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디자인이 식립 회전력과 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 분석
Effect of Implant Designs on Insertion Torque and Stress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26 no.2, 2010년, pp.205 - 220  

김장응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 교실) ,  최유성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 교실) ,  임종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 교실) ,  조인호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디자인이 주입회전력과 주변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삼차원 유한 요소 분석을 이용하여 유효 응력모멘트 그리고 축력을 측정, 비교 조사하였다. 나사형 임플란트 매식체의 디자인을 4종의 평행형과 7종의 근첨형으로 구분하였고 하악골 소구치 부위에 식립한 것으로 가정하여 유한 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임플란트가 식립될 때 주변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근첨형 임플란트가 평행형 임플란트에 비해 높은 식립 회전력을 보여 초기 고정력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응력 분산 측면에 있어서는 효율성이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근첨형 임플란트에 비해 평행형 임플란트가 나사산의 높이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첨형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몸체의 경사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응력이 발생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analyze the effect of implant designs on insertion torque and stress by performing a comparative study on von Mises stress, torque and normal force through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Models of the screw type implant were used to model the impl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한 생역학적 연구는 무엇을 전제로 하여 진행되어야 하는가? 골유착성 임플란트의 개념이 등장한 이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임플란트는 치근형 임플란트로 이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이 소개되고 있으나 아직도 몇몇 시스템에 대한 장기간의 임상 예가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각 시스템에 대한 생역학적 연구보다는 재료학적 연구와 표면 특성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9)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한 생역학적 연구는 첫째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하중의 특성, 둘째 임플란트에서 인접 조직으로 전이되는 응력의 성질과 양, 셋째 전이된 응력이 초기 고정시 골개조(bone remodeling)에 미치는 생물학적 의미 등을 전제로 진행되어야 한다.10) 본 연구는 임플란트 외형의 변화에 따른 주변 지지조직에서의 생체역학적인 응력변화를 비교 연구한 것으로 구강내에서 직접 시행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사한 모형을 제작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의 안전성과 골유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 중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골유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Periotest® (Siemens AG, Germany) 이용법5)과 공진 주파수 이용법,6) 그리고 식립 회전력 측정법7)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Al-Nawas 등7)과 Sakoh 등8)이 식립 회전력 측정법에 관하여 발표하였으며 식립 회전력 측정법은 회전 속도를 조정가능한 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회전속도로 탭핑 드릴(tapping drill)이나 자가 관통나사를 삽입할 때 나타나는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여 회전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삽입 중 인접 골을 압박 하면 골과 임플란트 계면에 압축력과 마찰력이 생기면서 모터가 저항을 받아 식립 회전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나타나는 식립 회전력의 증가 정도가 임플란트 디자인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유한 요소의 해석 방법은 무엇으로 대별되는가? 응력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유한요소 분석법이 임플란트 치과학에 도입된1) 이후 많은 연구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임플란트 디자인과 임플란트 주위 변연 골흡수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2,3) 유한 요소의 해석 방법은 하중이 시간에 따라 비교적 빨리 변화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동적 해석 (dynamic analysis)과 하중이 정적으로 작용하거나 하중이 시간에 따라 변하더라도 그 진동수가 물체의 고유 진동수보다 크게 적은 경우에 사용하는 정적 해석(static analysis)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골유착을 전제로 한 다양한 구조 역학적인 유한요소 응력 분석은 정적 상태인 선탄성 범주(linear elastic range) 내에서 시행되었으나, 임플란트 식립 시 골에는 절삭력과 압축력 그리고 마찰 저항 등이 발생되므로 선탄성 범주를 벗어난 소탄성 범주(plastoelastic range) 내에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Weinstein AM. Klawitter JJ, Anand SC, Schuessler R. Stress analysis of porous rooted dental implants. J Dent Res 1976;55:772-7. 

  2. Petrie CS, Williams JL. Comparative evaluation of implant design, influence of diameter, length and taper on strains in the alveolar crest. Clin Oral Impl Res 2005;16:486-94. 

  3. Kitamura E, Stegaroiu R, Nomura S, Miyakawa O. Biomechanical aspect of marginal bone resorption around osseointegrated implants: Considerations based on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Clin Oral Impl Res 2004;15:401-12. 

  4. Satoh T, Maeda Y, Komiyama Y. Biomechanical rationale for intentionally inclined implants in the posterior mandible using 3D finite element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533-9. 

  5. Tricio J, Steenberghe D, Rogenberg D, Duchateau L. Implant stability related to insertion torgue force and bone density : An in vitro study. J Prosthet Dent 1995;74:608-12. 

