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農村) 향토(鄕土)마을 경관(景觀)의 변화(變化) - 조선 말기부터 올림픽개최 전(1988)까지 -
A Study on the Change of Landscape in Korean Rural Village - From Chosun Dyansty to Olympic Games(1988)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4, 2010년, pp.112 - 119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디자인학과) ,  장민 (배재대학교 대학원) ,  심준영 (전북대학교 녹지조경과) ,  허준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촌 경관의 양상을 일반 농촌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살펴보아 1896년 개항 전후를 기준으로 해서 농촌 향토마을경관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토속 경관을 통해 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서민 생활상의 반영체로서의 한국 토속 경관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한국화, 풍속화의 그림 자료와 문헌, 신문 및 텔레비전 영상자료를 사용하여 토속적 특징이 나타나는 장면을 주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였다. 한국 내에서 지역별 특징적 토속 경관들이 하나둘씩 사라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토속 경관의 지역 간 차별성이 사라지고 있다. 한국 농촌경관은 시대에 따라 변모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농촌 경관이 형성되었으며, 과거 전통적인 농촌경관은 거의 전적으로 자연에 의존 지향적이며, 현대로 진행될수록 사람의 의지가 생활환경에 강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민의 정주환경에서 나타나는 한국의 농촌 경관은 한국전통의 것에서 많이 변화되었지만, 어느 나라의 것과도 매우 다른 우리만의 고유경관으로 나타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interpreting Korean Rural Landscape by applying the analytical tool thus developed to the lifestyles of ordinary people found in their permanent dwellings both before and after Korea first opened its door to the world in 1896. By so doing,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build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근대 이전의 토속 경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가 지정 민속마을을 대상으로 그 모습을 살펴보았는데, 이것은 옛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고 마을의 생성이 우리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널리 인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근대 이후의 토속 경관은 근대 이전의 민속마을과 연관하여 그 변화의 상태를 살펴본다는 관점에서 농촌경관을 주 대상으로 하나, 이와 병행하여 산업화로 말미암아 농촌의 도시화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시점에서 서민들의 집단 생활상을 통하여 시대상을 엿 볼 수 있는 주거경관을 포함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토속 경관의 시대적 고찰을 하는 것이며, 근대 이전과 근대 이후 개항부터 1988년까지의 토속 경관을 고찰하였다. 토속 경관은 일반적인 서민의 삶을 담고 있다는 점과 한 시대적, 일시적이라는 특성상 남아있는 모습을 찾기 어렵다는 성격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생활상의 반영체로써 한국 농촌 경관의 양상을 일반 농촌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살펴보아, 한국 토속 경관의 특성을 논하고, 그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농촌마을 경관으로서 문화 환경을 이해하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근대를 기점으로 전․후 일반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한국의 토속 경관의 의미를 해석하고, 공간유형의 분류와 시대적 변환점을 중심으로 기술적 해석 비평을 적용하였다. 토속 경관을 통해 일반서민의 사회상과 생활상을 해석하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은, 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근대 전․후의 시대적 사회상과 서민 생활상의 반영체로서의 한국 토속 경관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농촌 향토마을 경관의 변화를 본다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에서 1971년 새마을 운동을 중점으로 살펴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1971년 새마을 운동은 농촌의 생활환경을 크게 변모시켰다. 이시기를 중점으로 살펴보는 것은, 전통 농촌경관이 자생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1970년대 새마을 운동 이전까지이며, 새마을 운동시작 후 농촌취락 개선사업으로 토속경관에 크게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에 사회여건의 변화에 반응하는 토속경관의 관찰이 용이하리라 판단하였다.
마을 내에서 사회적 공간의 역할을 하던 장소로는 무엇이 있는가? 마을 내에서 사회적 공간의 역할을 하던 장소로는 우물가나 공동의 빨래터, 방앗간, 마을 중앙의 터 등이 있었다. 이곳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얼굴을 마주하고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또 명절과 마을의 제사가 있을 때면 함께 모여 준비하고 의논하던그 장(場)으로써 마련된 곳이다.
1950년 전쟁의 발발로 인해 남쪽으로 피난 간 상황에서 나타난 토속적 거주형태는 무엇인가? 1950년 전쟁의 발발로 인해 남쪽으로 피난 간 상황에서 그 환경 특유의 토속적 거주형태가 나타난다. 일반 서민들의 피난민촌 주거는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통나무 몇 개와 천막 또는 가마니를 천장과 벽 삼아 생활을 하였다. 집의 필요성과 이를 구성하기 위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 그것이 집을 구성하는 전부로써 가장 기본적인 외부로의 차단만이 목적이었다. 표현상 판자집일 뿐이고, 미군부대와 부두에서 나온 종이박스로 집을 만든 것으로 1945년 해방 이후 서울 남산기슭에 생성된 해방촌을 남으로 옮겨다 놓은 것 그 자체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기성(1997). 농촌경관의 형성 및 보전. 한국농공학회지. 39(3): 11 

  2. 김춘복(1979). 도시문화에 멍드는 농촌. 신동아. 8월호: 202-205 

  3. 김한배(1994). 한국도시경관의 변천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 

  4. 이규목(1987). 한국 건축의 한국성에 대한 하나의 가정. 공간. p.3. 

  5. 이선화, 김유일, 정기호(1998). 서울 가로경관의 시대적 변천. 디자인연구. 경희대 디자인연구원. 1(1): 29. 

  6. 이순적(1976). 한국농촌경관의 시각분석 및 개선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 

  7. 윤일주(1988). 한국근대 건축사 연구. 기문당. pp.21-22. 

  8. 속초시(1973). 73년도 지붕개량사업계획. pp.3-7. 

  9. 東桶口 護(Mamoru Tohiguchi)(1996). 木造建築の?統的設計システム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計劃論文集 第488?: 177-185. 

  10. 佐野吉彦(1986). 建築を語る本から字ぶ - ウアナキュラ-.ブツクスのゆくえ. 建築雜誌 101(1249): 67-69. 

  11. Benevolo, E.(1980). The History of City. Massachusetts: M.I.T. Press. 

  12. Jackson, J. B.(1991). Discovering the Vernacular Landscap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Ltd., p.149. 

  13. Knapp, R. G. China's Vernacular Architecture.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