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수수준에 따른 소나무 용기묘 1년생의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One-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by Irrigation Level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3, 2017년, pp.167 - 174  

차영근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최규성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식물양묘실) ,  송기선 (한국임업진흥원 임업지식서비스단) ,  성환인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산림조경학과) ,  김종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림지 식재 후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생육이 좋은 용기묘로 생산하고자 할 때, 관수처리 수준에 따른 생장 반응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관수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104구 용기에서 생육된 소나무 용기묘는 대조구(무관수)를 포함하여 파종 후 15주부터 8주 동안 각각 1, 2, 3, 5, 7, 10, 15일 간격으로 관수되었다. 관수처리에 따른 소나무 용기묘의 간장과 근원경 생장, 건물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가장 좋은 생장 반응은 관수처리 1일 간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수주기가 짧아질수록 소나무 용기묘의 생장이 좋아졌지만, 전체뿌리길이는 2일이나 1일 관수주기보다 3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묘목품질지수의 경우 1일 간격에서 가장 높고 관수주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1~2일 간격의 관수가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에 있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dentify the appropriate irrigation level for Pinus densiflora, a common reforestation species in Korea, we investigated their growth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irrigation treatment levels for producing container seedlings with relatively high growth rate for higher surviv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나무 1년생 용기묘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생육 환경요인들 중 관수 수준에 따른 생육반응 특성을 조사하여 적정 관수 수준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표적인 시설양묘 수종인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상태를 우량하게 하여 식재 후 활착률과 생장을 향상시킬 방안을 찾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림지 식재 후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생육이 좋은 용기묘로 생산하고자 할 때, 관수처리 수준에 따른 생장 반응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관수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104구 용기에서 생육된 소나무 용기묘는 대조구(무관수)를 포함하여 파종 후 15주부터 8주 동안 각각 1, 2, 3, 5, 7, 10, 15 일 간격으로 관수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나무 1년생 용기묘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생육 환경요인들 중 관수 수준에 따른 생육반응 특성을 조사하여 적정 관수 수준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표적인 시설양묘 수종인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상태를 우량하게 하여 식재 후 활착률과 생장을 향상시킬 방안을 찾고자 한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 산림에 많은 소나무 용기묘가 식재되고 있지만 아직도 생산현장에서는 적정한 관수체계가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실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 들을 소나무 용기묘 생산시업체계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를 통하여 대표적인 시설양묘 수종인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상태를 우량하게 하여 식재 후 활착률과 생장을 향상시킬 방안을 찾고자 한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 산림에 많은 소나무 용기묘가 식재되고 있지만 아직도 생산현장에서는 적정한 관수체계가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실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 들을 소나무 용기묘 생산시업체계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전한 용기묘 생산을 위해 조절해야하는 생육환경의 요소는? 시설양묘는 인위적으로 생육환경을 조절하여 묘목을 생산하기 때문에 노지양묘와 달리 묘목의 생산체계 수립과 생육환경 제어가 중요한 요소들이다(Edwards와 Huber, 1982). 따라서 건전한 용기묘 생산을 위해서는 용기 선택, 상토 선택, 파종방법 및 시비기술 등 합리적인 생산체계의 수립은 물론 광선, 수분, 온도조절, 경화 처리 등 생육환경의 조절을 필수로 한다(Kwon 등, 2009; Landis 등, 1989, 1992, 1995).
소나무는 최근 어떤 방식으로 식재되고 있는가? et Zucc.)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으로 그동안 주로 노지묘 형태로 생산되어 식재 되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시설양묘에 의한 용기묘로 생산되어 식재되고 있다. 소나무 용기묘의 도입계기는 1996년에 발생한 강원도 고성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하여 소나무 1년생 용기묘를 대량생산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식물의 중요한 생장 제한요인인 수분의 역할은? 수분의 중요성은 일찍부터 강조되어 왔으며, 수분은 온실과 같은 인위적인 환경에서 생장하는 식물에 있어서는 중요한 생장 제한요인으로서 거의 모든 식물이 직접 적으로나 간접적으로나 그 영향을 받는다. 수분은 살아있는 식물에서 생체중량의 80~90%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성분이고, 식물 안에서 물질의 용매 역할을 한다. 또한 광합성을 포함한 많은 식물대사 과정의 생화학 반응물이고 식물 생장을 촉진하며, 식물 세포의 확장에 영향을 미친다(Kramer, 1983). 따라서 식물이 수분 스트레스를 받으면 잎의 크기가 작아지고 줄기생장이 저조하여 엽면적이 감소함으로써 증산량이 줄고 물질대사의 최종 산물인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능력도 줄어들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yala, J., M. Dianda, J. Wilson, S.J. Quedraogo, and K. Sanon. 2009. Predicting field performance of five irrigated tree species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in Burkina Faso, West Africa. New Forests 38:309-322. 

  2. Cho, M.S., S.W. Lee, J.H. Hwang, and J.W. Kim. 2012. Growth performance and photosynthesis of two deciduous hardwood species under different irrigation period treatments in a container nursery system. Korean J. Agric. Forest Meteorol. 14:28-38 (in Korean). 

