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장입지에 따른 대도시 근교지역 농촌마을의 경관변화 특징
Landscape changes in suburban villages resulting from plant location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1, 2014년, pp.13 - 26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이차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사이토 유키히코 (지바대학 녹지과학코스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changes in Gwangjyu city and Icheon city, the suburban areas on the outskir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focusing on the causes of the urban sprawl and the resulta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grad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교도시 농촌마을의 경관관리에 대한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는 기초연구로 마을경관조사, 주민면접조사 등의 실증조사를 시행해 실태를 파악하였다. 하지만 많은 대상지를 다루지 못한 한계점도 있다.
  • 본 연구는 기존 농촌경관의 변화의 형태 중 공장, 창고 등의 난립 형태에 주목하여 경관변화 특징 및 경관평가를 연구하였고, 또한 이를 유형화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농촌경관의 경관변화는 각각 개별적인 특성도 존재하지만, 선행연구와 같이 유형화함을 통해 일반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경관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외부요인에 의한 마을경관의 변화에 대한 기초연구로 실증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도시근교 농촌마을의 경관변화 특징에 관한 큰 맥락을 파악하였다. Table 8은 본 연구에서 추출한 농촌마을 경관변화 특징과 영향요인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중 외부적 요소의 난립 원인과 이에 따른 경관훼손 형태에 주목하였다. 특히 도시근교 농촌에 나타나는 공장입지, 창고입지 등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여 도시근교 농촌의 경관변화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중 외부적 요소의 난립 원인과 이에 따른 경관훼손 형태에 주목하였다. 특히 도시근교 농촌에 나타나는 공장입지, 창고입지 등의 형태적 특성에 주목하여 도시근교 농촌의 경관변화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마을운동의 결과는? 한국농촌에 큰 변화를 가져온 새마을운동은 농촌지역에 공간구조 변화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화도 추진하였다(김덕현, 1989). 새마을운동의 결과로 우리농촌의 경관은 근대화를 이루었지만 반면 기존 농촌의 주거환경은 부정적으로 인식되었고, 1970년 농촌진흥청이 제작한 농촌주택표준설계도 등과 같이 근대 농촌의 새로운 형태를 관 주도로 이끌게 되었다(장성준, 1983). 이렇게 형성된 농촌경관에 대한 가치관이 결국 마을의 초가지붕을 함석지붕으로, 흙길을 콘크리트 포장 길로 바꾸었다고 하겠다.
새마을운동을 통해 전통마을의 경관이 변화한 예시는? 새마을운동을 통한 환경개선사업은 결과적으로 농촌 원경관의 요소 및 형태를 크게 변화시킨 요인이 되었다. 한필원과 이광노(1990)는 경북 상원리 원터마을 연구에서 마을 안길의 확장 및 포장, 마을 경계의 수로 매립과 도로 확장, 부속채 건립, 콘크리트 담장과 철제 대문, 공동우물을 대신한 간이 상수도 설치, 마을회관 및 공장 설치 등으로 우리나라 전통마을 경관이 변화하였음을 지적하였다.
새마을운동이 시작된 시기는? 1971년 새마을운동은 농촌의 생활환경을 크게 변모시켰다(이시영 외, 2000). 한국농촌에 큰 변화를 가져온 새마을운동은 농촌지역에 공간구조 변화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화도 추진하였다(김덕현,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Kowalski, J. G. and C. C. Paraskevopoulos (1990) The impact of location on urban industrial land pric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27(1), 16-24. 

  2. 강영은, 2012, 한국 농촌경관 변천 특성 연구 : 1950년대 이후 농촌개발사업의 경관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광주시, 2007, 2020년 광주도시기본계획. 

  4. 김강섭. 이상정, 2004,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건축, 6(3): 1-14. 

  5. 김광임 외 4인, 2004, 농촌토지이용구조 변화와 환경영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6. 김기혁, 1991, 조선시대 농업지대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26(2): 109-125. 

  7. 김덕현, 1989, 최근 한국촌락의 경관변화에 대한 이해;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창간호. 23-38. 

  8. 김유일, 이애란, 1997, 도시근교농촌의 토지이용 및 경관의 변화, 농촌계획, 3(2): 71-80. 

  9. 박용하 외 5인, 2007, 농촌경관관리의 인식 및 농촌 경관관리 발전방안, 농촌계획, 13(3): 103-110. 

  10. 변병설, 2004, 도시주변 농촌경관의 문제점과 정책적 대응전략, ECO : 환경사회학연구, 6: 102-126. 

