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내용 교수 지식(PCK) 관련 교수활동 요소의 탐색
Exploration of Teaching Elements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r Teaching Professional Growth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2 no.2 = no.48, 2010년, pp.231 - 244  

원효헌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omains and elem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r effective 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The value of PCK lies essentially in its relation with specific topics. Teachers' PCK becomes through making explicit the nature of their pedagogical reas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과적인 수업이란 무엇인가? 효과적인 수업을 어떻게 정의내릴 수 있는가? 그리고, 일상의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활동이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과연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교육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수 많은 사람들 사이에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에 학교교육과 교사가 제공하는 교수활동의 질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학교 행정가 현장 교사 및 교육연구자, 학부모 등 교육 이해당사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PCK 연구의 효시라 할 수 있는 Shulman의 교수 추론 모델을 개관하고 최근에 KICE--TCL에서 연구되고 있는 PCK의 일반 모형과 각 교과별 PCK 개발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PCK 모형의 틀을 유지하면서 기존에 이루어진 교수효과성 관련 연구들을 수업의 단계별로 종합 정리하여 이를 PCK 영역과 관련 교수활동 요소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교수 전문성을 높이는 한 가지 방안으로서 교실 수업에서 교사가 표출하는 내용 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이하 PCK라 함)에 초점을 두고, PCK 연구의 효시라 할 수 있는 Shulman의 교수 추론 모델을 개관하고 최근에 KICE-TLC에서 연구되고 있는 PCK의 일반 모형과 각 교과별 PCK 개발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들 PCK 모형의 틀을 유지하면서 기존에 이루어진 교수효과성 관련 연구들을 수업의 단계별로 중요한 교수 활동 영역을 설정한 다음 각 영역별로 교사가 수행해야 할 PCK 구성과 관련된 교수활동 요소들을 추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CK란? Shulman(1986, 1987)은 PCK를 학생들의 내용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특정한 방식으로 교과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라 정의한 바 있다. 유능한 교사는 교과 내용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교과 내용 맥락에 맞추어 교수 지식을 변경함으로써 고유의 PCK를 개발하게 된다.
교사란 어떤 지식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가?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상의 목표 및 요구사항, 그리고 내용에 대한 정확하고도 확고한 지식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교수학적 추론과 행동의 모델은 어떤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가? 따라서 교사의 사고가 표출될 수 있는 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하는데 Shulman(1987)은 이 과정을 '교수학적 추론과 행동의 모델(A model of pedagogical reasoning and action)'로 설명하였다. 이 모델은 이해(comprehension), 변환(transformation), 수업(instruction), 평가(evaluation), 반성(reflection), 새로운 이해(new comprehension)라는 여섯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도식화하면 [그림 2]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곽영순, 최승현(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3-3. 

  2. 배호순(1992). 교수효과 평가를 위한 준거체제 탐색 연구, 교육학 연구, 30(4). 

  3. 원효헌(2006). 교수효과성의 본질에 대한 고찰, 수산해양교육연구, 18(3), 219. 

  4. 이경화(2009).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79. 

  5. 이화진 외(2005). 온라인 장학 시스템 구축.운영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I 2005-2-7. 

  6. 이화진 외(2006).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1. 

  7. 임찬빈 외(2004).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일반 기준 및 교과 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4-5. 

  8. 임찬빈 외(2005).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I)-일반 및 교과기준 상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3. 

  9. 임찬빈 외(2006).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3. 

  10. 최승현(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2. 

  11. Anderson, L. M.(1989). Implementing instructional programs to promote meaningful, self-regulated learning. In J. Brophy(ed.), Advances in research on teaching, CT: JAI Press. 

  12. Brophy, J & Good, T.(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3rd), New York: MacMillan. 

  13. Centra, J. A.(1993). Reflective faculty evaluation, SF: Jossey-Bass. 

  14. Doyle, W.(1986). Classroo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M. C.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3rd ed.), NY: Macmillan. 

  15. Dwyer, C. A.(1993). Teaching and diversity: meeting the challenges for innovative teacher assessments, Journal of teacher eduacation, 44(2). 

  16. Dwyer, C. A.(1994). Criteria for performance-based teacher assessments: Validity, standards, and issues,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8(1). 

  17. French, R. L.(1993). Teacher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southeastern states: Forms and functions,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6(4). 

  18. Hunter, M.(1988). Create rather than await your fate in teacher evaluation. In W. J. Popham, S. J. Stanley(Eds), Teacher evaluation: Six prescriptions for success, ASCD. 

  19. Manatt, R. P., & Stow, S.(1984). The clinical manual for teacher performance evaluation.. Ames: Iowa State Univ, Research Foundation. 

  20. McGreal, T. L.(1983). Successful teacher evaluation, Alexandria, VA: ASCD. 

  21. Medley, D. et al.(1984). Measurement-based evaluation of teacher performance, New York: Longman. 

  22. Reynolds, A.(1992). Getting to the Core of the Apple,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6(1). 

  23. Rosenfeld, M. et al.(1990). Analysis stage III job analysis of teaching: The professional func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aper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AERA, Boston, MA. 

  24. Rosenshine, B. & Stevens, R.(1986). Teaching function. In M. C.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3rd ed.), NY: Macmillan. 

  25. Scriven, M.(1988). Duty-based teacher evaluation,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1(4). 

  26. Shuell, T. J.(1996). Teaching and learning in a classroom context, In D. C. Berliner & R. C. Calfee(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NY: Macmillan. 

  27.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8.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29. Street, S.(1990). Content synthesis of currently used state-wid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ETS, Princeton, NJ.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