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
A Study on Monumental Expression of Korean War Memorial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2, 2010년, pp.98 - 108  

이상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6 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을 분석하는 것으로 기념공간에서 구현되는 기념의 내용,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 조각 및 건축물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6 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문화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에 있는 6 25전쟁과 관련된 현충시설 659개를 1차 검색하여 부지가 전적지이거나 전쟁과 관련된 장소성이 있으며, 외부공간이 조성된 17개소를 선정하고 현장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계도면, 사진, 기사 등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념내용에 있어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며, 6 25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하여 호국정신을 고양하는데 초점이 두어졌으며, 특히 전적지에 위치한 기념공간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2. 부지의 입지여건과 전통적 공간인식에 따른 공간적 위계를 고려하였으며, 기념공간에서 요구되는 엄숙함을 얻기 위해 축적인 구성을 하고, 추모감과 전승감을 얻기 위해 중심축 상단에 기념탑이나 전시관과 같은 상징적 요소를 위치시켜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3.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와 기념탑, 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해 호국정신을 고양하기 위한 기념전시관 및 야외무기전시장, 그리고 참전국가의 명예를 고양하기 위한 국기가 주요한 요소로 도입되었다. 4. 영웅적인 전투장면을 묘사한 근대적 조각이 많았으나 양구전쟁기념관 및 유엔기념공원의 '추모명비'에서는 상징적이거나 추상적인 표현을 시도하는 현대적 기념공간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5. 기념문화에 있어서도 애국주의 및 이데올로기가 강조되고, 기념공간에 대한 관습적인 인식이 강하게 드러났으며, 일부의 조각가 및 설계가만 기념공간의 설계에 참여하였다. 향후 6 25전쟁 기념공간에 관한 미니멀리즘, 해체주의, 탈근대주의 등의 설계양식론 관점과 다른 전쟁메모리얼과 비교를 통한 통시적 관점(通時的 觀點)의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numental expression of Korean War Memorials(KWM) in Korea(KWMK).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sear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17 KWMK and analyzed four analysis categories: contents, spatial form, landscape elements, sculptures and architectu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국에서는 한국전쟁이 베트남전쟁과 서로 비교되는 경우가 많아 한국전쟁 메모리얼이 공원이나 광장의 제한된 부지에 세계2차대전 및 베트남전쟁 메모리얼과 함께 조성되는 경우가 많고, 메모리얼의 장소성이 낮기 때문에 한국전쟁을 설명하기 위해 상징적 디테일이나 조각을 도입하여 부족한 기념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에 있는 6ㆍ25전쟁 기념공간은 부지의 입지여건과 전통적 공간인식에 따른 공간적 위계를 중시하고, 기념공간에서 요구되는 추모감과 엄숙함을 얻기 위해 축적인 구성을 하였으며, 중심축 상단에 기념탑이나 전시관과 같은 상징적 요소를 위치시켜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6ㆍ25전쟁 기념공간을 대상으로 기념내용, 공간특성, 도입요소, 조각 및 건축물의 특성을 분석하고 여기에 나타난 기념문화를 고찰하였다. 기념공간의 조성시기가 다양하고 규모의 차이가 커서 비교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기념공간에 나타나는 미니멀리즘, 해체주의, 탈근대주의 등의 설계양식론 관점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 6ㆍ25전쟁이 발발한 후 60주년을 맞이하고 있는 지금, 기념 공간의 주제로서 6ㆍ25전쟁은 다양한 시각으로 보일 수 있으며, 기념공간에 나타나는 기념문화 역시 국가와 시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6ㆍ25전쟁 기념 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념의 내용,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 조각 및 건축물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6ㆍ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문화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의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을 이해하고 기념문화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또한 전적지의 지형적 특성과 전통적인 공간인식에 따라 공간의 축을 중시하고 공간별로 단을 주어 위계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6ㆍ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문화를 애국주의 및 이데올로기, 관습적인 기념공간에 대한 인식, 폐쇄적인 기념공간 설계과정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또한 왜관지구전적기념관(그림 2b 참조), 춘천지구전적기념관, 다부동전적기념관(그림 2d 참조),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철의3각전적기념관(그림 2i 참조), 백마고지전적기념관, 양구전쟁기념관 등 6ㆍ25전쟁 당시 뛰어난 전공을 세웠던 장소에는 전쟁의 경험을 설명하고 전시를 위한 기념전시관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기념전시관을 전적지에 세움으로서 방문객이 군인들의 영웅적인 전투모습과 성과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호국정신을 고양하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야외무기 전시를 통하여 사실 적인 긴장감을 느끼도록 하였다. 이처럼 기념전시관이나 야외 무기전시장과 같은 도입요소는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에는 없으나 한국에서는 호국정신 및 전승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공간의 중요한 요소로 도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뉴멘트에는 무엇이 있는가? 희생자를 추모하고 역사적 사건 및 전쟁을 기억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모뉴멘트(monument)와 메모리얼(memorial)1) 의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기념물, 기념비, 기념문, 기념상, 기념탑, 기념관 등으로 나타나는 모뉴멘트는 지금의 도시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와 트인 시야를 가지고 있었던 근대 이전의 공공장소에서 압도적인 규모의 기념물로서 상당히 효과적인 수단이었지만(김정윤, 2004: 130), 도시가 고밀화되고 설계양식이 발전하면서 공간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규모를 갖는 기념공간으로서 메모리얼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6ㆍ25전쟁 기념공간을 대상으로 기념내용,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 조각 및 건축물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기념문화를 고찰한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어떠한가? 1. 기념내용에 있어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며, 6ㆍ25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하여 호국정신을 고양하는데 초점이 두어졌으며, 특히 전적지에 위치한 기념공간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2. 부지의 입지여건과 전통적 공간인식에 따른 공간적 위계를 고려하였으며, 기념공간에서 요구되는 엄숙함을 얻기 위해 축적인 구성을 하고, 추모감과 전승감을 얻기 위해 중심축 상단에 기념탑이나 전시관과 같은 상징적 요소를 위치시켜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3.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와 기념탑, 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해 호국정신을 고양하기 위한 기념전시관 및 야외무기전시장, 그리고 참전국가의 명예를 고양하기 위한 국기가 주요한 요소로 도입되었다. 4. 영웅적인 전투장면을 묘사한 근대적 조각이 많았으나, 양구전쟁기념관 및 유엔기념공원의 추모명비에서는 상징적이거나 추상적인 표현을 시도하는 현대적 메모리얼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5. 기념문화에 있어서도 애국주의 및 이데올로기가 강조되고 기념공간에 대한 관습적인 인식이 강하게 드러났으며, 일부의 설계가 및 조각가만 제한적으로 기념공간의 설계에 참여하였다.
6ㆍ25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어떠한가? 민족 최대의 비극인 6ㆍ25전쟁으로 국군 15만 7천 명, 유엔군 5만 9천 명, 경찰 1 만 명 등이 전사 및 실종되고, 민간인 24만 5천 명이 사망하였으며, 이밖에도 수많은 부상자와 이산가족이 발생하는 비극을 겪게 되었다(국방군사연구소, 1996: 33, 67, 80, 110). 이 전쟁은 국민뿐만 아니라 참전용사, 그들의 가족 및 친구들에게 잊지 못할 기억으로서 사회적으로 큰 상처가 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국방연구소(1996). 한국전쟁피해통계집. 

