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조직요소 분석 - 교육과정 교과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Scope of Major Curriculum in Department of Educatio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2 no.4 = no.50, 2010년, pp.477 - 489  

송숙경 (부경대학교) ,  김현정 (부경대학교) ,  이은화 (신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ends to analyze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major curriculum of education department. For this, the education department's major curriculum of ten universities is analyzed in three levels. Subjects are analyzed for the high level, lesson plans for the middle level, and sub-topics fo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편성에서 드러나는 조직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10개 대학의 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최고 수준의 조직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교과별 편성 현황 분석을, 중간 수준의 조직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의 교수 계획표상 나타난 주별 학습내용 분석을 통해 단원 및 대주제 분석을, 최저 수준 조직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의 각 과목들에서 채택한 교재에 대한 소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러나 황정규(1991)가 지적한대로 ‘종합학문적 성격은 학문의 발전을 자극할 수 있는 긍정적 토양이 될 수 있으며, 타 분야와 교류하거나 의존하지 않는 어떤 학문도 없다’는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그것은 전공교육과정의 체계적 편성과 운영에 대한 관심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체계적 편성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자, 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편성에서 드러나는 조직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특히 전공교육과정은 대학교육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전공교육과정은 전공분야 특유의 지적인 체계를 습득하고 직업에 관련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과 특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공교육과정의 출발 배경은 무엇인가? 애초에 전공교육과정의 출발은 학생들이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채우기 위하여 이 과목 저 과목을 이수하여 결과적으로 체계적인 학문적 지식이나 사회적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준비를 제대로 할 수 없다는 반성에서 비롯되었다(Boyer, 1987).
교육학의 전공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비체계성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전공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비체계성의 원인은 각 전공마다 차이는 있을 것이다. 교육학의 경우, 흔히들 표현하듯이 응용학문 혹은 종합학문적 성격으로 인해 워낙에 내포가 광범한 때문인 점과, 소위 기초학문인 철학, 심리학, 사회학에서 대부분의 개념이나 이론을 빌려온 종속적 관계 때문인지도 모른다.
전공교육과정의 목적은 무엇인가?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특히 전공교육과정은 대학교육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전공교육과정은 전공분야 특유의 지적인 체계를 습득하고 직업에 관련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과 특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현석(2001). 교육과정연구에서 질적 접근의 반성적 조절, 교육과정연구, 19(2), 19-52. 

  2. 강현석?이경섭(1999). 교육과정 설계상의 주요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17(1), 137-165. 

  3. 김대현?김석우(200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4. 김수천(2004). 교육과정학의 성격: 주요 문제와 탐구방법. 교육과정연구, 22(2), 1-27. 

  5. 김재춘(2001). 교육과정연구의 포괄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19(2), 1-18. 

  6.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7. 박민정(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1-20. 

  8. 박준희(1983). 한국 교육학이론 체계 모색: 교육 방법학의 측면, 교육학연구, 21(1), 14-21. 

  9. 소경희(2009).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7(4), 71-94. 

  10. 손민호(2004). 연구전통별로 살펴본 수업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및 과제, 교육과정연구, 22(3), 149-180. 

  11. 윤병희(1998).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과 대안적 접근의 필요성, 교육과정연구, 16(2), 1-26. 

  12. 윤병희(1998) 교육과정학의 학문적 성격 재개념화를 위한 비판적 시론, 교육과정연구, 17(2), 393-413. 

  13. 윤병희(2001). 우리나라 교육과정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역사적 비판, 교육과정연구, 19(1), 139-158. 

  14. 이은화?김인형(2009). 체육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스코프 및 시퀀스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1(3), 436-450. 

  15. 이종원(2002). 교육과정 탐구방식으로서 절충주의의 오류와 한계. 교육과정연구, 20(2), 179-196. 

  16. 임형택(1992). 한국교육과정 학문공동체의 학문활동 분석, 서울: 연이출판사. 

  17. 장인실(2005). 교재분석을 통한 교육과정학의 영역과 발전 동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2), 17-37. 

  18. 장인실(2006). 한국교육과정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4(2), 51-70. 

  19. 전성연(1991). 학문으로서의 교육학 교육, 교육학연구, 29(3), 27-38. 

  20. 진영은(1996). 교육과정연구에서의 문화기술법, 교육과정연구, 14(1), 264-284. 

  21. 최미리(2007). 미국 Alverno 대학의 능력중심 교육과정(Ability-Based Curriculum)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309-339. 

  22. 한신일?권영신?주정흔(2003). 미국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13(1), 91-119. 

  23. 홍웅선(1983). 한국 교육학이론 체계 모색: 교과교육학의 측면, 교육학연구, 21(1), 22-35. 

  24. 홍후조(2004a). 4년제 일반 대학의 학부 교육과정 문제와 과제, 교육과정연구, 22(3), 267-295. 

  25. 홍후조(2004b). 교육과정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탐구 영역의 규명과 그 정당화(II), 교육과정연구, 22(4), 27-48. 

  26. 홍후조?백경선(2004). 교육과정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탐구영역의 규명과 그 정당화(II)-교육과정 결정의 세 요인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2(2), 29-54. 

  27. 황정규(1991). 교육학의 성격과 교육학 교육, 교육학연구, 29(3), 1110. 

  28. Baller, E. (1991). The Impact of Textbooks, A. Lewy(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138-139, Oxford: Pergamon Press. 

  29. Boyer, E.L.(1987). College: The undergraduate experience in America,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30. Piver, David J.(1969). The Changing Structures of Historical Knowledge and Undergraduate Curriculum, California State Coll., Fullert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