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14년간('91-'04) 산림청에 보고된 전국 산불발생 통계자료를 변수로 SPSS Ver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도별,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 지역별, 피해 수종별, 원인별, 피해면적별, 진화 소요시간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산불발생건수는 2001년도에 가장 많았고, 월별로는 매년 4월에, 시간대 별로는 $14{\sim}15$시 사이에, 요일별로는 일요일에, 지역별로는 경북 > 강원 > 전남 > 경기 순으로, 피해 수종별로는 소나무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원인별로는 입산자실화와 논 밭두렁소각 등이 주요 원인이지만 최근에는 방화에 의한 산불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피해면적별로는 5 ha 미만의 소형 산불이 93.7%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었고, 30 ha 이상의 대형 산불은 강원도 지역이 44.2%로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진화소요 시간별로는 30 ha 이상의 대형 산불(1,113분)이 5 ha 미만의 소형 산불(148분)보다 7.5배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 산불에 의한 피해면적은 건당 평균 470 ha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forest fire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year, month, time, day of the week, region, damaged species, cause, and damaged area are checked, and the statistics of the forest fire causing materials in recent 14 years ('91-'04) a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year majority of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 임상, 지형 및 산불발화 지점의 조건에 따른 우리나라의 산불발생위험지수개발 에 대한 기존 연구 이외에 산불발생위험지수개발의 기 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산불발생의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류장혁, 이광원, '산불의 실태와 대책',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정책연구보고 P15, p.211 (1996) 

  2. 오정수, 이명보, 김명수, 이시영, '외국의 산불예방과 진화',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92호, pp.129-133 (2002) 

  3. J. E. Deeming, J. W. Lancaster, M. A. Fosberg, R. W. Furman, and M. J. Schroeder,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RM-84, p.165(1972) 

  4. J. E. Deeming, R. E. Burgan, and J. D. Cohen, 'The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1978', USDA Forest Service Gen Tech Rep INT-39, p.63(1977) 

  5. L. S. Bradshaw, J. E. Deeming, R. E. Burgan, and J. D. Cohen, 'The 1978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Technical Documentation', USDA Forest Service Gen Tech Rep INT-169, p.44(1983) 

  6. 정연하, 이시영, 염육철, 여운홍, '산화위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Vol. 38, pp.117-123(1989) 

  7. K. Choi and S. Y. Han, 'Developing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Using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Vol. 85, No. 1, pp.15-23(1996) 

  8. S. Y. Lee, S. Y. Han, S. H. An, J. S. Oh, M. H. Jo, and M. S. Kim, 'Regional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 Factors in Kangwon Provinc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3, No. 3, pp.135-142(2001) 

  9. 이시영, 한상열, 원명수, 안상현, 이명보, '기상특성을 이용한 전국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 6, No. 4, pp.242-249(2004) 

  10. 이시영, 원명수, 한상열, '산불발화지점의 임상 및 지형특성을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수 개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 19, No. 4, pp.75-79(2005) 

  11. 이시영, '한국 산불의 특성', 강원대학교 삼림과학연구, Vol. 16, pp.156-163(2000) 

  12. 이시영 외, '청양.예산 산불피해지 정밀조사보고서', 청양.예산 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pp.13-24(2003) 

  13. 정연하, 이시영, 염육철, '산불발생위험시기 분석 및 위험지수 분석', 임업연구원연구보고, Vol. 49, pp.92-102(1994) 

  14. 이시영 외, '삼림환경보전학', 향문사, pp.34-70(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