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진적 체중지지와 보행속도 증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ait Training of Progressive Increasing in Body Weight Support and Gait Speed o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5 no.5, 2013년, pp.252 - 259  

김성훈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gressive body weight decrease combined with increasing level of overground walking speed training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Eightee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were composed of the control group (5% body weight sup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체중이 지지되고 있으며 안전하게 보행 훈련이 실시되고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또한, 트레드밀 속도를 증가시키는 보행 훈련과제에서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적인 지면 보행속도에 근접한 안정적인 최대 보행속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체중지지를 이용한 트레드밀 훈련이 보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뇌졸중이 발병한지 6개월 이상 경과된 만성 뇌졸중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일정한 5%체중지지와 안정적인 최대 보행속도로 트레드밀 보행 훈련을 실시한 대조군 9명과 초기 5% 체중지지와 안정적인 최대 보행속도에서 시작하여 트레드밀 속도가 증가될수록 체중지지 비율을 증가시켜 상대적인 체중감소로 보행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실시한 실험군 9명으로 나누어 각각 20분씩주 3회, 4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 초기 체중지지 비율은 대조군, 실험군 모두 5%에서 시작하였다. 이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체중이 지지되고 있으며 안전하게 보행 훈련이 실시되고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또한, 트레드밀 속도를 증가시키는 보행 훈련과제에서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 Barbeau과 Visintin26는 트레드밀 속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보행을 촉진시키기 위해 체중지지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했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하네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체중감소와 지면 보행속도에 근접한 속도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지역사회 보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최초 트레드밀 속도는 10 m 최대보행속도를 기초로 하여 트레드밀에서 다리끌림 없이 보행할 수 있는 안정적인 최대보행속도로 보행훈련을 시작하였다. 점진적으로 트레드밀 속도를 0.1 km/h씩 증가시켜34 지면 보행속도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때, 대상자가 피로감 또는 통증을 호소하거나 호흡에 이상이 있을 시에는 이전속도로 유지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간 중재 전·후 보행 기능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간 중재 전·후 보행 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첫째, 체중지지 비율의 증가로 인한 상대적인 체중감소와 안정적인 최대 보행속도로 보행 훈련을 실시한 실험군과 일정한 체중지지와 안정적인 최대 보행속도로 보행 훈련을 실시한 대조군간 중재 전·후보행 속도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보행양상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은 질병 발생 후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40%에서는 보행을 위한 보조가 필요하고, 60%는 지역사회 보행에 제한을 받는다.6뇌졸중 후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보행양상은 감소된 보행 속도,7마비측의 짧은 입각기와 긴 유각기 등이며,8이러한 보행양상을 보상하기 위해 비마비측 하지에서는 증가된 입각기와 감소된 유각기를 나타낸다.9뇌졸중 후 치료의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는 보행 능력은 일상생활 수행 및 지역사회 환경으로의 복귀를 위해 필요하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파열, 폐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학적 손상을 일으키는 질병으로,1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그리고 의사소통 장애 등을 나타낸다.2,3뇌졸중 후 발생하는 보행 장애로 인해 80% 이상 환자에서 보행능력의 손상을 보이며,4급성뇌졸중 환자의 3분의 2는 독립적인 보행을 할 수 없다.
하네스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하네스 시스템으로 환자가 트레드밀에서 보행 훈련하는 동안 하지의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19 이 중재방법은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고,20 지면보행 훈련 동안 안전하게 보행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21 체중지지를 이용한 보행 재훈련은 지역사회 보행속도와 지구력, 기능적 균형 그리고 하지운동 회복에 있어서 더 성공적인 보행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im MH, Lee WH, Yun MJ. The effects on respiratory strength training on respiratory function and trunk control in patient with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12;24(5):340-7. 

  2. Yang DJ, Park SK, Lee JH, Kang JI, Chun DH. Influence of transition from the half-kneel to standing posture in hemipleg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1;23(5):49-56. 

  3. raun SM, Beurskens AJ, van Kroonenburgh SM et al. Effects of mental practice embedded in daily therapy compared to therapy as usual in adult stroke patients in dutch nursing homes: Design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ogy. 2007;7:34. 

  4. Wevers L, van de Port I, Vermue M et al. Effects of taskorientedcircuit class training on walking competenc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Stroke. 2009;40(7):2450-9. 

  5.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5;76(1):27-32. 

  6.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2):234-9. 

  7. Park SK, Kang YH. Effects of weight distribution and balance with foot orthotics in hemipleg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2;24(2):241-6. 

  8. Lee MS, Lee JH, Park SK, Kang JI. The effect of ankle joint taping applied to patients with hemiplegia on their gait velocity and joint angles. J Kor Soc Phys Ther. 2012;24(2):157-62. 

