompanied by symmetry in temporal but not distance variables of gait in persons with stroke. Gait & Posture. 2003;18(1): 23-8. 

  17. Lin P, Yang Y, Cheng S, et al. The relation between ankle impairments and gait velocity and symmetry in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4):562-8. 

  18.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 (2):234-9. 

  19. McDonough AL, Batavia M, Chen FC, et a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GAITRite system's measurements: a preliminary evalu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3):419-25. 

  20. Michael KM, Allen JK, Macko RF.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of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 1552-6. 

  21. Nadeau S, Aresemault AB, Gravel D, et al. Analysis to the clinical factors determinating natural and maximal gait speeds in adults with a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1999;78(2):123-30. 

  22. Olney SJ, Griffin MP, McBride ID. Temporal,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related to gait speed in subjects with hemiplegia: a regression approach. Phys Ther 1994;74(9):872-85. 

  23. Patterson KK.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ambulation in chronic stroke survivors. [dissertation]. Toronto: Univ Toronto. 2006. 

  24. Patterson KK, Parafianowicz I, Danells CJ, et al. Gait asymmetry in community-ambulating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8;89(2): 304-10. 

  25.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 

  26. Platts MM, Rafferty D, Paul L. Metabolic cost of overground gait in younger stroke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Med Sci Sports Exerc. 2006;38 (6):1041-6. 

  27. Roth EJ, Merbitz C, Mroczek K, et al. Hemiplegic gait: relationships between walking speed and other temporal parameters. Am J Phys Med Rehabil. 1997;76(2):128-33. 

  28. Taylor D, Stretton CM, Mudge S, et al. Does clinic-measured gait speed differ from gait speed measured in the community in people with stroke? Clin Rehabil. 2006;20(5):438-44. 

  29. Wall JC, Tumbull GI. Gait asymmetries in residual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86;67(8): 550-3. 

  30. Yan T, Hui-Chan CW, Li L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mproves motor recovery of the lower extremity and walking ability of subjects with first acute strok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Stroke. 2005;36(1):8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