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본점 설계방법과 적용 단목재적식 변경에 따른 임목축적 차이의 구명
Analysis of Difference in Growing Stock Volume Estimates by the Changes of Cluster Plot Design and Volume Equatio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3=no.190, 2010년, pp.304 - 311  

한원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김성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김종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6년부터 시작된 국가산림자원조사부터 표본점 설계방법과 적용 단목재적식을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과거와는 다른 임목축적 추정치의 경향을 보이고 있어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개 집락의 80개 표본점을 대상으로 제4차 및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표본점 설계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종별 단목재적식과 과거에 사용하였던 단목재적식을 적용하여 임목축적을 추정한 후 표본점 설계 방법 및 적용 단목재적식의 변경에 따른 임목축적 추정치의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임목축적 차이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표본점 설계방법의 변경에 따른 임목축적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용된 단목재적식의 변경에 의해서 통계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임목축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통해 얻어지는 임목축적은 적용 단목재적식의 변경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국제기구에 보고하기 위해서는 재계산을 통해 2006년 이전의 임목축적 추정치의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has been adopting different cluster plot design and new equations to estimate growing stock volumes since 2006. These changes have resulted in volume estimations which show some difference from previous one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ource of such diff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전 산림통계의 재계산을 위한 사전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에서 사용하였던 표본점 설계방법과 적용 단목재적식, 그리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표본점 설계방법과 적용 단목재적식을 사용하여 임목축적을 추정한 후,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함으로써 표본조사 방법의 변경에 따른 산림통계 차이의 양과 원인을 파악하여 재계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에서 사용되었던 표본점 설계방법과 제5차 NFI에서 새롭게 실시하고 있는 표본점 설계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산림통계가 통계적으로 서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기존의 표본점 설계방법과 임목축적 산출 방법이 새롭게 적용된 방법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차이를 보일 경우 그 차이의 양과 원인을 파악하여 이전의 산림통계를 보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표본점 설계방법과 적용 단목재적식의 변경에 의해 산출되는 입목축적에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개 집락에서 Type 1과 Type 2의 표본설계 방법에 따라 각각 80개씩 총 160개의 표본점 자료를 수집하고, 이 자료에 두 가지 단목재적식을 적용하여 ha당 입목축적을 산출한 후 통계분석을 통해 입목축적 추정치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표본점 설계방법에 따라 산림통계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동일한 지점에서 Figure 1과 같이 제4차 NFI까지 사용하였던 표본점 설계방법(Type 1)과 제5차 NFI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본점 설계방법(Type 2)에 의해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분석을 통해 두 가지 표본점 설계에 의한 산림통계의 차이 유무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Type 1의 표본점 설계방법은 중심표본점에서 0°, 90°, 180° 의 3개 방향으로 50 m의 거리에 부표본점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반경 12.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표본점 설계방법의 변경에 따른 임목축적의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표본점 설계방법만을 비교하여 임목축적의 차이를 점검하였기 때문에 표본설계에 따라 달라지는 입목축적 추정치의 차이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에서 사용되었던 표본점 설계방법과 제5차 NFI에서 새롭게 실시하고 있는 표본점 설계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산림통계가 통계적으로 서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기존의 표본점 설계방법과 임목축적 산출 방법이 새롭게 적용된 방법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차이를 보일 경우 그 차이의 양과 원인을 파악하여 이전의 산림통계를 보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에서 산림통계를 어떻게 산출하였는가? 이러한 여건에서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시작된 제5차 NFI부터는 새로운 조사체계에 따라 산림자원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에서는 기본계획구별로 임상별 산림면적의 비율에 따라 층화집락추출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산림통계를 산출하였지만, 제5차 NFI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일정한 거리마다 표본점을 배치하는 계통적 집락추출법을 적용하여, 임목자원 이외의 다양한 산림환경생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국립산림과학원, 2008).
산림자원조사체계로의 개편은 어떠한 방향으로 필요성이 대두되었는가? , 2001). 즉,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통해 이전과는 달리 임목자원뿐만 아니라 생태환경 등의 다양한 인자를 측정할 수 있는 조사체계로의 개편에 대한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었다(Tokola and Shrestha, 1999; Magnussen et al., 2000).
기존 시행되었던 산림자원조사의 한계점은? 우리나라는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최초의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라고 할 수 있는 제1차 전국산림실태조사를 실시한 이후, 제2차(1978~1980년) 그리고 제3차(1986~1992년)를 거쳐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를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시행하였는데 주로 임목자원 위주의 조사를 실시하였다(산림청, 2005). 이와 같이 그동안의 산림자원조사는 임목자원 중심의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산림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신만용과 한원성, 2006).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국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산림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새로운 산림자원조사체계로의 개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신만용 등, 2002; Kleinn, 1994; Ghosh and Innes, 1996; Tompp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국립산림과학원. 1996. 전국산림자원조사요령. pp. 49. 

  2. 국립산림과학원. 2004. IPCC 우수실행 지침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 pp. 423. 

  3. 국립산림과학원. 2008.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지침서 Version1.2. pp. 59. 

  4. 산림청. 2005.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른 산림자원조사체계 개편 연구(4차). pp. 290. 

  5. 산림청. 2007. 임업통계연보. pp. 485. 

  6. 산림청. 2009. 재적중량표 및 임분수확표. pp. 271. 

  7. 신만용, 이규성, 노대균, 공지수. 2002.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새로운 산림자원조사의 방향. 한국산림자원측정학회지 5(2): 10-20. 

  8. 신만용, 한원성. 2006.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적합한 표본조사 방법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5(3): 370-377. 

  9. 채영암, 구자옥, 서헉수, 이영만. 1987. 기초 생물통계학. 향문사. pp. 418. 

  10. 한원성. 2004.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자원통계 산출방법의 개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4. 

  11. 한원성, 조구현, 오재헌, 송태영, 김재원, 신만용. 2009. 체인톱을 이용한 잣나무의 벌도작업 공정 분석. 한국임학회지 98(4): 451-457. 

  12. Ghosh, S. and Innes, J.L. 1996. Comparing sampling strategies in forest monitoring progra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2: 231-238. 

  13. Kleinn, C. 1994.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line sampling to other forms of cluster sampling.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68: 365-373. 

  14. Magnussen, S., Boundewyn, P.I., Wulder, M. and Seemann, D. 2000. Predictions of forest inventory cover type proportions using Landsat TM. Silva Fennica 34(4): 351-370. 

  15. Tokola, T. and Shrestha, S.M. 1999. Comparison of cluster- sampling techniques for forest inventory in southern Nepa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6: 219-231. 

  16. Tomppo, E., Korhonen, K.T., Heikkinen, J. and Hannu, Y. 2001. Multi-Source inventory of the Forests of the Hebei Forestry Bureau, Heilongjiang, China. Silva Fennica 35(3): 309-327. 

  17. Yim, J.S., Kleinn, C., Kim, S.H., Jung, J.H. and Shin, M.Y. 2009. A comparison of systematic sampling designs for forest inventor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2): 133-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