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람(嘉藍) 이병기 생가(李秉岐 生家) 수우재(守愚齋)에서 찾는 소박함과 선비정신
The Rusticity and Spirit of Scholars Found at Suwoojae,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1, 2010년, pp.1 - 11  

김정식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오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람의 문학적 성과 중 자연관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가람 이병기의 생가 수우재에 대한 실측 도면조사 그리고 현지답사 등의 고찰을 통하여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膾炙)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우재의 입지는 용화산 줄기를 배산으로,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맥에서 분기된 천호산을 안산으로 입지하며, 가람 시의 회고와 애착공간으로 자주 드러나고 있음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수우재의 장소성은 인걸지령론(人傑地靈論)과 관련된 양택 명당과 관련 깊은 것으로 해석된다. 2. 조선 후기인 1844년에 가람의 조부 이조흥에 의해 건립된 수우재는 안채의 일부가 정지(부엌)와 이어진 ㄱ자형의 고패집으로 구성되었으며, 4칸의 사랑채와 3칸의 고방채, 안채의 뒤쪽에 장독대를 중심으로 여유로운 민가 정원구성을 이루고 있다. 3. 수우재 내 외의 공간구성은 담장과 건축물의 영역이 세분화된 가운데 동선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시선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으며, 승운정을 비롯해 정원 곳곳에서는 가람의 존재감 및 일상생활이 녹아든 시적 세계가 담긴 철학적인 영역의 공간감이 감지된다. 4. 수우재의 주요 정원시설은 사랑채 전면에 위치한 단아한 장방형의 연지, 곳곳에 산치(散置)된 괴석 그리고 차경 목적으로 낮게 둘러친 담장 등에서 소박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선비의식과 자연친화적 정원 면모를 읽게된다. 5. 수우재의 조경식물 중 주로 연지 주변에는 배롱나무, 살구나무, 일본목련, 산수유, 향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 등이 식재되었으며, 내원에는 감나무, 대추나무, 자두나무, 모과나무 등 유실수 위주의 실용적 식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승운정 후면에 악센트용으로 식재된 수령 200년 이상의 탱자나무는 특히 주목된다. 6. 가람의 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연을 관조하는 시이고 다음이 풍류를 담은 시이듯 수우재 주변의 다채로운 자연경관적 요소는 가람 시의 시적공간으로 설정된 자연공간의 소재 및 주제를 전환되는 모티브적 환경으로 보이는데 이는 승운정기(勝雲亭記) 등에서도 나타나는 자족의 심정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authentic meaning, location, garden layou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uwoojae(守愚齋),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which was the very epitome of the traditional house structu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the existing measured drawings. Th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민가정원1)인 수우재의 공간 및 배치 특성, 조경시설과 경관성 그리고 현존 식재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고찰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태조사를 위한 현지답사 및 실측된 기존 도면들을 중심으로 수우재가 지닌 고유한 의미와 입지 및 가옥배치 특성 그리고 정원적 특성에 관해 고찰한 것으로, 수우재는 조선 말기 전통 민가주택으로서 역사적인 보존가치 또한 중요하게 여겨진다. 한국 고유의 전통시가인 시조를 본격적인 현대 시조로 발전시켜 겨레시의 脈을 잇게 한 시조시인이자 선비인 가람 이병기의 체취를 간직한 그의 생가는, 지방기념물로서의 체계적 보존·관리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공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조선 말기 전통 민가주택의 하나인 가람 이병기 선생의 생가 ‘수우재’가 지닌 고유한 의미와 입지 및 가옥 배치 그리고 정원적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람의 시조문학적 성과에 대한 문헌조사와 실측 도면조사 그리고 현지답사 중심의 고찰을 통하여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가를 주목하여 고찰하여 도출한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1. 