  11. 서주환, 최현상, 1997, 농촌 촌락의 경관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논문집, 26: 1061-1074. 

  12. 손용택, 1991, 수도권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12): 53-68. 

  13. 신영선, 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공동체의식 측정항목 도출 및 형성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심근정, 김용수, 1996, 농촌마을 주거지공간의 변천 과정과 변화요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1(5): 339-354. 

  15. 이경기, 2009, 난개발방지를 위한 제조업개별입지 관리방안, 충북개발연구원, 2009(9): 1-71. 

  16. 이규성, 김일진, 1993, 한국 전통마을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1): 9-24. 

  17. 이상규, 2010, 농촌의 물리적 주거환경 특성분석에 따른 경관평가와 해석에 관한 연구: 경기도 농촌을 중심으로,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1) : 65-74. 

  18. 이시영, 심준영, 2000, 한국 농촌 주거경관의 변화양상:1920년대-1990년대까지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1): 32-42. 

  19. 이재덕, 1985, 농촌경관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새마을연구회문집, 4(-): 77-94. 

  20. 이정원, 2013,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를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이진숙 외, 2010,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제작, 한국색채학회, 24(3): 125-137. 

  22. 이천시, 2010, 2015 이천도시관리계획 

  23. 이학섭, 손용훈, 2010, 홍수와 근대 토목 치수사업으로 인한 취락의 경관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3): 243-252. 

  24. 이현주, 이승헌, 2004, 경기도 접경지역의 경제구조변화와 기업의 입지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 7(2): 203-225. 

  25. 윤원근, 하성규, 1997, 도시근교 혼주화마을 농촌주택의 공간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주택연구, 5(1): 73-101. 

  26. 윤희진, 2010,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농촌지역 토지의 공간재구성을 위한 모델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2(3): 209-220. 

  27. 임승빈, 조순재, 박창석, 1996, 농촌마을 계획 정비를 위한 농촌마을모델 형성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2) : 57-66. 

  28. 장성준, 1983, 농촌주거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난 건축문화의 양태; 역할의 재조정과 기술이 갖는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면서, 국토계획, 18(2): 157-168. 

  29. 전경배, 최명규, 1991, 농촌지역에 있어서 생활권의 설정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7(3): 125-132. 

  30. 정부매, 최기엽, 1994, 서울 근교 전통 농촌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29(3): 340-359. 

  31. 최병선, 이혜영, 2001, 한국의 규제정책 분야 실증 연구의 경향과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39(3): 139-166. 

  32. 최창규, 이원영, 2008, 수도권 교외지역 개별입지공장 입지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0 (3): 21-38. 

  33. 한필원, 이광노, 1990, 농촌마을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 경북 금릉군 구성면 상원리 원터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3):105-112. 

  34. 孫鏞勳, 下村彰男, 浜泰一, 2006, 下?町大?宿における集落景?の認識に?わるオモテの景?構造の特?に?する?究 ランドスケ?プ?究, 69(5) : 717-720. 

  35. 藍澤宏, 七條典之, 1993, 大都市近郊混住地域における地域社會形成に?する?究;?浜市郊外地域を事例?象地として. 日本建築學會計?系論文報告集. 449:57-67. 

  36. 鎌田元弘, 土肥博至, 1991, 集落の類型化による混住化の適合性の評?;都市近郊地域における混住化集落の類型化とその特性に?する考察その4;日本建築學會計?系論文報告集. 420:49-56. 

  37. 神吉紀世子, 三村浩史, 1991, 地方小都市近郊農村の市街化に伴う里山.集落景?の?容過程に?する?究 ; 住宅開?の?生構造と農家の市街化意識から. 日本都市計?學會學術?究論文集, Vol.26: 139-144. 

  38. 齋藤雪彦, 全銀景, 2005, 都市近郊農村地域における集落域の空間管理の粗放化と土地利用規制の課題 ; 千葉?Z町T集落を事例として. 日本建築學會計?系論文集, 594 :53-60. 

  39. 국토교통부 통합지도서비스, http://map.vworld.kr 

  40. 광주시 생활지리웹포털, https://gis.gjcity.go.kr 

  41. 네이버지도 지적편집도, http://map.naver.com 

  42.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http://www.kreic.org/realtyprice 

  43.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탈, http://www.onnara.go.kr 

  44. 이천시 생활지리정보, http://gis.icheon.go.kr/intranet 

  45. 자치법규 정보시스템, http://www.el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