  6. Meredith N. Assessment of implant stability as a prognotic determinant. Int J Prothodont 1998;11: 491-501. 

  7. Al-Nawas B, Wagner W, Grotz KA. Insertion torque and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of dental implant systems in an animal model with loaded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726-32. 

  8. Sakoh J, Wahlmann U, Stender E, Al-Nawas B, Wagner W. Primary stability of conical implant and a hybrid, cylindric screw-type implant in vitro.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560-6. 

  9. Olsson M, Urde G, Andersen JB, Sennerby L. Early loading of maxillary fixed cross-arch dental prostheses supported by six or eight oxidized titanium implnts : Results after 1 year of loading, case series.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3;5 (suppl 1):81-7. 

  10. Tada S, Stegaroiu R, Kitamura E, Miyakawa O, Kusakari H. Influence of implant design and bone quality on stress/strain distribution in bone around implants :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357-68. 

  11. French AA, Bowles CQ, Parham PL. Comparison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t J Perio & Res 1989;9: 221-9. 

  12. Choi YH, Cho IH. Photoelastic analysis of stresses induced by various superstructures on the endosteal implant.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3;31:679-86. 

  13. McCartney JW. Motion vector analysis of an abutment for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 A pilot study. J Prosthet Dent 1980;43: 15-8. 

  14. Dirtoft B, Jasson JF, Abramson NH. Using holography for measurement of in vivo deformation in a complete maxillary denture. J Prosthet Dent 1985;54:843-5. 

  15. Siegele D, Soletesz J. Numerical investigations of the jaw bon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1989;4:333-40. 

  16. Geng JP, Tan KBC, Lui GR. Applicati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in implant dentistry :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Prosthet Dent 2001;85:585-98. 

  17. Himmlova L, Dostalova T. Kacovsky A, Konvi?kova S. Influence of implant length and diameter on stress distribution : A finite element analysis. J Prosthet Dent 2004;91:20-5. 

  18. Baggi L, Cappelloni I, Girolamo MD, Maceri F, Vairo G. The Influence on implant diameter and length on stress distribution of osseointegrated implants related to crestal bone geography :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J Prosthet Dent 2008;100:422-31. 

  19. Bidez MW, Misch CE. Force transfer in implant dentistry : Original concepts and principles. J Oral Implantol 1992;18:264-74. 

  20. Bidez MW, Misch CE. Issue in bone mechanics related to oral implants. Implant Dent 1992;1:289-94. 

  21. Heung HL, Chang CH, Hsu JT, Fallgatter AM, Ko CC. Comparison of implant body designs and threaded designs of dental implants :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551-62. 

  22. Sutpideler M, Eckert SE, Zobitz M, An KN. Finite element analysis of prosthesis height, angle of force application, and implant offset on supporting bon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819-25. 

  23. Williams KR, Watson CJ, Scott J, Gregory M, Simobab D. Finite element analysis of fixed prostheses attached to osseointegrated implants. Quintessence Int 1990;21:563-70. 

  24. Turkyilmaz I, Aksoy U, McGrumphy EA. Two alternative surgical techniques for enhancing primary implant stability in the posterior maxilla : A clinical study including Bone density, Insertion torque, and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deta.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8;10:231-7. 

  25. Meijer HA, Kuiper JH, Starmans FJM, Bosman F. Stress distribution around dental implants : Influence of superstructure length of implants, and height of mandible. J Prosthet Dent 1992;68:96-102. 

  26. Rieger MR, Mayberry M, Brose MO. Finite element analysis of six endosseous implant. J Prosthet Dent 1990;63:671-6. 

  27. Rieger MR, Fareed K, Adams WK, Tanquist RA. Bone stress distribution for three endosseous implants. J Prosthet Dent 1989;61:223-8. 

  28. Rieger MR, Adams WK, Kinzel GL, Brose MO. Alternative materials for three endosseous implant. J Prosthet Dent 1989;61:717-22. 

  29. Kinni ME, Hokama S, Caputo A. Force transfer by osseointegration implant devic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7;2:11-4. 

  30. Johansson P, Strid KG. Assessment of bone quality from cutting resistance during implant surger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4;9:279-88. 

  31. O'Sullivan D, Sennerby L, Jagger D, Meredith N. A comparision of two methods of enhancing implant primary stability.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4;6:48-57. 

  32. Skalak R.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in osseointegrated prostheses. J Prosthet Dent 1983;49:843-8. 

  33. Kim YJ, Cho IH. On the bone tissue reaction to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treatment method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7;45:71-84. 

  34. Yang SW, Lim HS, Cho IH. The effect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 on the osseointegration and stability of implant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6;44: 606-16. 

  35. O'Sullivan D, Sennerby L, Meredith N. Influence of implant taper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tability of osseointegrated titanium implants.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4;15:474-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