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엽송의 용기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 탐색
Exploration of Optimum Container for Production of Larix leptolepsis Container Seedling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4, 2010년, pp.638 - 644  

김종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경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송기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차영근 (건국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정영숙 (건국대학교 생명환경연구소) ,  이종화 (산림청 용문양묘사업소) ,  윤택승 (수프로식물환경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조림수종인 낙엽송의 용기묘 생산에 필요한 적정 용기개발에 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실시되었다. 1년생 용기묘의 수고 생장은 250 mL 용기에서 19.3 cm로, 2년생은 500 mL 용기에서 56.9 cm로 가장 컸으며, 근원경 생장은 1, 2년생 모두 500 mL 용기에서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2년생 용기묘의 건물 생산량은 묘목 전체 및 각 기관별 모두 용기 용적이 클수록, 묘목 밀도는 낮을수록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WinRhizo 프로그램을 이용한 뿌리형태 특성 분석에서 용적이 큰 용기가 작은 용기보다 전체뿌리길이, 투영단면적, 표면적, 평균뿌리직경, 그리고 뿌리부피가 더 크고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뿌리형태 특성분석 요소 중 뿌리부피가 용적차이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았는데 500 mL에 비하여 320 mL는 79.5%, 250 mL는 46.8% 수준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informations on the optimum container for production of Larix leptolepsis container seedlings. Height growth of 1-year-old container seedling was highest in 250 mL of container (19.3 cm), and of 2-year-old seedling was in 500 mL (56.9 cm). On the other h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지양묘로 생산되고 있는 낙엽송의 묘목생산을 용기묘 생산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용기묘 생산에 필수적인 적정 용기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특히, 용기의 용적, 형태 및 생육밀도 구명 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노지묘 1-1묘로 조림되고 있는 낙엽송을 용기묘로 생산하는데 있어서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 중 적정 용기를 선정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현재 1회 이식을 통한 2년생 노지묘(1-1묘)를 식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특히, 본 실험에서는 낙엽송 1, 2년생 용기묘 생산을 목표로 실험 결과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 현재 낙엽송은 2년생 노지묘로 식재되고 있고 생산과정에서 한번 이식시켜 2년생묘로 키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식없이 용기 내에서 2년생묘를 생산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용적이 작은 용기에서 1년 동안 생육시킨 후 노지로 이식시켜 키울 수도 있고, 1년생 용기묘 자체를 생산목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1년 생육 후의 용기묘도 생육상황을 조사하였다. 생육조사는 수고, 근원경 및 건물생산량을 각각 생육년도의 후반기인 2008년 10월 20일과 2009년 10월 24일에 측정하였는데, 건물생산량 측정은 건조기(65℃)에서 72시간 건조시킨 후 실시하였다.
  • 현재 1회 이식을 통한 2년생 노지묘(1-1묘)를 식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특히, 본 실험에서는 낙엽송 1, 2년생 용기묘 생산을 목표로 실험 결과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사용된 9 종류의 용기 중에서 낙엽송 용기묘는 용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생장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낙엽송 용기묘 생산에 적정한 용기의 크기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엽송의 단점은 무엇입니까? 이 수종은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식재되고 있으며 앞으로 국가 조림정책면에서도 그 식재비율을 증대시키고자 하고 있다(산림청, 2008). 하지만 낙엽송은 종자결실주기가 길어 우량종자 확보가 생명인 묘목생산 분야에 있어서 종자부족과 장기저장 종자 사용에 따른 낮은 발아율 등의 문제점도 도출되고 있다. 낙엽송의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일찍부터 국내에서도 많이 수행되었는데, 종자결실과 유전력(김규식 등 1989; 신동일과 Karnosky, 1995), 무성번식을 통한 묘목생산 가능성(김용욱 등, 2002; 구영본과 현정오, 1996), 그리고 적정 조림시기 구명을 통한 활착률 증진(마상규, 1982) 등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적정 크기는 무엇에 의해서 결정됩니까? 일반적으로 용기의 적정 크기는 용기의 특성, 생산수종, 상토종류, 생육시설 위치 및 생육기간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Barnett, 1974; Landis 등, 1990). 그리고 크기에는 깊이(높이), 용적, 묘목 밀도 등이 중요한 요소로 포함된다.
수종별로 규격에 적합한 우량한 용기묘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적정 용기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수종별로 요구되는 규격에 적합한 우량한 용기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생육환경제어와 함께 적정 용기 및 생육상토의 선택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Edwards와Huber, 1982; Landis 등, 1990). 적정 형태 및 크기(깊이, 용적, 밀도 등)의 용기 선택은 매우 신중하게 해야 하는데, 이는 생산과정에서 원활하게 생육시키기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조림지에 식재된 후 활착과 초기 생장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Dominguez-Lerena 등, 2006; South 등, 2005).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우량한 낙엽송 용기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도 적정 용기의 선정은 생산에 앞서 중요한 선결 요소로 판단되는데, 본 실험의 결과에서도 용기 종류에 따라 생육결과가 매우 다르게 조사된 점을 고려하면 적정 용기의 선정은 더욱 중요시 되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구영본, 현정오. 1996. 낙엽송의 삽목발근에 관련된 물질 및 발근과정. 한국임학회지 85(2): 300-308. 

