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졸중 환자의 근긴장도 평가를 위한 개정된 개정된 Ashworth 척도의 신뢰도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 for the Muscle Tone of Post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3, 2010년, pp.477 - 485  

김태호 (대구보건대학 물리치료과) ,  김용욱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clinical scale to assess spasticity of muscle was wildly used the modified Ashworth scale (MAS). But reliability of the MAS has been controverted for ambiguity among the gr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AS (MMAS) transl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경직 평가를 위하여 MAS와 MWAS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MAS는 임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평가척도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경직 평가를 위하여 MA돟와 MMAS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MAS는 손목 굽힘근과 엉덩콴절 모음근율 제외하고 중간 정도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보였고, 측정자내 신뢰도는 중간에서 양호 사이를 보였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임상에서 MAS 를 가장 빈번히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단지 MAS를 한글로 번역만 하였을 뿐, 구체적인 평가방법과 일정한 속도에 대한 안내를 전혀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AS와 MMAS 에서 측정자에게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원-사우젠-원'을 세면서 평가하였다. MAS에서는 1 catch and release, 의 명확한 정의가 부족하고, 등급 1과 I*의 차이를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김태호와 정이 정, 2002; Ansori 등, 2006; Bames 와 Johnson, 2001).
  •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판 MMAS의 신뢰도를 평가하여, 임상에서 MAS를 대신하여 경직을 평가하기 위한 적합한 평가 도구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대호, 정이정. 뇌졸중 후 강직(spasticity) 평가를 위한 Tone Assessment Scale의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2;9(2): 133-44. 

  2. 박병규, 신용범, 조시철 등. 뇌졸중 환자의 경직에 대한 전기자극의 치료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2003; 27(5):647-51. 

  3. 성덕현, 김종문, 이강우 등. 등속성 근력계를 이용한 슬관절 신근 경직의 정량적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2002;26(3):321-6. 

  4. 이충휘, 구애련 경련성(spasticity) 평가를 위한 Modified Ashworth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4;1(1):1-9. 

  5. Ansari NN, Naghdi S, Arab TK, et al.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Ashworth Scale in the assessment of muscle spasticity: limb and muscle group effect. NeuroRehabilitation. 2008a;23(3):231-7. 

  6. Ansari NN, Naghdi S, Hasson S, et al.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 between two physiotherapists in adult patients with hemiplegia. NeuroRehabilitation. 2009;25(4): 235-40. 

  7. Ansari NN, Naghdi S, Moammeri H, et al. Ashworth Scales are unreliable for the assessment of muscle spasticity. Physiother Theory Pract. 2006;22(3): 119-25. 

  8. Ansari NN, Naghdi S, Younesian P, et al. Inter-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 in patients with knee extensor poststroke spasticity. Physiother Theory Pract. 2008b;24(3):205-13. 

  9. Allison SC, Abraham LD, Petersen CL. Reliability of the Modified Ashworth Scale in the assessment of plantarflexor muscle spasticity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Int J Rehabil Res. 1996;19 (1):67-78. 

  10. Barnes MP, Johnson GR. Upper motor neurone syndorme and spasticty: clinical management and neurophysi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NY. 2001. 

  11. Becher J, Harlaar J, Lankhorst GJ, et al. Measurement of impaired muscle function of the gastrocnemius, soleus, and tibialis anterior muscle in spastic hemiplegia: a preliminary study. J Rehabil Res Dev. 1998;35(3):314-26. 

  12. Blackburn M, van Vliet P, Mockett SP.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Modified Ashworth Sclae in the lower extremities of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2002;82(1):25-34. 

  13. Bohannon RW, Smith MB. Interrater reliability of a modified Ashworth scale of muscle spasticity. Phys Ther. 1987;67(2):206-7. 

  14. Bodin PG, Morris M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Ashworth scale for wrist flexor spasticity following stroke. 11th Congress. World Confederation of Physiotherapy. 1991;505-7. 

  15. Brennan P, Silman A.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observer variability in clinical measures. BMJ. 1992;304(6840): 1491-4. 

  16. Butler PB, Thompson N, Major RE. Improvement in walk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reliminary results. Dev Med Child Neurol. 1992;34(7):567-76. 

  17. Clopton N, Dutton J, Featherston T, et al.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Ashworth Sclae in children with hypertonia. Pediatr Phys Ther. 2005;17(4):268-74. 

  18. Ghotbi N, Ansari NN, Naghdi S,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 in assessing lower limb muscle spasticity. Brain Inj. 2009;23(10):815-9. 

  19. Lance JW. Pathophysiology of spasticity and clinical experience with baclofen. In: Lance JW, Feldmann RG, Koella WP. Spasticity: disordered motor control. Chicago, Year Book Medical Pub. 1980. 

  20. Naghdi S, Ansari NN, Azarnia S,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 (MMAS) for patients with wrist flexor muscle spasticity. Physiother Theory Pract. 2008; 24(5):372-79. 

  21. Pandyan AD, Price CI, Barnes MP, et al. A biomechanical investigation into the validity of the Modified Ashworth Scale as a measure of elbow spasticity. Clin Rehabil. 2003; 17(3):290-4. 

  22. Rekand T.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spasticity: a review. Acta Neuro Scand. 2010;122 (Suppl 190):62-6. 

  23. Sloan RL, Sinclair E, Thompson J,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Ashworth scale for spasticity in hemiplegic patients. Int J Rehabil Res. 1992;15(2):158-61. 

  24. Stillmann B, McMeeken J. A video-based version of the pendulum test: technique and normal response. Arch Phys Med Rehabil. 1995;76(2):166-76. 

  25. Young RR. Spasticity: a review. Neurology. 1994;44 (11 Suppl 9):S12-S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