  9. Roth EJ, Merbitz C, Mroczek K et al. Hemiplegic gait: Relationships between walking speed and other temporal parameters1.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1997;76(2):128-33. 

  10. Kim MG, Kim JH, Park JW. The effect of turning training on figure of 8 tract on stoke patients' balance and walking. J Kor Soc Phys Ther. 2012;24(2):143-50. 

  11. Lee J, Lee KN. Effects of single-leg stance training of the involved leg on standing balance and mobility in patients with subacute hemiplegia. J Kor Soc Phys Ther. 2011;23(4):1-6. 

  12. m SJ, Jeon CB, Kim CS. The effect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methods on walking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1;23(3):21-7. 

  13. Lord SE, Rochester L. Measurement of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Stroke. 2005;36(7):1457-61. 

  14. Olney SJ, Richards C. Hemiparet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Characteristics. Gait & Posture. 1996;4(2):136-48. 

  15.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 

  16. Moseley AM, Stark A, Cameron ID et al. Treadmill training and body weight support for walking after stroke. Stroke. 2003;34(12):3006. 

  17. Kendrick C, Holt R, McGlashan K et al. Exercising on a treadmill to improve functional mobility in chronic stroke: Case report. Physiotherapy. 2001;87(5):261-5. 

  18. Traballesi M, Porcacchia P, Averna T et al. Energy cost of walking measurements in subjects with lower limb amputations: A comparison study between floor and treadmill test. Gait & Posture. 2008;27(1):70-5. 

  19. Visintin M, Barbeau H. The effects of parallel bars, body weight support and speed on the modulation of the locomotor pattern of spastic paretic gait. A preliminary communication. Spinal Cord.1994;32(8):540-53. 

  20. Fisher BE, Sullivan KJ. Activity-dependent factors affecting poststroke functional outcomes.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2001;8(3):31-44. 

  21. Norman KE, Pepin A, Ladouceur M et al. A treadmill apparatus and harness support fo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gai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5;76(8):772-8. 

  22. Hesse S, Bertelt C, Jahnke M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compared with physiotherapy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Stroke. 1995;26(6):976-81. 

  23. Sullivan KJ, Knowlton BJ, Dobkin BH. Step training with body weight support: Effect of treadmill speed and practice paradigms on poststroke locomotor recove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2;83(5):683-91. 

  24. Hesse S, Werner C, Paul T et al. Influence of walking speed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energy consumption during treadmill walking of hemiparet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1;82(11):1547-50. 

  25. Malouin F, Potvin M, Prevost J et al. Use of an intensive taskoriented gait training program in a series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ovascular accidents. Physical Therapy. 1992;72(11):781-9. 

  26. Barbeau H, Visintin M. Optimal outcomes obtained with bodyweight support combined with treadmill training in stroke subjec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84(10):1458-65. 

  27. Kim SY, Lee JH, An SH. The clinical application of modified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for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0;5(4):655-66. 

  28. Maureen K Holden, Kathleen M Gill, Marie R Magliozzi et al. Clinical gait assessment in the neurologically impaired. Reliability and meaningfulness. Physical therapy. 1984;64(1):35-40. 

  29. Hunt SM, McKenna S, Williams J. Reliability of a population survey tool for measuring perceived health problems: A study of patients with osteoarthrosi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1981;35(4):297-300. 

  30. Butland R, Pang J, Gross E et al. Two-, six-, and 12-minute walking tests in respiratory disease. British medical journal (Clinical research ed). 1982;284(6329):1607. 

  31.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995. 

  32. Lim JH, Park JS, Seo SK. Correlation of curved walking ability with straight walking ability and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hemiplegia. J Kor Soc Phys Ther. 2011;23(3):13-9. 

  33. Jonsdottir J, Cattaneo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7;88(11):1410-5. 

  34. Kim JJ, Rho MH, Goo BO, Ahn SY. The effect of speeddependent with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on the ambulation of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5;17(3):339-50. 

  35. Kim JH, An SH, Bae SS. Preliminary study of ambulation training o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06;1(1):1-12. 

  36. Kim MJ, Lee JH. Effect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gait and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Physical Therapy Korea. 2003;10(1):29-35. 

  37. Kim EJ, Jung JM, Kim TH, Bae SS. The effects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muscular activity on treadmill gait train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09;4(3):165-74. 

  38. Lau KW, Mak MK.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s effective to improve gait and balanc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1;43(8):709-13. 

  39. Kim SY.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on walking velocity and gait endu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J Kor Soc Phys Ther. 2004;16(2):44-53 . 

  40. Fulk GD, Reynolds C, Mondal S et al. Predicting home and community walking activity in people with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0;91(10):1582-6. 

  41. Pohl M, Mehrholz J, Ritschel C et al.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2;33(2):55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