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의 평준화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간 학력격차에 대한 인식 및 해소방안 탐색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ome Solu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Gap among Academic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2 no.1 = no.47, 2010년, pp.52 - 66  

오세희 (인제대학교) ,  김기민 (창원대학교) ,  정성수 (인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some solu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gap among academic high schools of four equalization cities' persons concerned in Gyeongsangnam-do. The persons concerned are designated to pupils, parents and teachers of secondary schooling. To acco...

주제어

참고문헌 (56)

  1. 강상진 외(2005). 고교평준화 정책 효과의 실증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 강영혜 외(2004). 교육격차의 실태 및 해소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 강영혜 외(2005).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III)-학교교육의 실태와 보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4. 강희돈(1988). 한국의 사회이동과 학교교육의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고경화(2007).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 관계 논의, 교육의 이론과 실천, 12(2), 1-22. 

  6. 김경근(2005).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 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 

  7. 김기민 외(2009). 평준화지역 고등학교 간 학력격차 해소방안 연구, 경상남도교육청. 

  8. 김기석 외(2005). 평준화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9. 김미숙(2006). 평준화지역 학교들 간에 교육의 질 차이가 있는가?, 한국교육개발원 이슈페이퍼, 1-30. 

  10. 김미숙(2007). 평준화 제도 내에서 수월성 교육은 불가능한가?, 교육정책포럼, 통권158, 4-8. 

  11. 김부태(1995). 한국학력사회론, 내일을 여는 책. 

  12. 김삼곤.박종운.이상철(2002). 경북지역 수산계 고등학교 학생의 수산업 의식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4(1), 1-26. 

  13. 김성렬 외(2008). 충청북도 일반계고등학교 입학 전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충북고입전형개선연구팀. 

  14. 김성봉.양진건(2008). 제주시 평준화 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신입생 배정 방법 개선 방안 연구,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15. 김성열 외(2008). 평준화지역 학교 배정방법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교육청. 

  16. 김성열.김기민.오세희(2009). 평준화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간 질적 차이에 대한 분석-경남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재정경제연구, 18(1), 81-110. 

  17. 김영철(1995).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8. 김영철(2003). 서울시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 김용일(2004). 고교평준화 논쟁의 정치적 의미, 역사비평, 통권 67, 86-101. 

  20. 김윤태(1991). 평준화는 유지되어야 하는가? : 반대논리, 교육진흥, 13, 28-39. 

  21. 김재홍(2006). 지역 간.계층 간 교육여건 및 학력격차에 관한 연구, 전북대 석사학위논문. 

  22. 김정래.윤종혁.최준렬(2004). 김해 지역 고등학교 입학 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3. 김태종 외(2004). 고교 평준화 정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KDI교육정책연구소 보고서. 

  24. 류방란.김성식(2006). 교육격차, 무엇이 해법인가?, 제32차 KEDI 교육정책포럼, 한국교육개발원. 

  25. 류방란.김성식(2006). 교육격차: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6. 류방란.이광현.김수영(2007).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균형발전지수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포지션페이퍼. 

  27. 박부권 외(2007). 서울특별시 후기일반계고 학교 선택권 확대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8. 박부권(1989). 지역 간.학군 간 학력격차의 문제, 교육평가연구, 3(2), 181-196. 

  29. 박상완(2008).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6(2), 343-362. 

  30. 박소영.민병철(2008). 참된 교수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교육, 35(4), 131-151. 

  31. 박영철 외(2002). 대전광역시 평준화 적용지역 일반계고등학교 신입생 전형 및 배정 방법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3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07). 교육학대백과사전, 서울: 하우동설. 

  33. 성기선(1999). 고교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 26(2), 149-168. 

  34. 성기선(2003). 고등학교 평준화정책 학력 하향화 쟁점 분석, 교육시민연대 학술대회자료집. 

  35. 성기선(2004). 하향 평준화 논의와 학력, 고교평준화 디스커션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36. 성병창.박소영(2008). 내신 성적에 의한 일반계 고등학교 입학전형방법에 관한 교사와 학생 인식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0(3), 452-461. 

  37. 신동로.권인탁(2000). 고교평준화 정책의 찬반논쟁과 향후 과제분석, 교육학연구, 38(3), 21-39. 

  38. 안경식 외(2005). 부산광역시 일반계고 신입생 배정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39. 안경식.주철안.성병창.박소영(2007). 부산광역시 일반계고등학교 입학전형방법 개선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40. 옥장흠(1995). 도시.농어촌 학교 간 교육격차 해소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윤종혁 외(2004).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적합성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42. 이혜영.강태중(2004).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학교와 타 지역 학교의 교육격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3. 임선희.김경희(2006). 대전의 동서지역 교육격차실태와 해소방안, 교육사회학연구, 16(3). 185-206. 

  44. 장한기.박종운.이상봉(2006). 컴퓨터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수산해양교육연구, 18(2), 183-193. 

  45. 정정길 외(2004). 정책평가-이론과 적용, 서울: 법영사. 

  46. 정정길 외(2005).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47. 진동섭 외(2008). 학교컨설턴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S대 중등교육연수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6(2), 229-257. 

  48. 하봉운(2005). 지방분권시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3(3), 167-193. 

  49. 황정규(1975). 교육격차의 현실과 과제: 교육심리.과정측면에서, 교육학연구. 

  50. Coleman, J.(1966). The concept of equality of eduational opportunity, Harvard Educational Review, 38(1), 37-77. 

  51. Hauser, R. M., W. H. Sewell, and D. F. Alwin (1971) High school effects on achievement, In Sewell, Hauser, and Fearcherman(eds.),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merica society, New York: N.Y. Academy Press. 

  52. Hoy, Wayne K. and Cecil G. Miskel(2008).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8th edition, New York: McGraw-Hill. 

  53. Jencks, C. et al.(1972). Inequality: A reassessment of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ing in America,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54. Lipsky, Michael(1976). Toward a theory of street-level bureaucracy, Willis D. Hawley and Michael Lipsky(eds.). Theoretical perspectives on urban politics. Engelwoods Cliffs, N.J.: Prentice-Hall. 

  55. Mosteller, F. and D. P. Moyniban(eds.)(1972). On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New York: Vintage Books, Random House. 

  56. 학교컨설팅홈페이지 http://schoolconsulting.n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