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 임분의 구조 및 천연 갱신
Stand Structure and Seedling Recruitment of Abies holophylla Stands in Yong-In Area, Gyeonggi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1=no.188, 2010년, pp.153 - 162  

박필선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전윤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지역 전나무 임분의 지속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용인시의 정수리, 대대리, 호동 지역 전나무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관목층의 구조와 치수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산림 관리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수리와 대대리 임분에서 전나무는 중요도 40%로 임분을 우점하고 있었으며, 연속적인 연령과 직경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호동 지역 임분은 간벌과 택벌 등의 산림 작업이 이루어졌던 지역으로 전나무가 흉고직경 10-45 cm 범위에 분포하나 대부분 25-30 cm 직경급에 몰려 있고, 단일수관층을 가지고 있었다. 전나무의 연령과 흉고직경의 상관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였으나 높지 않았고($R^2$=0.2, P=0.03), 비슷한 연령대라도 다양한 흉고직경 값을 가졌다. 정수리 임분의 연속적인 직경 분포와 다층수관구조는 전나무가 조림 후 지속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었다. 전나무의 치수는 ha당 2000-33000본까지 발생하였으나, 2-5 cm 직경급의 전나무는 ha당 70-150본 정도로 치수 단계에서 유령목으로 자라나는 동안의 생존율은 낮았다. 지속적인 천연갱신과 연간 약 0.6 cm의 직경생장율은 조사 지역의 환경이 전나무 서식에 비교적 적합한 지역임을 나타낸다. 또한 전나무 임분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여 내음성 수종인 전나무를 대상으로 한 택벌림 경영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ies holophylla Maxim. is a shade tolerant species that has potential to be used for continuous cover forestry system. Stand structure and natural regeneration of A. holophylla stands in Yong-In area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was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self sustainability of A. h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중부의 낮은 야산지역인 본 연구 지역에서 나타난 전나무의 빠른 생장과 원활한 천연갱신은 경기도 지역이 전나무의 조림지로 적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내음성 수종인 전나무 조림 후 지속적인 천연갱신이 일어나 다층구조가 형성되어가고 있는 본 연구지는 택벌림의 가능성도 함께 제시하였다(Hongji, 1999). 향후 전나무 조림지에 대한 추가 연구 및 토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중부 지역 산림의 다양성 및 경제림 확보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 전나무 조림지의 유지 가능성과 천연 갱신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림 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전나무 조림지와 관리가 이루어진 조림지에서 각 임분의 구조와 천연 갱신을 비교하고, 상층유지작업 방식에 적용 가능한 수종으로서의 전나무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층의 임관이 유지되는 택벌 작업의 이점은? , 2008). 상층의 임관이 유지되는 택벌 작업에서는 하층에 양수가 들어오기 어렵고,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음수가 상대적으로 이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수종의 선정은 성공적인 상층유지작업 방식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다.
전나무류는 어떤 수종인가? 전나무류는 내음성을 지닌 대표적인 수종이다. 전나무류는 아시아에서 유럽, 아메리카까지 북반구의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 임분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지역 전나무 임분의 지속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 호동 지역 임분은 어떠한가? 산림 관리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수리와 대대리 임분에서 전나무는 중요도 40%로 임분을 우점하고 있었으며, 연속적인 연령과 직경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호동 지역 임분은 간벌과 택벌 등의 산림 작업이 이루어졌던 지역으로 전나무가 흉고직경 10-45 cm 범위에 분포하나 대부분 25-30 cm 직경급에 몰려 있고, 단일수관층을 가지고 있었다. 전나무의 연령과 흉고직경의 상관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였으나 높지 않았고($R^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성기, 김완수, 이원섭, 김지홍. 2001. 침엽수 조림지에서의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 22(2): 46-57. 

  2. 기상청. 2009. 기상연보 2008. 기상청, 서울. 

  3.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 1996. 오대산국립공원 두로봉- 상황봉 지역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1): 160-168. 

  4. 김경하, 정용호, 정창기. 2003. 전나무림에서 간벌과 가지치기가 임내우 및 차단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2(3): 276-283. 

  5. 김지흥. 1992. 추이행렬 모델에 의한 오대산 활엽수-젓나무속 혼효림의 천이 경향 분석. 한국임학회지 81(4): 325-336. 

  6. 남성열. 2000.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지역 전나무림의 환경 및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임학과 석사학위 논문. 

  7. 신만용, 임주훈, 전영우, 고영주. 1992. 신갈나무-전나무 천연임분 혼효임분의 갱신및 무육방법(1)-임분구조와 작업종-. 한국임학회지 81(1): 21-29. 

  8. 신창호, 홍경락, 최영철, 김원우. 1999. 강원도 오대산 전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개체군 동태. 한국임학회 1999년 정기 총회 및 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한국임학회. pp. 57-58. 

  9. 윤영일. 2007.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 조사를 통한 고전천이론과 임분동태학에 관한 고찰 -Patch Dynamic과 임분 구조를 중점으로-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2): 158-167. 

  10. 이경재, 김지석, 최진우, 한봉호. 2008.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전나무숲 식생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73-183. 

  11. 임업연구원. 1992. 한국 수목도감 4판. 산림청. pp. 562. 

