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 기반 벌크 소재의 전기적 임피던스 특성을 이용한 생화학 센서용 전극 개발 연구
Preparation of Bio-Chemical Sensor Electrodes by Using Electrical Impedance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Based Bulk Material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1 no.5, 2010년, pp.495 - 499  

소대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산업정보분석실) ,  허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청정공정센터) ,  김희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청정공정센터) ,  이해원 (한양대학교 나노공학과) ,  강인필 (부경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량 생산 가능한 센서 전극의 생화학 센서 전극 개발을 위하여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복합재료화 공정에 의하여 필름과 나노웹 형태의 벌크 재료로 제작한 후, 이들 전극의 넓은 표면적과 뛰어난 화학적 흡착성을 이용하여 화학적 검출 대상에 노출이 되었을 때 이들로 인한 센싱 특성을 연구하였다. CNT 기반 벌크 전극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Nafion을 기저재료로 하는 필름과 PAN 기반의 나노 파이버전기방사법에 의하여 제작을 한 후 이들 전극의 화학적 영향에 의한 전기적인 특성 변화 실험을 위하여 버퍼 용액의 정전용량에 대한 전기적 임피던스 요소 값인 저항과 정전용량의 변화를 LCR 계측기로 측정하였다. 생화학센서용 전극으로서 CNT벌크전극의 임피던스 변화 형태가 복합소재 전극의 기저재료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일정량의 버퍼용액 투여 후에는 변화가 없는 포화 상태의 응답을 보였으며 특히, 정전용량이 저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큰 변화를 보여 높은 감도 특성을 지니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이들의 전기적인 특성변화는 버퍼 용액의 화학적 성분들이 전극에 흡수 된 후에 CNT에 흡착이 되어 이들의 전기적인 특성을 변화 시키는 것으로 추론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chemical and biosensors, this paper studies sensing characteristics of bulk carbon nanotube (CNT) electrodes by means of their electrical impedance properties due to their large surface area and excellence chemical absorptivity. The sensors were fabricated in the form of film and nano we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량 생산 가능한 센서 전극의 생화학 센서 전극 개발을 위하여 CNT를 복합재료화 공정에 의하여 필름과 나노웹 형태의 벌크 재료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넓은 표면적과 뛰어난 화학적 흡착성을 지니고 있을 이들 나노복합 벌크 전극이 화학적 검출 대상에 노출이 되었을 때 이들로 인한 전극의 성질 변화를 전기적 임피던스 거동 변화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 MWCNT는 나노튜브 자체의 직경이 SWCNT의 수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므로 나노튜브들이 기저재료의 도움 없이 순수한 반 데르 발스힘으로 결합할 수 없으므로 버키 페이퍼와 같은 나노튜브만으로 구성된 벌크재료의 제작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전극 표면개질과 바이오센서의 전극에 사용되고 있는 이온 전도성 폴리머 Nafion을 나노튜브의 결합을 위한 기저재료로 활용하여 벌크 전극을 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Nafion은 높은 감도를 지키는 동안 양이온의 전송 채널에서의 아스코르브 산이나 다른 음이온의 일반적인 간섭을 제거하는 등 센서 전극 제작에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17].
  • 또한 본 연구에서는 CNT 벌크 전극을 CNT의 종류와 제조 형태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 역시 연구 되었다. 이온전도성 고분자인 Nafion이 첨가된 박막형태의 벌크 전극이 MWCNT에 의하여 제작이 되었으며 또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PAN 기반의 나노파이버로 구성된 나노웹 형태의 벌크 전극 역시 제작이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CNT 복합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생화학센서 전극의 화학적 영향에 의한 전기적 임피던스 특성변화를 연구하였다. CNT 기반의 벌크 전극을 제작하기 위하여 SWCNT 및 MWCNT를 이용하였으며, 이들을 벌크 재료로 제작하기 위하여 Nafion을 기저재료로 하는 필름과 PAN 기반의 나노 파이버를 전기방사법에 의하여 제작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벌크 전극을 박막 형태와 나노 웹 형태로 제작하여 벌크 전극의 제작 형태가 전극의 감도와 전기적 임피던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역시 조사되었다. 순수한 CNT만으로 구성시킨 벌크 전극인 버키 페이퍼와 Nafion을 기저재료로 하여 제작된 복합소재 벌크 전극들과는 버퍼용액을 이용한 전기적 임피던스 측정 실험에서 서로 상이한 응답특성을 보이고 있다.