수우재의 입지는 북서쪽이 높고 남동쪽이 낮은 경사지에 용화산에서 뻗은 산줄기가 좌우로 싸여 있는 계곡형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맥에서 분기된 천호산을 안산으로, 서쪽으로는 背山인 용화산이 있으며, 용화산에서 내려오는 수계가 사랑채 전면의 연지에 흘러들어 생가 앞 냇물로 이어진다. 익산의 지령(地靈)이 살아 숨 쉬는 곳이며,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양택 명당이다. 2. 수우재는 조선 말기 민가정원으로 비교적 그 원형 보존이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안채는 잡석으로 쌓은 약 60cm의 축대 위에 세워졌고 안방마루와 건너방, 부엌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안방의 일부는 정지(부엌)와 이어져 있어 ㄱ자형의 고패집으로 구성되었다. 4칸의 사랑채는 서(西)로부터 2칸의 사랑방, 1칸의 부엌, 그리고 1칸의 서재로 구성돼 있으며, 3칸의 고방채는 광, 헛간, 안변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채의 뒤에는 장독대의 공간 구성을 이루고 있다. 3. 수우재 내·외의 공간구성은 담장과 건축물의 영역이 세분화되어 있어서 동선에 변화감이 나타나고 시선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다. 승운정과 연지 사이를 거쳐 사랑채를 지나 안대문을 거쳐 안채에 이르는 동선과, 승운정과 탱자나무 사이를 지나 사랑채 측면과 헛간 측면 사이의 트임문을 들어서면, 안채 측면과 사랑채의 배면이 함께 장독대에 이르는 동선은 다양하고 변화감이 느껴진다. 4. 수우재의 주요 정원시설은 사랑채 전면에 위치한 가로 14.72cm, 세로 3.87cm 크기의 장방형 방지는 가장자리에는 향나무, 산수유나무, 살구나무, 동백나무, 배롱나무 등이 잘 어우러져 단아한 풍치를 자아내며 동시에 사랑채로 향하는 시선을 차단하고 있다. 연지 주변과 안채 그리고 주변에서 발견된 개체미가 뛰어난 괴석이 산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주변의 자연 경관적 요소들을 차경 할 의도로 조성된 낮은 흙담장등을 볼 때 자연애와 소박한 미의식이 발견된다. 5. 수우재의 조경 식물 중 외부공간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은 살구나무, 일본목련, 모과나무, 향나무, 구골나무, 배롱나무, 화살나무, 백목련, 산수유, 동백나무 등이 위치하는데, 주로 연지 주변과 생가 왼쪽의 담장 왼편에 식재되어 있다. 또한 내부공간 특히 안채에 식재된 수목은 감나무, 대추나무, 자두나무, 모과나무, 앵도나무, 복사나무 등 유실수로 구성되고 있다. 한편, 전라북도 기념물 제112호로 지정된 탱자나무는 특히 주목된다. 6. 가람의 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연을 관조하는 시이고 다음이 풍류를 담은 시이듯 수우재 주변의 다채로운 자연경관적 요소는 가람 시의 시적공간으로 설정된 자연 공간’의 소재 및 주제를 전환되는 모티브적 환경으로 보이는데, 이는 승운정기 등에서도 나타나는 자족의 심정과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7. 수우재의 공간구성과 졸박미 속에서 느껴지는 자연성은 단아함과 소박함의 미로 표출되고 있으며, 결국 가람의 시속에는 생명력의 상호 교감을 통하여 법열과 흥겨움의 미학은 궁극적으로 가람의 선비정신과도 맞닿아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가람 이병기는 어떠한 사람인가? 가람 이병기(1891~1968)는 한국 고유의 전통시가인 시조를 본격적인 현대 시조로 발전시켜 겨레시의 맥을 잇게 한 시조시인이다. 또한 그는 전 생애를 통해 ‘선비’라는 교양과 기품을 유지하려 했던 전형적인 문인이요, 학자로서, 조선조 사대부 문화 즉 선비문화의 전통을 잇고 현실적으로 실천하고자 노력하였다(김연옥, 2000). 그의 시세계는 ‘천일합일의 동일성을 이루는 동화적 감수성’이었다는 이선희(1993)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다정다감하고 소박한 생활인과 격조 있는 선비의 면모를 짐작하게 하는데 특히 자연을 관조하며, 자연에서 기쁨과 즐거움을 얻었다고 알려져 있다.
守愚齋는 무슨 의미인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 위치한 이병기 선생의 생가인 ‘守愚齋’는 가람의 당호를 딴 것으로 누구보다도 존경하던 조부의 아호인 ‘동우(東愚)’를 받아 ‘어리석음을 지키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수우재는 지방기념물 제6호로 조선 후기인 1844년 건립한 전통 민가주택으로 조선 말기 민간정원의 유구를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소중하고 뜻 깊은 정원유적임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조경문화적 측면은 물론 건축적 측면에서 조차 수우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는 전무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주)두산동아(2007). 동아대국어사전. 제5판: p261 

