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에 따른 골반경사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발 접촉양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lvic Tilt Exercise with Changing the Body Position on Foot Contact Pattern in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3, 2010년, pp.445 - 453  

장상훈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박수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민희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신경과학교실) ,  김중휘 (강병원 물리치료실) ,  김진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lvic tilt exercise with changing the body position on foot contact pattern in the hemiplegic patients. Methods : Thirty seven hemiplegic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3 groups; control group (CG), sitting exercise group (SIE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자세에서 골반 운동을 실시흐]고 F-scan system을 이용하여 편마비 환자의 족저압을 측정하고 여러가지 자세에서의 골반 운동이 발 접촉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아 편마비 환자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앉은 자세에서의 골반 경사운동과 선 자세에서의 골반경사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발 접촉양상에 각각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조군 12명, 앉은 자세에서 골반 경사운동 훈련군 12명, 선 자세에서 골반을 이용한 골반 경사운동 훈련군 13명을 대상으로 치료 중재 전후에 발 접촉양상의 변화를 비교 연구하였다.
  • 이 연구는 앉은 자세와 선 자세에서 골반 경사운동을 통한 편마비 환자의 발 접촉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실험에 동의 한편 마비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13명, 앉은 자세에서 골반경사운동 훈련군 12명과 선 자세에서 골반 경사운동 훈련군 12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8 주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곽길환. 골반경사 운동과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2. 김경, 박영한, 배성수. 발 압력 측정계(F-mat과 F-scan system)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0;12:29-36. 

  3. 김병남, 이완희. 시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골반경사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2;14(1);75-88. 

  4. 김지혜. 골반동작을 이용한 체간조절이 편마비 환자의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7. 

  5. 김영환. 체중이동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6. 

  6. 김효정. 체중이동훈련이 편측 뇌성마비 아동의 족저압 양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7. 민원규, 장우남. 선 자세에서의 골반경사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시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바스학회지. 2007;12(1);37-47. 

  8. 박지원, 남기석, 백미연. 편마비 보행 시 족저압력중심의 이동특성과 동적균형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1):11-21. 

  9. 박은숙, 박창일, 김종연 등. 경직형 뇌성마비 환아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 및 족저압 중심의 이동경로. 대한재활의학학회지. 2002;26:127-132. 

  10. 박창일, 배하석, 고영훈 등. 경도의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의 내측 종아치 형성과 관련된 족저압 특성. 대한재활의학학회지. 2003;27(1):33-37. 

  11. 송창호, 이규창, 유재호 등. 뇌졸중 환자의 낙상 예방을 위한 체중부하 비대칭과 자세 동요와의 관련성.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1):81-88. 

  12. 엄기숙, 배영숙. 요통환자의 골반경사운동이 신체정렬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2006; 17(6);409-416. 

  13. 이정원. 골반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8;5(2);23-38. 

  14. 정한신, 윤정규. 편마비 환자의 골반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6; 13(3);41-8. 

  15. 차용준, 김경. 성인 편마비 환자의 편측 무시정도에 따른 족저압 비교.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1): 43-51. 

  16. Aruin AS. The effect of asymmetry of posture on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Neuroscience Letter. 2006;401:150-153. 

  17. Caroline HB, Helbostad JL, Rolf MN. Should trunk: movement or footfall parameters quantify gait asymmet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Gait Posture. 2008;27:552-8. 

  18. Crenna P. Spasticity and spastic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sci Biobehav Rev. 1998;22; 571-8. 

  19.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2004).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 2004;85:886-895. 

  20. Dodd KJ, Morris ME. Lateral pelvic displacement during gait: Abnormalities after stroke and changes during th fIrst month of rehabilitation. 2003;84: 1200-5 

  21. Garland SF, Willems DA, Ivanova TD.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 2003;84:1753- 1759. 

  22. Genthon N, Vuillerme N, Monnet JP et al. Biomechanical assessment of the sitting posture maintenance in patients with stroke. Clin Biomech. 2006;22;1024-9. 

  23. Geurts ACG, de Haart M, van Nes IJW et al. A revier of standing balance recovery from stroke. Gait Posture. 2005;22(3):267-81. 

  24. Lennon S. Gait re-education based on the bobath concept in two patients with hemiplegia following stroke. Phys Ther. 2002;81(3):924-35. 

  25. Orlin M, Mcpoil TG. Plantar pressure assessment. Phys Ther. 2000;68(12):1822-1830. 

  26. Perry J. Gait analysis. New Jersey. Slack. 1992. 

  27. Randolph AL, Nelson M, Akkapeddi S et al.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pressures applied on the foot during walking by a computerized insole sensor system. Arch Phys Med Rehanil. 2000;81 :573-8. 

  28. Snijders CJ, Bakker MP, Vleeming A et al. Oblique abdominal muscle activity in standing and sitting on hard and soft seats. Clin Biomech. 1995;10 (2);73-8. 

  29. Tossavainen T, Juhola M, Pyykko I.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stimuli of force platform posturography. Int J Med Inf. 2003;70:277-283. 

  30. Trueblood PR, Walker JM, Perry J, et al. Pelvic exercise and gait in hemiplegia. Phys Ther. 1989; 69:18-26 

  31. Tyson SF. Selley A. The development of the stroke physiotherapy intervention recording tool(SPERI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04;26(20); 1184-8. 

  32. Urquhart DM, Hodges PW, Stroy IH. Postural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varies between regions of these muscles and between body positions. Gait posture. 2005;22;295-301. 

  33. Vleeming A, Mooney V, Stoeckart R. Movement Stability & Lumbopelvic Pain. 2nd ed. Edinburgh. Chartwell. 2007. 

  34. Wang RY.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the gait of patients with hemiplegia of long and short duration. Phys Ther. 1994;74: 1108-15. 

  35. Wong AM, Pei YC, Hong WH, et al. Foot contact pattern analysi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An implication for neurologic status determin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625-30. 

  36. Yu E, Abe M, Masani K et al. Evaluation of postural control in quiet standing using center of mass acceleration: comparison among the young, the elderly, and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8;89(6):113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