  3. Dickson, A., A.L. Leaf, and J.F. Hosner. 1960. Quality appraisal of white spruce and white pine seedling stock in nurseries. The Forestry Chronicle 36:10-13. 

  4. Downes, G., C. Beadle, and D. Worledge. 1999. Daily stem growth patterns in irrigated Eucaliptus globulus and E. nitens in relation to climate. Trees 14:102-111. 

  5. Edwards, I.K. and R.F. Huber. 1982. Contrasting approaches to containerized seedling production. In: J.B. Scarratt, C. Glerum, and C.A. Plexman (eds.). Proceedings of the Canadian Containerized Tree Seedling Symposium. Canadian Forestry Service, Great Lakes Forest Research Centre, Ontario, Canda. p. 123-127. 

  6. Fox, J.E.D., I.K. Surata, and S. Suriamidhardja. 1990. Nursery potting mixture for Santalum album L. in Timor. Mulga Research Centre J. 10:38-44. 

  7. Hwang, S.M., T.R. Kwon, E.S. Doh, and M.H. Park. 2010. Growth and physiological adaptations of tomato plant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response to water scarcity in soil. J. Bio-Env. Con. 19:266-274. 

  8. Kim, J.J. 2000. Studies on optimum shading for seedling cultivation of Cornus controversa and C. walteri. J. Korean Forest Soc. 89:591-597 (in Korean). 

  9. Kim, J.J. 2003. Species and technology of container nursery. J. Forest Nurseryman Assoc. Korea 31:39-47 (in Korean). 

  10. Kim, J.J. and T.S. Yoon. 2006. Survival and growth conditions of container seedling. J. Forest Nurseryman Assoc. Korea. 34:83-93 (in Korean). 

  11. Kim, J.J., K.H. Song, and T.S. Yoon. 2008. Optimum management for overwintering of Pinus densiflora container seedlings. J. Korean Forest Soc. 97:53-60 (in Korean). 

  12. Kim, J.J., K.J. Lee, K.S. Song, Y.G. Cha, Y.S. Chung, J.H. Lee, and T.S. Yoon. 2010. Exploration of optimum container for production of Larix leptolepsis container seedlings. J. Korean Forest Soc. 99:638-644 (in Korean). 

  13. Kozlowski, T.T. 1982. Water supply and tree growth, Part I, water deficits. Forestry Abstr. 43:57-95. 

  14. Kramer, P.J. 1983. Water relations of plants. Academic Press, New York. p. 489. 

  15. Kwon, K.W., M.S. Cho, G.N. Kim, S.W. Lee, and K.H. Jang. 2009.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ized seedling and bare root seedling of Quercus acutissima growing at different fertilizing schemes. J. Korean Forest Soc. 98:331-338 (in Korean). 

  16. Landis, T.D., R.W. Tinus, S.E. McDonald, and J.P. Barnett. 1989. The container tree nursery manual. Vol. 4. Seedling nutrition and irrigation. Agriculture Handbook 674. USDA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p. 119. 

  17. Landis, T.D., R.W. Tinus, S.E. McDonald, and J.P. Barnett. 1992. The container tree nursery manual. Vol. 3. Atmospheric environment. Agriculture Handbook 674. USDA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p. 145. 

  18. Landis, T.D., R.W. Tinus, S.E. McDonald, and J.P. Barnett. 1995. The container tree nursery manual. Vol. 1. Nursery plann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Agriculture Handbook 674. USDA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p. 188. 

  19. Lee, S.W., M.S. Cho, and G.N. Kim. 2010. Effect of different irrigation period on photosynthesis and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ized seedling of Eucalyptus pellita and Acacia mangium. J. Korean Forest Soc. 99:414-422 (in Korean). 

  20. Mattsson, A. 1996. Prediction field performance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New Forests 13:223-248. 

  21. Min, B.R., W. Kim, B.S. Lee, and D.W. Lee. 2004. Effects of method, number of times for spraying and ventilation condition on the growth in greenhouse. J. Bio-Env. Con. 13:149-155 (in Korean). 

  22. Rhee, H.C., M.W. Cho, Y.C. Um, J.M. Park, and J.H. Lee. 2008. Control of irrigation amount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fruit in melon fertigation cultivation. J. Bio-Env. Con. 17:288-292 (in Korean). 

  23. Seiler, J.R. 1985.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black alder induced by water stress. Plant Cell and Environ. 8:219-222. 

  24. Seiler, J.R. and J.D. Johnson. 1984. Growth and acetylene reduction of black alder seedlings in response to water stress. Can. J. Forest Res. 14:477-480. 

  25. Thompson, B.E. 1985. Seedling morphological evaluation - what you can tell by looking. In: M.L. Durvea (ed.). Proceedings of evaluation seedling quality: principles, procedures, and predictive abilities of major tests. Forest Research Lab., Oregon State Univ., Corvallis, Oregon. p.59-71. 

  26. Wright, I.J., P.B. Reich, and M. Westoby. 2001. Strategy shifts in leaf physiology, structure and nutrient content between species of high- and low-rainfall and high- and low-nutrient habitats. Functional Ecol. 15:423-4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