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원법에 의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용 Pt-Sn/Carbon 전극제조
Synthesis of Pt-Sn/Carbon Electrodes by Reduction Method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1 no.5, 2010년, pp.537 - 541  

정소미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신주경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관성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백성현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탁용석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속물질의 분산도를 높여주기 위해 열처리와 산처리를 수행한 carbon black에 다양한 비율의 Pt와 Sn을 담지 시킨 촉매를 환원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Pt/Sn의 비율은 전구체 용액 내에서 상대적인 농도를 변화시켜 조절하였으며, Pt/Sn 비율에 따른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XRD (X-ray Diffraction) 분석을 통해 합성된 촉매의 결정도를 확인하였고,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으로 Pt와 Sn의 산화가를 확인하였다. 합성된 촉매의 조성과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DS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과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분석을 수행하였다. 산소 환원 반응 특성은 0.5 M $H_2SO_4$ 수용액에서 RDE (Rotating Disk Electrode)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산소환원 촉매활성은 Pt/Sn의 비율에 크게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합성한 전극의 메탄올 산화반응은 전기화학분석장치(Potentiostat ; Princeton applied research, VSP)를 이용하여 0.5 M $CH_3OH$와 0.5 M $H_2SO_4$의 혼합수 용액에서 수행하였다. 메탄올 산화에 대한 전기화학적 촉매활성과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적절한 양의 Sn을 첨가한 촉매가 높은 촉매활성과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t-Sn with various ratios was supported on carbon black after pretreatment in an acidic solution by a reduction method. The Pt/Sn ratio was controll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solu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composition on the electrocatalytic activities was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환원과정을 거친 결과물은 50 ℃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여러 번 세척을 해주어 잔류하는 염화물을 충분히 제거해 주었고 60 ℃의 진공 건조기에서 건조시켜주었다. 건조된 촉매는 200 ℃에서 2 h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소성한 후 특성분석 및 메탄올 산화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촉매의 금속물질은 담지체에 대해 20 wt% 비율로 담지되었으며, 비교를 위해 같은 담지량의 Pt/C 촉매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다양한 Pt/Sn 비율을 가지는 Pt-Sn/C 촉매는 염화백금산(H2PtCl6⋅6H2O)과 염화주석(SnCl4⋅5H2O)을 전구체로 이용하여 전처리한 carbon black (Vulcan XC-72R) 담지체에 환원법으로 합성하였다.
  • 다양한 비율로 염화백금산(H2PtCl6⋅6H2O)과 염화주석(SnCl4⋅5H2O)을 혼합한 용액은 일정한 온도(85 ℃)의 카본 현탁액에 한 방울씩 천천히 주입하였으며, Pt/Sn의 비율은 전구체 용액 내에서 상대적인 농도를 변화시켜 조절하였다.
  • 건조된 촉매는 200 ℃에서 2 h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소성한 후 특성분석 및 메탄올 산화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촉매의 금속물질은 담지체에 대해 20 wt% 비율로 담지되었으며, 비교를 위해 같은 담지량의 Pt/C 촉매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MFC의 CO에 의한 활성 저하를 해결하고자 조촉매로 Sn을 첨가하여 Pt의 사용량을 줄이고, 여러 비율의 Pt-Sn/C 합금 촉매를 환원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합성한 전극에 대한 특성 분석 및 메탄올 산화반응의 촉매적 활성과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원법을 이용하여 전처리 카본에 다양한 비율의 Pt/Sn을 담지 시킨 Pt-Sn/carbon 촉매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촉매는 TEM 분석을 통해 메탈 나노 입자들은 카본 표면에 고르게 분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구체 용액 내의 상대적인 농도를 변화시켜 Pt/Sn 비율이 성공적으로 되었음을 ED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 산소 환원 반응 특성은 0.5 M H2SO4 수용액에서 RDE (Rotating Disk Electrode)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전극은 잘 분산된 촉매 잉크를 디스크의 카본 표면에 코팅하고 그 위를 5% Nafion 용액을 코팅한 것을 사용하였다.
  • 산소로 포화된 0.5 M H2SO4 수용액에서 -0.1∼0.8 V (vs. Ag/AgCl)의 범위에서 RDE (Rotating Disk Electrode)를 이용하여 산소 환원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 Ag/AgCl)의 범위로 수행하였고, 모든 전극은 5% Nafion 용액과 2-propanol을 적절한 비율로 촉매와 혼합하여 분산시킨 잉크를 GDL paper에 고르게 뿌려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샘플은 계산된 같은 양의 금속(approximately 0.4 mg metal/cm2)이 담지 될 수 있도록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일정한 크기의 셀(지름이 1 cm인 원형 셀)에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합성된 촉매의 결정성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Philips, X’pert MPD)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Pt와 Sn의 산화가는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rmo-scientific, ESCA 2000)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 합성된 촉매의 조성과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DS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과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Philips, CM200) 분석을 수행하였다.
  • 합성한 전극의 메탄올 산화반응은 전기화학분석장치(Potentiostat; Princeton applied research, VSP)를 이용하여 0.5 M CH3OH와 0.5 M H2SO4의 혼합수용액에서 -0.2∼1.2 V (vs. Ag/AgCl)의 범위로 수행하였고, 모든 전극은 5% Nafion 용액과 2-propanol을 적절한 비율로 촉매와 혼합하여 분산시킨 잉크를 GDL paper에 고르게 뿌려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Figure 4. Cyclic voltammograms of synthesized Pt-Sn/C catalysts with respect to the tin content: 0% (Black Line), 5% (Red Line), 10% (Green Line), 15% (Blue Line), 20% (Yellow Line), 35% (Purple Line), and 50% (Gray Line).
  • 모든 전기화학적 분석에 이용한 전기화학 셀은 Ag/AgCl을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Pt전극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극을 각각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과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이용한 3원 전극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입자 사이즈와 분산 정도의 확인을 위해 TEM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t-Sn (80 : 20)/C 샘플의 TEM 분석 결과를 Figure 2에 나타내었다. 환원법에 의해 10 nm 이하의 입자가 합성되었으며 카본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론/모형

