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극의 두께와 소성 온도에 따른 DSSC의 효율 특성
DSSC Efficiency Characteristics by Annealing Temperature and Thickness of Electrod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1 no.4, 2010년, pp.405 - 410  

황기섭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하기룡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25와 Dyesol $TiO_2$ (Titanium dioxide)를 사용하여 두께와 소성 온도가 다른 전극을 제조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 Sensitized Solar Cell, DSSC)를 제조한 후 광 변환 효율을 측정하였다. 소성 전 후의 $TiO_2$ 작업 전극의 두께 변화는 FE-SEM을 사용하여 시편의 cross section을 확인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상대전극인 Pt의 소성 온도에 따른 DSSC의 효율 변화도 측정하였다. P25를 활용한 DSSC는 doctor blade로 1층으로 도포 후, $500^{\circ}C$에서 30 min 동안 소성한 작업 전극(${\sim}20.4{\mu}m$)과 $350^{\circ}C$에서 30 min 동안 소성한 Pt 상대 전극으로 제조한 셀이 3.8%의 광효율을 나타내었다. Dyesol $TiO_2$를 활용하여 1층으로 도포 후, $500^{\circ}C$에서 30 min 동안 소성한 작업전극(${\sim}9.1\;{\mu}m$)과 $450^{\circ}C$에서 30 min 동안 소성한 Pt 상대 전극으로 제조한 셀이 5.8%의 광 효율을 나타냄을 알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SSCs fabricated with different electrode thickness and different annealing temperature with the P25 $TiO_2$ and the Dyesol $TiO_2$ was measured. Thickness change of $TiO_2$ electrodes was measured using cross-sectional FE-SEM befo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ome made” TiO2와 Dyesol TiO2를 사용하여 도포 두께와 소성 온도가 DSSC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Home made”의 사용 목적은 널리 알려진 P25 TiO2를 활용하여 제조함으로써 P25의 DSSC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TiO2 산화물 반도체 제조의 비용을 줄이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양극 TiO2 나노 산화물 반도체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최적 열처리 조건 및 전극의 두께, 그리고 음극 Pt층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최적 열처리 조건을 확립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어떤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1991년 O’Regan과 Grätzel에 의하여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가 제작 되었다[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가격적인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다. 그러나 아직 기술이 성숙되지 못하여 아래와 같은 개발들이 추가로 필요하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기술 성숙을 위해 필요한 사항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아직 기술이 성숙되지 못하여 아래와 같은 개발들이 추가로 필요하다. 첫째, 나노 결정산화물의 입자크기, 형상, 결정성 및 표면 상태를 조절하는 기술의 개발[3], 둘째, 전자 교환 능력이 뛰어나고 장기 안정성이 확보되는 음극 개발[4], 셋째, 빛과 열 안정성이 확보되며 나노 산화물 반도체 표면과 견고한 화학적 결합을 가지고 넓은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염료의 개발[5], 넷째, 완전 고체형 염료 감응 태양전지 개발을 위한 고분자 매질의 전해질 개발이 필요하다[6].
실리콘을 이용하는 태양전지의 단점은 무엇인가? 인류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여러 대체에너지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태양전지를 통하여 빛을 전기로 전환하려는 노력도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여러 종류의 태양전지 중 실리콘을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25%까지 도달하는 효율과 제조 공정의 확립 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대형 고가 장비가 사용되고 높은 원료 가격의 한계 때문에 발전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1].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1991년 O’Regan과 Grätzel에 의하여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가 제작 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H. Jung, K. J. Hwang, S. W. Kang, H. G. Jeong, S. I. Jeong, and J. W. Lee, J. Korea Ind. Eng. Chem., 20, 227 (2009). 

  2. B. O'Reagan and M. Grazel, Nature (London), 335, 739 (1991). 

  3. C. Huanga, Y. Hsua, J. Chena, V. Suryanarayanan, K. Leeb, and K. Ho, Sol. Energ. Mat. Sol. C., 90, 2391 (2006). 

  4. A. Hauch and A. Georg, Electrochim. Acta, 46, 3457 (2001). 

  5. N. Koumura, Z. S. Wang, S. Mori, M. Miyashita, E. Suzuki, and K. Hara, J. Am. Chem. Soc., 128, 14256 (2006). 

  6. S. Lu, R. Koeppe, S. Gunes, and N. S. Sariciftci, Sol. Energ. Mat. Sol. C., 91, 1018 (2007). 

  7. K. M. Lee, V. Surynarayanan, and K. G. Ho, Sol. Energ. Mat. Sol. C., 91, 1416 (2007). 

  8. W. Jarernboon, S. Pimanpang, S. Maensiri, E. Swatsitang, and V. Amornkitbamrung, Thin Solid films, 517, 4663 (2009). 

  9. G. K. Kiema, M. J. Colgan, and M. J. Brett, Sol. Energ. Mat. Sol. C., 85, 321 (2005). 

  10. D. Y. Lee and C. W. Chung, Appl. Chem., 12, 189 (2008). 

  11. T. H. Meen, C. H. Huang, Y. W. Chen, L. W. Ji, C. C. Diao, and H. H. Chung, Key Eng. Mater., 368, 1716 (2008). 

  12. Q. Shen and T. Toyoda, Thin Solid Films, 438, 167 (2003). 

  13. Y. S. Kim, B. J. Yoo, R. Vittal, Y. H. Lee, N. G. Park, and K. J. Kim, J. Power Source, 175, 914 (2008). 

  14. Y. S. Kim, C. H. Yoon, K. J. Kim, and Y. H. Lee, J. Vac. Sci. Technol. A, 25, 1219 (2007). 

  15. J. K. Lee, B. H. Jeong, S. I. Jang, Y. G. Kim, Y. W. Jang, S. B. Lee, and M. R. Kim, J. Ind. Eng. Chem., 15, 724 (2009). 

  16. U. O. Krasovec, M. Berginc, M. Ho?evar, and M. Topic, Sol. Energ. Mat. Sol. C., 93, 379 (2009). 

  17. C. Y. Huang, Y. C. Hsu, J. G. Chen, V. Saryanaryanan, K. M. Lee, and K. C. Ho, Sol, Energ. Mat. Sol. C., 90, 2391 (2006). 

  18. L. Yang, Z. Zhang, S. Fang, X. Gao, and M. Obata, Solar Energy, 81, 717 (2007) 

  19. A. I. Kontos, A. G. Kontos, D. S. Tsoukleris, M. C. Bernard, N. Spyrellis, and P. Falaras, J. Mat. Proc. Tech., 196, 243 (2008). 

  20. J. H. Yoon, S. R. Jang, R. Vittal, J. Lee, and K. J. Kim, J. Photochem. Photobio. A: Chemistry, 180, 184 (2006). 

  21. G. P. Kalaignan, M. S. Kang, and Y. S. Kang, Solid State Ionics, 177, 1091 (2006). 

  22. E. Joanni, R. Savu, M. de Sousa Goes, P. R. Bueno, J. N. de Freitas, A. F. Nogueira, E. Longo, and J. A. Varela, Scripta Materialia, 57, 277 (2007). 

  23. U. Schmid and H. Sceidel, Thin Solid Films, 516, 898 (2008). 

  24. J. Ovenstone and K. Yanagisawa, Chem. Mater., 11, 2770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