  12. 장동원, 윤영일. 2003. 내설악 전나무 고목림에 존재하는 고사목에 관한 기본 자료조사. 환경생물학회지 21(3): 251-256. 

  13. 정의경, 윤영일. 2005. 내설악 전(젓)나무 고목림 구조 기초 조사. 환경생물학회지 23(2): 141-145. 

  14. 정태성. 1996.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전나무의 임분 특성, 생장 양상 및 천연갱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석사학위 논문. 

  15. 한상섭, 최홍선. 1983. 수목의 수분특성에 관한 생리. 생태학적 해석(II) P-V 곡선에 의한 잣나무와 전나무 지엽의 수분특성 인자와 계절변화. 한국임학회지 63(1): 8-14. 

  16. 한상억, 오창영, 김장수, 이재선. 2008. 전나무 수형목 풍매차대의 생장특성에 대한 유전력 및 개량효과. Journal of Forest Science 24: 41-46. 

  17. 홍경락, 최영철, 강범용, 홍용표. 2001. 오대산 전나무림의 숲틈에서 발생된 전나무 치수들의 공간적 유전구조. 한국임학회지 90(4): 565-572. 

  18. Boucher, Y., Arseneault D. and Siroi, L. 2009. Logging history of a heavily exploited southern boreal forest landscape: Insights from sunken logs and forestry map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8: 1359-1368. 

  19. Cheng, W.-C. and Fu, L.-K. (eds) 1978.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Tomus 7: Gymnospermae. Kexue Chubanshe, Beijing. 

  20.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21. De Groot, R.C., Woodward, B.M. and LeVan, S. 1992. Alternative species and preservatives for wood roofing: laboratory decay studies. Forest Products Journal 42: 57-60. 

  22. Diaci, J. 2002. Regeneration dynamics in a Norway spruce plantation on a silver fir-beech forest site in the Slovenian Alp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61: 27-38. 

  23. Elustondo, D., Avramidis, S. and Zwick, R. 2005. The demonstration of increased lumber value using optimized lumber sorting and radio frequency vacuum drying. Forest Products Journal 55: 76-83. 

  24. European Landowners organization. http://ec.europa.eu/ environment/climat/pdf/ccmf.pdf (2009. 4. 30). 

  25. Hart, C. 1995. Alternative silvicultural systems to clearcutting in Britain: A Review. Forestry Commission Bulletin 115, HMSO, London. 

  26. Hongji, C. 1999. Ecological environment analysis of Abies holophylla plantations under different cutting systems. Journal of Forest Research 10: 181-182. 

  27. Houle, G. and Payette, S. 1991. Seed dynamics of Abies balsamea and Acer saccharum in a deciduous forest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American Journal of Botany. 78(7): 895-905. 

  28. Man, R., Kayahara, G.J., Rice, J.A. and MacDonald, G.B. 2008. Eleven-year responses of a boreal mixedwood stand to partial harvesting: Light, vegetation, and regeneration dynamic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 697-706. 

  29. Mason, B. and Kerr, G. 2001. Transforming even-aged conifer stands to continuous cover management. Forestry Commission Information Note 40. Forestry Commission, Edinburgh. 

  30. Metslaid, M., Jogiste, K., Nikinmaa, E., Moser, W.K. and Porcar-Castell, A. 2007. Tree variables related to growth response and acclimation of advance regeneration of Norway spruce and other coniferous species after releas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0: 56-63. 

  31. Mori, A.S., Mizumachi, E. and Sprugel, D.G. 2008. Morphological acclimation to understory environments in Abies amabilis, a shade- and snow-tolerant conifer species of the Cascade Mountains, Washington, USA. Tree Physiology 28: 815-824. 

  32. Nakagawa, M., Kurahashi, A. and Hogetsuc, T. 2003. The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and Abies sachalinensis on cut stumps in the sub-boreal forests of Hokkaido Tokyo University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0: 353-359. 

  33. Oliver C.D. and Larson, B.C. 1996. Forest stand dynam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520. 

  34. Pommerening, A. 2006. Transformation to continuous cover forestry in a changing environ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4: 227-228. 

  35. Poorter, L., Bongers, F., Sterck, F.J. and Woll, H. 2005 Beyond the regeneration phase: differentiation of heightlight trajectories among tropical tree species. Journal of Ecology 93: 256-267. 

  36. Quiring, D., Ostaff, D., Hartling, L., Lavigne, D., Moore, K. and DeMerchant, I. 2008. Temperature and plant hardiness zone influence distribution of balsam woolly adelgid damage in Atlantic Canada. Forestry chronicle 84: 558-562. 

  37. Sanchez-Gomez, D., Valladares, F. and Zavala, M.A. 2006. Functional traits and plasticity in response to light in seedlings of four Iberian forest tree species. Tree physiology 26: 1425-1433. 

  38. Silba, J. 1986. An international census of the Coniferae. In: Moldenke, H.N. and Moldenke, A.L. (eds). Phytologiamemoir no. 8. Corvallis, OR. 

  39. Smith, D.M., Larson, B.C., Kelty, M.J., Mark, P. and Ashton, S. 1997.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Applied Forest Ecology, 9th edn. Wiley and Sons, NY. pp. 5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