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10년, pp.12 - 24  

이상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인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현장답사,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외부공간 설계가 이루어진 25개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평면도, 위성사진, 관련사진을 수집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전쟁 메모리얼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개념으로 희생자 추모, 지역 부대 국가의 명예 고양, 집단적 헌신과 정체성 등을 기본으로 하여 전쟁의 의미와 감정, 한국전쟁의 사실적 묘사 및 상징적 표현이 나타났다. 2.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기념공원이나 광장의 제한된 부지에 조성되어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을 추구하였다. 공간형태 다양하여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가 축을 이루는 것이 많이 나타났지만 일부 부정형도 있었으며, 공간적 연속성과 같은 간적 질서가 일부 메모리얼에서 나타났다. 3. 조경디테일은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요소로서 기념벽과 기념석,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旗)와 엠블렘 (emblem)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반도 지도 및 태극문양이 한국과 한국전쟁을 상징하기 위해 자주 도입되었으며, 잊혀진 한국전쟁을 기억하고 미군의 한국참전의 타당성과 의미를 나타내고자 'Forgotten War(잊혀진 전쟁)'과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가 사용되었다. 4. 조각은 기념성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매체로서 활용되었다. 주로 사실적인 조각이 사용되었고, 일부는 추상적 형태를 갖는 것도 있었으며, 한국전쟁을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Washington D.C. 한국전쟁 참전용사 메모리얼(Korean War Veterans Memorial: KWVM)이나 Minnesota 한국전쟁 메모리얼(Korean War Memorial: KWM)의 조각은 현대적인 메모리얼의 상징적 매체로서 뛰어났다. 향후 한국과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비교문화적 연구와 설계양식론 관점에서 메모리얼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KWM) in the United States(K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sear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25 KWMUS and analyzed four analysis categories: design concept, spatial form, landscape details, and sculp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쟁의 이미지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특징적인 문구로 'Forgotten War'과 'Freedom is not Free'가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참전용사들이 부당하게 잊혀진 한국전쟁을 기억하고 미군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타당성과 의미를 나타내고자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의 주요참전국인 미국에 위치한 한국전쟁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설계요소로서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기념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에 만들어진 한국전쟁 메모리얼에서 나타나는 기념성을 이해하고, 한국전쟁 및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미국인들의 사고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 본 연구는 미국에 위치한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로서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특성, 조각의 특성을 분석하여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였다.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대부분 1990년대 이후에 만들어졌으며, 잊혀진 전쟁인 한국전쟁을 기억하고자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설계개념, 공간특성, 조경디테일 특성, 기념조각의 특성을 분석하여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있어서 일부 대상지는 인터넷을 통한 간접자료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주는 정확한 느낌을 파악할 수 없어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 따라서 각 주 및 카운티에는 저)2차 세계대전이나 베트남전쟁을 위한 메모리얼이 있는 것처러 한국전쟁 역시 예외는 아니다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한국전쟁에 참여한 모든 집단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Schwartz and Bayma, 1999), 한국에서 자유를 위해 싸운 그들의 용기와 희생, 참전용사들의 자부심과 국가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의 주요참전국인 미국에 위치한 한국전쟁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설계요소로서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기념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에 만들어진 한국전쟁 메모리얼에서 나타나는 기념성을 이해하고, 한국전쟁 및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미국인들의 사고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 이러한 목적을 위해 주나 카운티 메모리얼에서 지역출신 참전병사들의 이름을 새기거나 지역 및 국가를 대표하는 상징물인 카운티기, 주기, 성조기, 참전국가의 깃발을 게양하기도 하고 참전부대의 기(旗)나 엠블렘을 보편적인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전쟁이라는 공동의 경험을 기억하여 집단적 동질감을 형성하고 공공공간으로서 메모리얼을 통하여 집단적 정체성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이것은 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면서 잊혀진 전쟁을 기억해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구현된 것이었다. 참전용사들이 한국에서 영웅적으로 전투에 참여하고 혹한으로 고난을 겪었던 모습과 그들의 눈에 비친 한국인과 한국인을 위한 그들의 노고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것은 6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영나(2002) Washington DC 내셔널 볼의 한국전 참전용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9: 7-31. 

  2. 이상석(2001)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 디테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5): 71-83. 

  3. 이상석(2005) 경관, 조형 & 디자인. 서울: 일조각. 

  4. 이상석(2009)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환경과조경 254: 142-151. 

  5. Gibson, Clare(1996) Signs and Symbol. New York: Barns and Noble. 

  6. Jellicoe, G. A.(1970) The Landscape of Symbols. Studies in landscape design Vol III.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 

  7. Jorgensen. Karsten(1998) Semiotics in Landscape Design. Landscape Review 4(1): 39-47. 

  8. Lavoie. Caroline(1998) The wall/ruin:meaning memory in landscape. Landscape Review 4(1): 27-28. 

  9. Potteiger, Matthew and Jamie Purinton(1998) Landscape Narrativ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0. Schwartz, Barry and Todd Bayma(1999) Commemoration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he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2: 946-967. 

  11. Wasserman. Judith R.(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 42-61. 

  12. Watkins. Zina L.(2008) Memorials: Creating National. State. and Local Memorials. CRS Report for Congress. 

  13. Whittick Amold(1961) Symbols Signs and Their Meaning. Massachusetts: Charles T. Branford Company. 

  14. http://www.google.co.kr/ 

  15. http://www.koreanmemorial.org/statues.htm 

  16. http://koreanwarmemorial.sd.gov/ 

  17. http://www.stevensnewsservice.com/pr/pr055.htm 

  18. 동아일보. 2010년 2월 8일.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