  2. 강성애(1998). 조선시대 궁원의 괴석에 대하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신술(1990). 조선시대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고규홍(2009). 가람 이병기 생가의 탱자나무. 월간 산림. 2009년 5월호: pp.36-39. 

  5. 김미영(1999). 괴석도에 나타난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서봉(1976). 관상석의 미적 의미에 대한 고찰. 同大論叢. 6(1): 155-186. 

  7. 김연옥(2000). 선비정신의 구현과 관조의 미학으로. 한국어문교육. 9: 375-395. 

  8. 김용직, 정찬오(1984). 한국 현대시 요람. 서울: 博英社. 

  9. 김지호(2006).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동아일보(1965). 6월 30일자. 

  11. 민경현(1998). 主.從.添과 不等邊三角의 美. 서울: 도서출판 예경. pp.98-126. 

  12. 朴趾源. 燕岩集 권10. 

  13. 서유구(2005). 안대회역(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파주: 돌베개 

  14. 오승희(1990). 가람 이병기 시조의 공간 연구. 서울: 비평문학. pp.317-332. 

  15. 유홍준(1997).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 파주: 창작과 비평사. 

  16. 李廉岐(1939). 가람시조집. 서울: 대동출판사. 

  17. 李廉岐(1966). 가람문선. 서울: 신구문화사. 

  18. 이선희(1993). 가람 이병기 시조에 나타난 전통성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19-253. 

  19. 이성혜(1996). 괴석의 문학적 형상화 고찰. 문화전통논집. 4: 197-220. 

  20. 이정환(2004). 전통적 서정성과 생명 미학; 가람 이병기론. 청람어문교육. 30: 379-401. 

  21. 이종묵(2004). 조선시대 臥遊 文化 硏究. 진단학보. 98: 81-106. 

  22. 이현우(2009).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67: 94. 

  23. 이희승편저(1994). 국어대사전. 제3판. 서울: 민중서림. p367. 

  24. 전영옥(2004). 조선시대 괴석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12. 

  25. 丁若鏞, 與猶堂全書 제1집 17권. 

  26. 조종식(2002). 朝鮮初期 사대부의 이중적 자연관과 '와유'적 산수화의 변화. 미학. 33: 25-74 

  27. 주강식(1984). 가람 이병기의 시조 미학. 한국어문교육학회지. 7: 345-362. 

  28. 주남철(1999). 대우학술총서 425. 한국의 전통민가. 서울: 아르케. pp.15-26. 

  29. 주남철(2009). 한국의 정원.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pp.63-71. 

  30. 최승호(1999). 이병기, 근대에 대한 서정적 대응방식; 서정시의 본질과 근대성 비판. 서울: 다운샘. p190. 

  31. 한글학회(2008). 우리말사전. 서울: (주)어문학. p230. 

  32.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1991). 한국의 전통수경관. 서울: 태림문화사. p62. 

  33. http://cafe.naver.com/museumstudy.cafe?iframe_url/ArticleRead. nhn%3Farticleid132. 

  34.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35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