  2. 김규식, 권혁민, 심상영, 전계상. 1989. 낙엽송과 간도낙엽송의 생장특성과 광의 유전력. 임업육종연구보고 25: 48-52. 

  3. 김용욱, 김준철, 윤양, 문흥규, 이재순. 2002. 낙엽송(Larix leptolepsis) 체세포배 유래 식물체와 종자 실생묘 및 성숙목간의 형태.생리적 특징. 한국임학회지 91(1): 52-58. 

  4. 김종진, 송국현, 윤택승. 2008. 소나무 용기묘의 월동 관리. 한국임학회지 97(1): 53-60. 

  5. 김종진, 오광인, 권기원, 이재선, 손요환, 김판기, 윤택승, 송기선. 2009.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기후 온난화에 대비한 양묘사업 재해방지대책 연구. 한국양묘협회 pp. 134. 

  6. 김종진, 윤택승, 조혜경, 송국현. 2006. 소나무.상수리나무 용기묘와 노지묘의 생육 비교분석 및 효율적 조림방안 연구. 산림청 pp. 221. 

  7. 김진수. 2003. 낙엽송 소고(I). 산림. 2003년 2월호, 60-61. 

  8. 김판기, 권기원, 윤택승, 이경재, 정영숙, 송기선, 차영근, 김종진. 2010. 기상재해에 의한 묘목의 피해. 기후연구 5(2): 148-163. 

  9. 마상규. 1982. 침엽수 식재시기별 활착특성과 식재적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8: 34-40. 

  10. 산림청. 2008. 제5차 산림기본계획. 산림청 pp. 196. 

  11. 신동일, D.F. Karnosky. 1995. 낙엽송의 종자결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임학회지 84(2): 207-217. 

  12. 윤택승, 김종진, 권기원, 송국현, 정영숙, 송기선, 장광은, 최규성, 이정훈. 2009. 시설양묘정책 및 발전방향 연구. 산림청 pp. 118. 

  13. 정차식, 박인동, 유세원. 2006. 강송 용기묘.노지묘 생육상황 비교에 관한 연구. 동부지방산림청 현장기술 Report 2호: 1-7. 

  14. 홍한표, 이명보, 윤종규, 이정주, 윤택승, 김원극, 홍성각, 김종진, 이지현, 이정식, 정순진, 김귀순. 2000. 시설양묘를 이용한 묘목의 대량생산 시업기술 개발. 농림부 pp. 400. 

  15. Arsenault, J.L., Poulcur, S., Messier, C. and Guay, R. 1995. WinRHIZO, a root-measuring system with a unique overlap correction method. HortScience 30(4): 906. 

  16. Barnett, J.P. 1974. Tube lengths, site treatments, and seedling ages affect survival and growth of containerized southern pines. Res. Note SO-174. New Orleans, LA. USDA Forest Service, South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pp. 35. 

  17. Barnett, J.P. and Brissette, J.C. 1986. Producing Southern Pine Seedlings in Containers. General Tech. Rep. SO-59. New Orleans, LA. USDA Forest Service, South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pp. 71. 

  18. BC Ministry of Forests. 1998. Provincial Seedling Stock Type and Ordering Guidelines.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pp. 71. 

  19. Bouma, T.J., Nielsen, K.L. and Koutstaal, B. 2000. Sample preparation and scanning protocol for computerised analysis of root length and diameter. Plant and Soil. 218 : 185-196. 

  20. Dominguez-Lerena, S., Sierra, N.H., Manzano, I.C., Bueno, L.O., Rubira, J.L. and Mexal, J.G. 2006. Container characteristics influence Pinus pinea seedling development in the nursery and fiel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1: 63-71. 

  21. Edwards, I.K. and Huber, R.F. 1982. Contrasting approaches to containerized seedling production. p. 123-127. In: Scarratt, J.B., Glerum, C. and Plexman, C.A. (Eds.). Proceedings of the Canadian containerized tree seedling symposium. Canadian Forestry Service, Great Lakes Forest Research Centre, Ontario. 

  22. Landis, T.D., Tinus, R.W., McDonald, S.E. and Barnett, J.P. 1990. The Container Tree Nursery Manual. Vol. 2. Containers and growing media. Agriculture handbook 674. U.S.D.A.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pp. 88. 

  23. South, D.B., Harris, S.W., Barnett, J.P., Hainds, M.J. and Gjerstad, D.H. 2005. Effect of container type and seedling size on survival and early height growth of Pinus palustris seedlings in Alabama, U.S.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04: 385-398. 

  24. Wang, M.B. and Zhang, Q. 2009. Issues in using the WinRHIZO system to determin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fine roots. Acta Ecologica Sinica 29: 136-1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