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활용한 리기다소나무림의 탄소 저장량에 대한 공간분포도 작성: 무주군의 사례로
Mapping of Spatial Distribution for Carbon Storage in Pinus rigida Stands Using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Forest Type Map: Case Study for Muju Gu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2, 2017년, pp.258 - 266  

서연옥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정성철 (산림청 산림정책과) ,  이영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수치임상도를 활용하여 무주군 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의 추정된 탄소 저장량에 대한 공간분포도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고, 임령, 흉고직경, 수관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관밀도(0.74)인자가 가장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다음으로는 수고(0.61)인자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탄소 저장량 추정식을 도출한 후 수치임상도를 활용하여 추정된 탄소 저장량 공간지도를 작성하였다. 수관밀도와 수고를 적용하여 추정된 탄소 저장량을 산출한 결과, 평균 58.2 ton C/ha로 나타났으며 전북 무주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의 지상부 총 탄소저장량은 430,963 C ton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arbon storage distribution map of Pinus rigida stands in Muju-gun by using of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digital forest map.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nd variables such as height, 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crown density and abov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에는 수고가 포함되어 있으나 임분에 대한 수고가 아닌 우세목에 대한 수고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개체목의 수고를 추정하는 수고-흉고직경 모델을 임분수고 추정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수고 추정 시 가장 중요한 설명변수로 흉고직경과 임령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거듭제곱 유형을 적용하여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결합하여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추정하였다(Figure 1). 따라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에서 임상도와 호환 가능한 임분 변수들을 생성하고 리기다소나무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회귀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적합성이 가장 높은 모델을 선정하여 임상도의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 지도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복잡한 임상 구조를 가진 산림 지형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활용한 탄소 저장량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주지역의 리기다소나무림에 대한 바이오매스 및 탄소 저장량 지도 제작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리기다소나무림의 탄소 저장량을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도에 적용하여 지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추정된 탄소 저장량은 평균 5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활용한 탄소 저장량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그러나 우리나라는 바이오매스 공간분포 예측에 대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으며 바이오매스 지도제작에 있어서 임상도가 실질적으로 많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복잡한 임상 구조를 가진 산림 지형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활용한 탄소 저장량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 임상도가 포함하고 있는 내용은? , 2011a) 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임상도는 수종, 영급, 경급, 소밀도 등 많은 세부적인 산림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국 단위로 모든 산림에 대해 제작되고 있어 다른 나라보다도 전국산림공간정보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KFRI, 2010). 국외는 캐나다의 경우 산림자원조사와 임상도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지도 제작을 실행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온실가스 통계를 제출하여야 하는 이유는?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논의된 기후변화에 대한 논제는 21세기 가장 중요한 현안이자 풀어나가야 할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산업 활동의 증가로 인해 기후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뭄과 홍수, 폭염, 혹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온실가스 통계를 제출함은 물론이고 교토의정서에 따른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lackard, J.A., Finco, M.V., Helmer, E.H., Holden, G.R., Hoppus, M.L., Jacobs, D.M., Lister, A.J., Moisen, G.G., Nelson, M.D., Riemann, R., Ruefenacht, B., Salajanu, D., Weyermann, D.L., Winterberger, K.C., Brandeis, T.J., Czaplewski, R.L., McRoberts, R.E., Patterson, P.L. and Tymcio, P.P. 2008. Mapping U.S. forest biomass using nationwide forest inventory data and moderate resolution inform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4): 1658-1677. 

  2. Breidenbach, J., Naesset, E. and Gobakken, T. 2012. Improving k-nearest neighbor predictions in forest inventories by combining high and low density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7: 358-365. 

  3. Chun J.H., Lim, J.H. and Lee, D.K. 2007. Biomass estimation of Gwangneung catchment area with Landsat ETM+ imag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6(5): 591-601. 

  4. Chung, S.Y., Yim, J.S., Cho, H.K., Jeong, J.H., Kim, S.H. and Shin, M.Y.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for Muju county using biomass conversion table and remote sensing d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 409-416. 

  5. Fournier, R.A., Luther, J.E., Guindon, L., Lambert, M.C., Piercey, D., Hall, R.J. and Wulder, M.A. 2003. Mapping aboveground tree biomass at the stand level from inventory information: test cases in Newfoundland and Quebec.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ources 33: 1846-1863. 

  6. Fuchs, H., Magdon, C., Kleinn, C. and Flessa, H. 2009. Estimating aboveground carbon in a catchment of the Siberian forest tundra: combining satellite imagery and field invento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3): 518-531. 

  7. Gjertsen, A.K. 2007. Accuracy of forest mapping based on Landsat TM data and a kNN-based metho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0(4): 420-430. 

  8. Jung, J.H., Heo, J., Yoo, S.H., Kim, K.M. and Lee, J.B. 2010.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in Danyang area using kNN algorithm and landsat TM seasonal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8(4): 119-129. 

