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관절 각도에 따른 교각운동이 체간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Muscle Activity on Bridg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Knee Joint Angl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3, 2010년, pp.405 - 412  

김경환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박래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장준혁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이우형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기경일 (보니파시오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trunk muscle activity on bridg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knee joint angle. Methods : Twenty-five healthy adul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ubjects were required to complete following four bridging exercises; kn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슬관절의 굴곡각도에 따른 교각 운동이 체간 근육의 활성도와 대근육과 국소 근육 간의 활성화 비율을 연구하여 효율적인 교각운동 자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요부의 안정화 운동에서 체간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일차적 적용으로 복부 근육의 안정적 수축을 통한 중립 자세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골반 후방경사운동, 복부근드레이싱, 복부 드로우-인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김은옥, 2008; 이심철, 2009; Stevens 등, 2006; Stevens 등, 2007). 연구에서도 교각운동 시 과도한 요추부 전만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골반 후방 경사운동을 통한 요 주부 중립 자세를 유지한 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교각 운동에서 슬관절의 다양한 굴곡각도에 따른 체간 근육의 활성도와 대근육과 국소근육 간의 활성화 비율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교각운동 자세를 제안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명진. 교각안정화 운동 시 스케이트보드와 공 적용이 체간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2. 김명진. 교각운동 시 공 적용이 체간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9;16(1):18-24. 

  3. 김선엽. 요통의 요골반부 안정화 접근법.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1998;7-19 

  4. 김은옥.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이 요부전만과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8. 

  5. 김택연. 내,외 복사근과 요방형근에 브리지 운동이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4. 

  6. 이성철. 중신 안정성 운동을 적용한 교각운동 시 지지면 불안정성이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7. 조혜영. 치료용 볼과 고정된 지면에서의 중심안정성 운동에 따른 요통환자 요부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6. 

  8. Akuthota V, Nadler SF.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86-92. 

  9. Arokoski JP, Yalta T, Kankaanpaa M et al. Activation of lumbar paraspinal and abdominal muscles during therapeutic exercises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4;85(5):823- 832. 

  10. Bergmark A.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 Scand suppl. 1989;230:1-54. 

  11.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Maryland Aspe. 1998;360-374. 

  12. Duncan M.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and lower rectus abdominis during exercises performed on and off a Swiss ball. J Body Move Ther. 2009; 13(4):364-7. 

  13. Hodges PW. Is there a role for transversus abdominis in lumbo-pelvic stability? Man Ther. 1999;4(2): 74-86. 

  14. Hodges PW, Gandevia SC. Activation of the human diaphragm during a repetitive postural task. 2000; 522(1);165-175. 

  15.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005. 

  16.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4th ed. Philadelphia (PA)F.A. Davis Company. 2002. 

  17. Lehman GJ, Hoda W, Oliver S.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s on and off a swissball. Chiropa & Osteopat. 2005;13:14. 

  18. Marshall PW, Murphy BA.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2005;86(2):242-9. 

  19.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Elisabeth E. Rowan. 2002. 

  20. O'Sullivan SB.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2000;5(1):2-12. 

  21. O'Sullivan SB,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ment and treatment.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01. 

  22. Richardson CA, Jull GA. Muscle control-pain control: What exercises would you prescribe? Man Ther. 1995;1:2-10. 

  23.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roach.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1. 

  24. Stevens VK, Bouche KG, Mabiru NN et aI.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subjects during bridging stabilization exercises. BMC Musculoskelet Disord. 2006;7:75. 

  25. Stevens VK, Coorevits PL, Bouche KG et al.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Man Ther. 2007;12(3):27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