가설 설정

  • Figure 6. FE-SEM and TEM images of the nanoweb electrode sample: (a) FE-SEM (× 5000) of PAN-CNT/DMF (wt% 10/90) and (b) TEM of nanoweb showing a MWCNT in the nanofib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NT의 전기전도 특성으로 인해 어떻게 활용이 가능한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우수한 기계적인 강도 및 전기 전도도를 지님과 더불어 넓은 우수한 전기 화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센서 재료로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CNT의 전기전도 특성은 이들이 화학적 환경에 노출이 될 경우 그의 전기적 특성이 매우 민감하게 변화 되므로, 이러한 특성은 화학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1]. 또한, CNT는 넓은 표면적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 대상 물질에게는 일종의 화학적 저장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순환전압전류법(cyclic voltametric), 전류법(amperometric) 등의 전기화학분석법에 의하여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응용 센서로 연구되어 왔다[1-7].
CNT를 복합재료로 벌크 재료화하여 전극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떠오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센서 재료로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CNT를 개별적으로 취급하여 나노 또는 마이크로 영역에서 센서 전극으로 활용하여 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은 나노튜브를 원하는 전극 위치에 놓이는 기술 및 그 조작의 어려움으로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센서 전극제작을 위한 경제적인 방법까지 고려한 방법으로는 CNT를 복합재료 등과 같이 벌크 재료화하여 전극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3,4]. 이러한 벌크 전극의 제작 방법 중에서 대량 생산을 위한 센서 전극 방법으로는 현재 일반적인 센서 전극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크린 프린트 방법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8].
탄소나노튜브는 왜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센서 재료로 많은 연구 대상이 되어 왔는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우수한 기계적인 강도 및 전기 전도도를 지님과 더불어 넓은 우수한 전기 화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센서 재료로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CNT의 전기전도 특성은 이들이 화학적 환경에 노출이 될 경우 그의 전기적 특성이 매우 민감하게 변화 되므로, 이러한 특성은 화학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 G. Collins, K. Bradley, M. Ishigami, and A. Zettl, Science, 287, 1801 (2000). 

  2. W. Yang, P. Thordarson, J. J. Gooding, S. P. Rigner, and F. Braet, Naotechnology, 18, 1 (2007). 

  3. K. H. An, S. Y. Jeong, H. R. Hwang, and Y. H. Lee, Advanced Materials, 16, 1005 (2004). 

  4. I. Kang, Y. Y. Heung, J. H. Kim, J. W. Lee, R. Gollapudi, S. Subramaniam, S. Narasimhadevara, D. Hurd, G. R. Kirikera, V. Shanov, M. J. Schulz, D. Shi, J. Boerio, S. Mall, and M. R. Wren, Composites: Part B, 37, 382 (2006). 

  5. J. Suehiro, G. Zhou, and M. Hara, Journal of Physcis D: Applied Physcis, 36, 109 (2003). 

  6. S. H. Lim, J. Wei, J. Lin, Q. T. Li, and J. K. You, Biosensors & Bioelectronics, 20, 2341 (2005). 

  7. S. R. Ali, Y. Ma, R. R. Parajuli, Y. Balogun, W. Y.-C. Lai, and H. He, Anal. Chem., 79, 2583 (2007). 

  8. K. Kordas, T. Mustonen, G. Toth, H. Jantunen, M. Lajunen, C. Soldano, S. Talapatra, S. Kar, R. Vajtai, and P. M. Ajayan, Small, 2, 1021 (2006). 

  9. J. Wang and M. Musameh, Anal. Chem., 75, 2075 (2003). 

  10. S. Sanchez, M. Pumer, E. Cabruja, and E. Fabregas, Analyst, 132, 142 (2007). 

  11. Y. Zhang, C. T. Lim, S. Ramakrishna, and Z.-M. Journal of Materials Scinece: Materials in Medicine, 16, 933 (2005). 

  12. D.-R. Chang, E.-Y. Jeong, and H.-S. Kim, Kor. J. Mater. Res., 17, 278 (2007). 

  13. X. Wang, C. Drew, S.-H. Lee, K. J. Senecal, J. Kumar, and L. A. Samuelson, Nano Letters, 2, 1273 (2002). 

  14. X. Wang, Y.-G. Kim, C. Drew, B.-C. Ku, J. Kumar, and L. A. Samuelson, Nano Letters, 4, 331 (2004). 

  15. G.-R. Choi, Y.-W. Ju, H.-R. Jung, C. Kim, K. S. Yang, and W. J. Lee,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11, 911 (2005). 

  16. B. W. Ahn, Y. S. Choi, and T. J. Kang,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10, 4055 (2008). 

  17. S. R. Ali, Y. Ma, R. R. Parajuli, Y. Balogun, W. Y.-C. Lai, and H. He, Anal. Chem., 79, 2583 (2007). 

  18. I. Kang, M. J. Schulz, J. H. Kim, V. Shanov, and D. Shi,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15, 737 (2006). 

  19. I. Kang, M. J. Schulz, J. W. Lee, G. R. Choi, J. Y. Jung, J.-B. Choi, and S.-H. Hwang, Solid State Phenomena, 120, 28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