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지방육종의 국소재발과 원격전이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이후 치료받은 52명의 지방육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시 연령, 종양의 크기, 발생 부위,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 유형, 수술적 절제연, 항암화학요법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 원격 전이 그리고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39개월이었고 통계적 분석에는 단일변수 및 다중변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이 11예(21.2%)에서 발생하였으며 원격전이는 4예(8%)에서 발생하였다.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술 후 4년에 67%였다. 단일변수 분석에서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과 관련이 있었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절제연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불량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p<0.05). 무병생존율에 대한 단일변수 분석에서는 조직학적 악성도 및 항암화학요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결론: 선택오차를 고려할 때 절제연 양성이 국소재발의 불량한 예후인자였으며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 무병생존율과 관련하여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on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event-free survival of lipo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patients managed for liposarcomas since 1993 were analyzed respectively in the view of prognostic influence of patient age, tumo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네 개의 병원에서 각각 다른 의료진에 의해 치료 받은 증례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단일기관에서 동일 한 의료진에 의해 치료받은 군에 비하여 비균일성이 교란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조직학적 진단이나 절제연의 검사, 판정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항암 화학요법의 약제의 종류나 용량, 방사선 치료의 조사량 등의 적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나 이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육종은 조직학적으로 어떠한 유형으로 구별되는가? 지방육종은 조직학적으로 구별되는 고분화형(well differentiated), 점액성(myxoid), 원형세포형(round cell), 다형성형(pleo-morphic) 및 역분화형(dedifferentiated)의 5가지 유형이 있으며9) 이들 유형에 따른 임상적 경과나 예후가 다를 수 있고 연부조직 악성종양에서 절제연의 종양침법 여부는 국소재발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진단시 연령, 종양의 크기와 위치,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유형, 절제연 침범 여부,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 유무의 인자들이 지방육종의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지방육종은 어떠한 경우에 국소 재발율이 높다고 보고되었는가? 지방육종의 예후인자들에 대한 몇몇 연구들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도 연구자에 따라 대상군이 다양하고 그 결과들이 상이하여 이에 근거한 치료방법의 선택이나 치료결과를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3-7) 일반적으로 연부조직육종의 치료결과와 관련이 있는 요인들로 환자의 연령, 종양의 크기, 발생부위, 위치, 종양의 유형이나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의 유형, 절제연의 상태, 병행한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 유무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조직학적 악성도가 높을수록,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발생위치가 심부근막보다 심부에 위치할수록 불량한 예후를 보이고 절제연의 종양침범이 있을 경우 국소 재발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10-12) 본 연구에서는 진단시 환자의 나이, 종양의 크기와 발생부위,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 유형, 절제연 침범 여부,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의 유무에 따른 국소재발율과 원격전이율 및 지속적 무병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지방육종의 발생 빈도는 전체 악성종양에서 어느정도를 차지하는가? 지방육종은 연부조직 육종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성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육종 중에서 약 20-30%에 해당하는 질환이나1,2) 그 발생 빈도는 전체 악성종양의 0.2-0.3%에 불과하다. 예후인자들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도 연구자에 따라 대상군이 다양하고 그 결과들이 상이하여 최적의 치료방법을 선택하고 예후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ea JB, Leung D, Lewis JJ, et al. Histopathologic typ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primary soft tissue sarcoma of the extremity? Ann Surg Oncol. 2003;10:342-440. 

  2. Lewis JJ, Leung D, Casper ES, et al. Multifactorial analysis of long-term follow-up (more than 5 years) of primary extremity sarcoma. Arch Surg. 1999;134:190-4. 

  3. Dalal KM, Kattan MW, Antonescu CR, Brennan MF, Singer S. Subtype specific prognostic nanogram for patients with primary liposarcoma of the retroperitoneum, extremity, or trunk. Ann Surg. 2006;244:381-91. 

  4. Eilber FC, Eilber FR, Eckardt J, et al. The impact of chemotheraphy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high-grade primary extremity liposarcoma. Ann Surg. 2004;240:686-95. 