  9. Jung, J.H., Kim, S.P., Hong, S.C., Kim, K.M., Kim, E.S., Im, J.H. and Heo, J. 2013. Effects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plot location error on forest carbon stock estimation using k-nearest neighbor algorithm.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82: 82-92. 

  10. Kim, E.S., Kim, K.M., Kim, C.C., Lee, S.H. and Kim, S.H. 2010.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stand volume in Gyeonggi Province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6): 827-835. 

  11. Kim, E.S., Kim, K.M., Lee, J.B., Lee, S.H. and Kim. C.C. 2011a.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455-465. 

  12. Kim, K.D., Park, J.W., Park, I.H., Kim, C.M. and Cheong, S.H. 1985.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Pinus Rigida Mill and Robinia Pseudoacacia L.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Research Society 5(1): 1-9. 

  13. Kim, K.M., Lee, J.B., Kim, E.S., Park, H.J., Roh, Y.H., Lee, S.H., Park, K.H. and Shin. H.S. 2011b.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based on remote sensing and GI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 236-256. 

  14. Kim, S.Y. 2011. Assessment of crown fire hazard based on the fuel characteristics in Pinus densiflora stands.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PP. 84.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Main tree species carbon emission factors for forest greenhouse inventory pp. 89. 

  16. Korea Forest Service. 2009. Table of tree harvest and weight and volume. pp. 21. 

  17. Kwak, D.A., Lee, W.K. and Son, M.H. 2005. Application of LiDAR for measuring individual trees and forest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6): 431-440. 

  18. Labrecque, S., Fournier, R.A., Luther, J.E. and Piercey, D. 2006. A comparison of four methods to map biomass from Landsat-TM and inventory data in western Newfound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6: 129-144. 

  19. Lee, C.S., Lee, W.K., Yoon, J.H. and Song, C.C. 2006.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6): 663-671. 

  20. Lee, W.K. 1996. Stand and general Height-DBH curve models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Economics Society 4(2): 66-78. 

  21. Lumbres, R.I. and Lee, Y.J. 2014. Aboveground biomass mapping of La Trinidad forests in Benguet, Philippines,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and k-nearest neighbor method.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2): 104-111. 

  22. Magnussen, S., McRoberts, R.E. and Tomppo, E.O. 2009. Model-based mean square error estimators for k-nearest neighbour predictions and applications using remotely sensed data for forest inventori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3): 478-488. 

  23. McRoberts, R.E., Tomppo, E.O., Finley, A.O. and Heikkinen, J. 2007. Estimating areal means and variances of forest attributes using the k-Nearest Neighbors technique and satellite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1(4): 466-480. 

  24. Nelson, R., Jimenez-Ramon, J.A., Schnell, C.E., Hartshorn, G.S., Gregoire, T.G., and Oderwald, R. 2000, Canopy height models and airborne lasers to estimate forest biomass: two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11): 2153-2162. 

  25. O'Brien, S.T., Hubbell, S.P., Spiro, P. and Condit, R. 1995. Diameter, height, crown, and age relationships in eight neotropical tree species. Ecology 76(6): 1926-1939. 

  26. Park, H.J., Shin, H.S., Roh, Y.H., Kim, K.M. and Park. K.H. 2012. Estimating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 using Kriging methods for aboveground biom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 16-33. 

  27. Rahman, M.M., Csaplovics, E., and Koch, B. 2008. Satellite estimation of forest carbon using regression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23): 6917-6936. 

  28. Reese, H., Nilsson, M., Sandstrom, P., and Olson, H. 2002. Application using estimates of forest of forest parameters derived from satellite and forest inventory data.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37: 37-55. 

  29. SAS Institute, Inc., 2004. SAS/STAT 9.1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30. Shim, W.B., Jeong, J.H., Kim, S.H., Kim, J.S., Ryu, J.H., Kim, J.C., Seo, S.A. and You, B.O. 2008. 5th Korea national forest inventory-field survey manual-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54. 

  31. Shin, J.H. 2012.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using g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remote sensi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52. 

  32. Statistical Yearbook of Muju. 2013. pp. 34-49. 

  33. Tomppo, E., Nilsson, M., Rosengren, M., Aalto, P. and Kennedy, P. 2002. Simultaneous use of Landsat-TM and IRS-1C WiFS data in estimating large area tree stem volume and aboveground biomas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2: 156-171. 

  34. Yim, J.S., Han, W.S., Hwang, J.H., Chung, S.Y., Cho, H.K. and Shin, M.Y.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based upon satellite date and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Journal of Korean Remote Sensing 25(4):311-320. 

  35. You, B.O., Kim, C.C. and Kim, S.H. 2011. Development of FAPIS (Forest Aerial Photograph Interpretation System) for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ping (Version 1.0).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2): 128-1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