  • 0.5 M H2SO4 용액 내에서 합성된 촉매의 산화환원 반응 특성을 20 mV/s의 속도로 -0.2∼1.2 V (vs. Ag/AgCl)의 범위에서 순환전압법(Cyclic Voltammetry)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Figure 4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소 연료전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어떤 원료들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인가? 그러나 대부분의 연료전지의 연료인 수소는 가격이 비싸고 운송이 어려워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저가이고 저장, 운송이 용이한 탄화수소들(메탄, 프로판, 가솔린, 디젤 또는 메탄올 등)을 연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3].
연료전지란 무엇인가? 연료전지는 산화⋅환원반응을 통하여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직류 전류를 생산하는 전지이며, 연료를 전기로 직접 변환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 또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질이 반응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는 종래의 전지와는 다르게 외부에서 연료가 공급되는 한 영구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와 어떤 차이점을 갖는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의 변환된 형태로써 유사한 구조와 작동원리를 갖고 있으나, 연료로 수소 대신 액체인 메탄올을 직접 산화전극(Anode)에 공급하여 사용한다. DMFC는 PEMFC와는 달리 가습장치와 개질 장치가 필요 없으며 액체인 메탄올을 연료로 바로 이용하기 때문에 연료의 취급과 저장이 용이하며 연료공급 체계가 단순하고, 장치가 간단하여 전지의 소형화가 가능해 휴대전화, PMP,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력원, 소형 자동차용 전원 등에 가장 적합한 연료전지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S. Oh and G. J. Kim, J. Korean Ind. Eng. Chem., 18, 459 (2007). 

  2. S. $Vo\beta$ , H. Kollmann, and W. Kollmann, J. Power Sources, 127, 93 (2004). 

  3. K. J. Jeong, C. M. Miesse, J. H. Choi, J. Y. Lee, J. H. Han, S. P. Yoon, S. W. Nam, T. H. Lim, and T. G. Lee, J. Power Sources, 168, 119 (2007). 

  4. Z. D. Wei and S. H. Chan, J. Electroanal. Chem., 569, 23 (2004). 

  5. B. Gurau and E. S. Smotkin, J. Power Sources, 112, 339 (2002). 

  6. P. dimitrova, K. A. Friendrich, U. Stimming, and B. Vogt, Solid State Ionics, 150, 115 (2002). 

  7. J. Prabhuram, T. S. Zhao, C. W. Wong, and J. W. Guo, J. Power Sources, 134, 1 (2004). 

  8. V. Radmilovic, T. J. Richardson, S. J. Chen, and P. N. Ross Jr., J. Catal., 232, 199 (2005). 

  9. F. Colmati, E. Antolini, and E. R. Gonzalez, Appl. Catal. B: Environ., 73, 106 (2007). 

  10. J. Prabhuram, T. S. Zhao, C. W. Wong, and J. W. Guo, J. Power Sources, 134, 1 (2004). 

  11. D. J. Davis, G. Kyriakou, and R. M. Lambert, J. Phys. Chem. B, 110, 11958 (2006). 

  12. J. B. Xu, T. S. Zhao, and Z. X. Liang, J. Power Sources, 185, 857 (2008). 

  13. J. H. Kim, S. M. Choi, S. H. Nam, M. H. Seo, S. H. Choi, and W. B. Kim, Appl. Catal. B: Environ., 82, 89 (2008). 

  14. G. Neri, C. Milone, S. Galvagno, A. P. J. Pijpers, and J. Schwank, Appl. Catal. A: Gen., 227, 105 (2002). 

  15. A. Damjanovic, M. A. Genshaw, and J. O'M. Bockris, J. Chem. Phys., 45, 4057 (1966). 

  16. J, Perez, A. A. Tanaka, E. R. Gonzalez, and E. A. Ticianelli, J. Electrochem. Soc., 141, 432 (c). 

  17. J. Maruyama, M. Inaba, and Z. Ogumi, J. Electroanalytical Chem., 458, 17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