  5. Fiore M, Grosso F, Lo Vullo S, et al. Myxoid/round cell and pleo mor phic liposarcomas. Cancer. 2007;109:2522-31. 

  6. Heuvel SE, Hoekstra HJ, van Ginkel RJ, Bastiaannet E, Suurmeijer A.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in myxoid liposar coma: a retrospective study of 49 patients with long-term follow-up. Ann Surg Oncol. 2007;14:222-9. 

  7. Zagars GK, Goswitz MS, Pollack A. Liposarcoma: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following conservation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Int J Radiation Oncology Biol Phys. 1996; 36:311-9. 

  8. Fleming ID, Cooper JS, Henson DE, et al. AJCC Cancer Staging Mannual.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1997. 140-6. 

  9. Evans HL. Liposarcoma. a study of 55 cases with a reassessment of its classifi cation. Am J Surg Pathol. 1979;3:507-23. 

  10. Liu CU, Yen CC, Chen WM, et al. Soft tissue sarcoma of extremities: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adequate surgical margin in primary operation and reoperation aft er recurrence. Ann Surg Oncol; [published online 2010 March 9]. 

  11. Singer S, Antonescu CR, Riedel E, Brennan MF. Histologic subtype and margin of resection predict pattern of recurrence and survival for retroperitoneal liposarcoma. Ann Surg. 2003; 238:358-71. 

  12. Stojadinovic A, Leung D, Hoos A, Jaques D, Lewis J, Brennan M. Analysis of the prognostic signifi cance of microscopic margins in 2084 localized primary adult soft tissue sarcomas. Ann of Surg. 2002;235:424-34. 

  13. Trojani M, Contesso G, Coindre JM, et al. Soft tissue sarcoma of adults: study of pathological prognostic variables and definition definition of a histopathologic grading system. Int J Cancer. 1984;33:37-42. 

  14. Antonescu CR, Tschernyavsky SJ, Decuseara R, et al. Prognostic impact of P53 status. TLS-CHOP fusion transcript struc ture, and histological grade in myxoid liposarcoma: a mol ecular and clinicopathologic study of 82 cases. Clin Cancer Res. 2001;7:3977-87. 

  15. Gebhard S, Coindre JM, Michels JJ, et al. Pleomorphic liposarcoma: clinicopathologic, immunohistochemical, and follow-up analysis of 63 cases: a study from the French Federation of cancer centers sarcoma group. Am J Surg Pathol. 2002; 26:601-16. 

  16. Henricks WH, Chu YC, Goldblum Jr, et al. Dedifferentiated liposarcoma: a clinocopathological analysis of 155 cases with a proposal for an expanded defi nition of dediff erentiation. Am J Surg Pathol. 1997;21:271-81. 

  17. Linehan DC, Leung J, Leung D, et al. Influence of biologic factors and anatomic site in completely resected liposarcoma. J Clin Oncol. 2000;18:1637-43. 

  18. McComick D, Mentzel T, Beham A, et al. Dedifferentiated liposarcoma: clinocopathologic analysis of 32 cases suggesting a better prognostic subgroup among pleomorphic sarcomas. Am J Surg Pathol. 1994;18:1213-23. 

  19. Spillane AJ, Fisher C, Thomas JM. Myxoid liposarcoma-the frequency and the natural history of nonpulmonary soft tissue metastases. Ann Surg Oncol. 1999;6:389-94. 

  20. Kim HS, Lee JY, Yi SY, et al. Liposarcoma: exploration of clinical prognostic factors for risk based stratification of therapy. BMC Cancer. 2009;9:205. 

  21. Antonescu CR, Ladanyi M. Myxoid liposarcoma. In: Fletcher CDM, Unni KK, Mertens F, eds.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 cation of tumors: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rs of soft tissue and bone. IARC Press. France: Lyon; 2002. 40-3. 

  22. Kilpatrick SE, Doyon J, Choong PF, Sim, FH, Nascimento AG. The clinicopathologic spectrum of myxoid and round cell liposarcoma. A study of 95 cases. Cancer. 1996;77:145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