  2. 김정윤(2004). 대만 치치 지진 메모리얼. 한국조경학회지. 32(5): 129-136. 

  3. 김형곤(2007). 한국전쟁의 공식기억과 전쟁기념관. 한국언론정보학보 40: 192-220. 

  4. 유호상, 송영환(2008. 6). 호국보훈의 달 기획특집(전적비는 외롭다). 국방저널. 414: 38-45. 

  5. 이상석(2001).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 디테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5): 71-83. 

  6. 이상석(2005). 경관, 조형 & 디자인. 경기: 도서출판조경. 

  7. 이상석(2009).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환경과조경. 254: 142-151. 

  8. 이상석(2010).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2-24. 

  9. 임채진(2007). 재한유엔기념공원 추모명비, UNMCK 대한건축학회발행 건축. 51(2): 107-110. 

  10. Jorgensen, Karsten(1998) Semiotics in Landscape Design. Landscape Review. 4(1): 39-47. 

  11. Potteiger, Matthew and Jamie Purinton(1998). Landscape Narrativ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2. The commission of fine arts(1946). War memorials. Landscape Architecture. 37: 17-19. 

  13. Yoshimura, Valerie Nao(1997). Ruin & Reunions, Planes & Cranes: National Identity and World War II Memorials in Franc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Kyoto and Tokyo: the 49th Annual Japan- America Student Conference 1-26. 

  14. Wasserman, Judith R.(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 42-61. 

  15. http://narasarang.mpva.go.kr/hyunchung/mfis/facility.asp 

  16. http://www.unmck.or.kr/kor/park/unpark1.php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