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산불 발생 공간분포는 인간 활동과 큰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지역별 군집형태의 강한 공간의존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존성의 개념에 입각하여 점자료 분석법을 통한 산불발생의 공간분포패턴을 분석하였다. Ripley의 K 함수를 이용하여 산불 발생 원인별 공간분포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Kernel 함수를 통해 산불발생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도는 상이하지만 모든 원인의 산불이 임의(random) 분포가 아닌 군집화(clustered)되어 발생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 발생의 군집성을 원인별로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전국적 발생 패턴을 가지는 원인으로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과 같은 활동과 관련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국지적 군집성을 가지는 원인으로 담뱃불이나 어린이 불장난, 방화이다. 그 군집성의 범위는 30 km내외로 나타났으며, 그 범위 밖에서는 임의 분포하고 있었다. Kernel 함수에 의한 원인별 집중도 분석에서는 강한 군집도를 나타냈던 3가지 원인(담뱃불, 어린이 불장난, 방화)의 경우 대부분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is highly related to human activities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shows a strong spatial dependency with cluster pattern. In this study, we analyze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forest fire with point pattern analysis considering spatial dependency. Distribu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 자료의 공간적 집중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가 밀도 분석이다. 밀도 분석은 점패턴의 1차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질적으로 공간에서 특정 위치에 대한 밀도는 격자(Quadrat)분석이나비모수적 밀도추정법을 이용하여 산출한다(Schabenberger와 Gotway, 2005).
  • 본 연구는 산불 발생의 점 패턴 자료에 대한 원인별 공간 분석을 시도하였다. 산불 발생 원인과 그 발생 패턴 간에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국내에서는 생태계나 범죄, 보건 자료에 대한 연구는 존재하지만 산불발생 패턴에 대한 공간적 분석은 아직까지 시도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지점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그 원인별 발생 패턴을 공간통계학적 방법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공간통계적 분석에서 점 자료는 점 분석(Point Process)이라는 틀로 분석을 한다. 가장 기본적인 전제는 모든 사건은 D라는 임의(random)의 공간 안에서 일어난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진다. 이 분석법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데이터의 특징은 점 데이터 자체의 구체적인 값이 아니라, 각 지점 자체의 위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 발생의 군집성의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산불 발생의 군집성을 원인별로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전국적 발생 패턴을 가지는 원인으로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과 같은 활동과 관련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국지적 군집성을 가지는 원인으로 담뱃불이나 어린이 불장난, 방화이다. 그 군집성의 범위는 30 km내외로 나타났으며, 그 범위 밖에서는 임의 분포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산불의 원인 중 강한 군집도를 나타내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 군집성의 범위는 30 km내외로 나타났으며, 그 범위 밖에서는 임의 분포하고 있었다. Kernel 함수에 의한 원인별 집중도 분석에서는 강한 군집도를 나타냈던 3가지 원인(담뱃불, 어린이 불장난, 방화)의 경우 대부분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산불은 임의 분포를 따르는가 아니면 군집화되어 발생하는가? Ripley의 K 함수를 이용하여 산불 발생 원인별 공간분포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Kernel 함수를 통해 산불발생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도는 상이하지만 모든 원인의 산불이 임의(random) 분포가 아닌 군집화(clustered)되어 발생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 발생의 군집성을 원인별로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구교상. 2008. 산불 발생 분포와 지형, 지리, 기상 인자간의 관계 분 석.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pp. 465-470. 

  2. 산림청, 산불정보시스템. http://sanfire.forest.go.kr/foahome/ (2009. 9. 15). 

  3. 안상현,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신영철. 2004. 공간분 석에 의한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및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 57-64. 

  4. 원명수, 구교상, 이명보. 2006. 우리나라의 봄철 순평년 온습도 변화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성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4): 250-259. 

  5. 이병두, 원명수, 장광민, 이명보. 2008. 지형과 산불피 해도와의 관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 58-67. 

  6. 이시영, 강용석, 안상현, 오정수. 2002.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역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20-26. 

  7. 이시영, 안상현, 원명수, 이명보, 임태규, 신영철. 2004.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2): 37-46. 

  8. 이시영, 한상열, 안상현, 이명보, 오정수. 2001a. 구두발 표 6 분과; 삼림기상/산불 : 지역별 산불발생 위험요인 특성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23-126. 

  9. 이시영, 한상열, 안상현, 오정수, 조명희, 김명수. 2001b. 강원도 지역 산불발생인자의 지역별 유형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3): 135-142. 

  10. 정형철, 전명식. 1991. 커널확률밀도함수 추정을 활용한 군집분석. 응용통계 6: 27-41. 

  11. 최광용, 권원태. 2008. 현재와 미래 우리나라 겨울철 강 수형태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3(1): 1-19. 

  12. Baddeley, A. and Silverman, B. 1984. A cautionary example on the use of second-order methods for analyzing point patterns. Biometrics 40(4): 1089-1093. 

  13. Chuvieco, E. and Salas, J. 1996. Mapp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fire danger using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0(3): 333-345. 

  14. Diggle, P. 1983. Statistical analysis of spatial point patterns, Academic Press, London. 

  15. Diggle, P. 1985. A kernel method for smoothing point process data.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Applied Statistics) 34(2): 138-147. 

  16. Dixon, P. 2002. Ripley's K-function. In: El-Shaarawi, A. H. & Piergorsch, W.W. (eds.) The encyclopedia of environ- metrics, pp. 1976-1803. John Wiley & Sons Ltd, New York, NY, US. 

  17. Garcia, V., Woodard, P., Titus, S., Adamowicz, W. and Lee, B. 1995. A logit model for predicting the daily occurrence of human caused forest fire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5(2): 101-111. 

  18. Getis, A. and Franklin, J. 1987. Second-order neighborhood analysis of mapped point patterns. Ecology: 473-477. 

  19. Kasischke, E., Williams, D. and Barry, D. 2002. Analysis of the patterns of large fires in the boreal forest region of Alask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1(2): 131-144. 

  20. Martell, D., Otukol, S., and Stocks, B. 1987. A logistic model for predicting daily people-caused forest fire occurrence in Ontario.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7(5): 394-401. 

  21. Pew, K. and Larsen, C. 2001. GIS 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human-caused wildfires in the temperate rain forest of Vancouver Island, Canad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0(1): 1-18. 

  22. Ripley, B. 1976. The second-order analysis of stationary point processes. Journal of Applied Probability: 255-266. 

  23. Schabenberger, O. and Gotway, C. 2005. Statistical methods for spatial data analysis. CRC Press. 

  24. Silverman, B. 1981. Using kernel density estimates to investigate multimodalit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43(1): 97-99. 

  25. Stone, C. 1984. An asymptotically optimal window selection rule for kernel density estimates. The Annals of Statistics: 1285-1297. 

  26. Yang, J., He, H., Shifley, S. and Gustafson, E. 2007. Spatial patterns of modern period human-caused fire occurrence in the Missouri Ozark Highlands. Forest Science 53(1):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