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Stand Volume in Gyeonggi Province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6, 2010년, pp.827 - 835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김종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이승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김성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산림의 임목축적량과 변화량 탐지의 측면에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신뢰성있는 산림통계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반자료로서의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들이 아직 행정구역단위 통계로만 산출되고 있어 산림 통계량의 공간적 분포와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해 임상특성별 임분재적 추정모델을 개발하고, 임상도와 통합하여 임분재적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산림의 임분재적 추정모델 개발을 위해 연구대상지에 포함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점별 임분재적과 흉고단면적합을 산출하고, 표본점의 임황정보(수종, 경급, 영급, 소밀도)를 모델개발에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수종, 영급, 소밀도 기준에 따른 임분재적 모델이 구축되었으며, 본 모델을 임상도에 적용해 임분재적 주제도와 불확실성 주제도를 제작했다. 임분재적 주제도에 의한 연구대상지의 평균 임분재적은 85.7 $m^3$/ha이며, 95% 신뢰구간을 고려했을 때 약 79.7~91.8 $m^3$/ha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iable forest statistics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meet the UNFCCC. In this respect,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has played a crucial role to provide the reliable forest statistics for several decades. However, the previous forest statistics calculat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has no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상도는 축적 1/15,000 항공사진을 판독하여 임분의 임상·주요수종·경급·영급·소밀도 등의 정보를 지도화 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분재적 공간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기본도로서 제4차 임상도를 이용했다. 4차 임상도는 2005년에 제작 완료된 가장 최신의 임상도이며, 4차 국가산림자원조사와 동일한 시기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본 임상도에서 산출된 결과물은 시간적 통일성을 고려하여 제4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종과 경급(또는 영급) 구분에 따른 소밀도 정보를 흉고단면적합으로 환산할 수 있는 모델과 흉고단면적합에서 다시 임분재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수종별 모델을 나눠서 개발하여 최종적으로는 두 모델을 통합하여 임분재적 추정모델을 구축하고자 했다. 즉,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을 위해 먼저 아래와 같이 i) 임상과 경급(또는 영급)을 고려하여 소밀도와 흉고단면적합의 관계를 도출하고 그 다음으로 ii) 수종을 고려하여 흉고단면적합과 임분재적의 관계를 도출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국내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있는 산림공간자료인 임상도를 이용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바이오매스량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전단계인 임분재적 공간분포를 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임황특성별 임분재적 추정모델을 개발하고, 이 모델을 임상도에 적용해 임분재적의 공간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주제도를 제작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국내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있는 산림공간자료인 임상도를 이용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바이오매스량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전단계인 임분재적 공간분포를 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또한 임상도를 이용한 임분재적 주제도 제작 방법론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개선·보완 사항을 도출하여 향후 임상도 기반의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 제작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서울·인천·경기지역 산림의 일반적 특성을 추출하고 임상도를 이와 결합하여 폴리곤 단위의 평균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을 가능하게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속형 자료를 기반으로 하고 공간적으로 보다 세밀한 임분재적 추정을 위해서는 수고와 밀도 추정에 필요한 위성영상이나 입지도 등 부가적인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측정하는 것은? 국가산림자원조사는 1972~1975년의 제1차 조사를 시작으로 제2차(1978~1981), 제3차(1986~1992), 제4차(1996~2005)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현재 제5차 조사(2006~2010)가 실시 중에 있다. 전국 산림을 통계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표본점을 설정하고 표본점의 임황정보(토지이용, 임상, 경급, 영급, 밀도 등)와 표본점 내의 모든 수목의 수종, 흉고직경 등의 자료를 측정하고 있다. 현재 수행중인 5차 조사에서는 이전의 임목자원 인자에 추가해서 산림생태, 환경 인자를 포함하여 조사하므로 보다 다양하고 질 높은 국가차원의 산림정보가 축적되고 있다(심우범 등, 2008).
국가산림자원조사의 목표는?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는 산림에 대한 국가적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후변화협약의 체결 및 교토의정서 발효에 의해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서의 산림바이오매스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다.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어느 시기에 어떠한 순서로 진행되었는가? 국가산림자원조사는 1972~1975년의 제1차 조사를 시작으로 제2차(1978~1981), 제3차(1986~1992), 제4차(1996~2005)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현재 제5차 조사(2006~2010)가 실시 중에 있다. 전국 산림을 통계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표본점을 설정하고 표본점의 임황정보(토지이용, 임상, 경급, 영급, 밀도 등)와 표본점 내의 모든 수목의 수종, 흉고직경 등의 자료를 측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국립산림과학원. 2005. 산림자원조사보고서(민유림): 경기도 기본계획구, 국립 산림과학원. 서울. pp. 656. 

  2. 김갑덕. 1985. 산림측정학. 향문사. 서울. pp. 275. 

  3. 김경민, 김철민, 전은진, 공지수. 2008. 수치임상도 (1:25,000) 표준 제작체계.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pp. 259. 

  4. 산림청. 2005. 임업통계연보. 산림청. 대전. 

  5. 손영모, 이경학. 2004. 우리나라 소나무의 생장. 숲과 문화 총서 12: 319-328. 

  6. 심우범, 정진현, 김성호, 김준섭, 류주형, 김종찬, 서수안, 유병오. 2008.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현지조사 매뉴얼.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7.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4): 311-320. 

  8. 정상영, 임종수, 조현국, 정진현, 김성호, 신만용. 2009.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한국임학회지 98(4): 409-416. 

  9. Blackard, J.A., Finco, M.V., Helmer, E.H., Holden, G.R., Hoppus, M.L., Jacobs, D.M., Lister, A.J., Moisen, G.G., Nelson, M.D., Riemann, R., Ruefenacht, B., Salajanu, D., Weyermann, D.L., Winterberger, K.C., Brandeis, T.J., Czaplewski, R.L., McRoberts, R.E., Patterson, P.L. and Tymcio, R.P. 2008. Mapping U.S. forest biomass using nationalwide forest inventory data and moderate resolution inform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 1658-1677. 

  10. Chun, J.H., Lim, J. and Lee, D.K. 2007. Biomass Estimation of Gwangneung Catchment Area with Landsat ETM+ Imag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5): 591-601. 

  11. Fournier, R.A., Luther J.E., Guindon L., Lambert M.-C., Piercey, D., Hall, R.J. and Wulder, M.A. 2003. Mapping aboveground tree biomass at the stand level from inventory information: test cases in Newfoundland and Quebec.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3: 1846-1863. 

  12. Hall, R.J., Arsenault E.J., Boudewyn P., Filiatrault M., Gillis M.D., Beaudoin A., Luther J.E. and Wulder M.A. 2009. Creating a national forest biomass map of Canada by integrating satellite data and models. GOFC-GOLD Biomass meeting (June 15, 2009). 

  13. Knowles, R.L., Horavath G.C., Carter M.A. and Hawke, M.F. 1999. Developing a canopy closure model to predict overstorey/understorey relationships in Pinus radiata silvopastoral systems. Agroforestry Systems 43: 109-119. 

  14. Labrecque, S., Fournier R.A., Luther J.E. and Piercey D. 2006. A comparison of four methods to map biomass from Landsat-TM and inventory data in western Newfound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6: 129-144. 

  15. Nelson, M., Moisen G., Finco, M. and Brewer, K. 2007. Forest inventory and analysis in the United States: remote sensing and geospatial activiti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3(7): 729-7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