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방식에 따른 녹두 종실과 나물의 품질변화
Comparison in Seed and Sprout Quality under Different Cropping Patterns in Mungbea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6 no.3, 2011년, pp.212 - 218  

김동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손동모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최진경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신해룡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천상욱 ((주)이파리넷) ,  이경동 (동신대학교) ,  정기열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임요섭 (순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생력재배로 일시수확 및 관행재배로 생산한 녹두의 품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력재배는 7월 23일에 파종하여 10월 28일 일시에 수확하였고, 관행재배는 6월 13일에 파종하여 8월 중순부터 3차례 손으로 수확하였다. 1. 종실의 전분, 조단백질,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은 재배방식과 수확기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종실의 조지방 함량은 생력재배, 관행재배 3차, 2차, 1차 수확한 종실 순으로 많았다. 2. 종실의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종류는 관행재배로 2차 수확한 종실에서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관행재배 3차나 생력재배로 일시에 수확한 종실은 12종으로 가장 적었다. 주요 포화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와 arachid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및 생력재배 수확 순으로 높은 비율인 반면 stearic acid는 반대의 경향이었다. 주요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linole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수확 및 생력재배 순으로 조성 비율이 높았다. 3. 종실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관행재배로 1차에 수확한 종실은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종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점도가, 관행재배 3차에 수확한 종실은 치반점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생력재배로 수확된 종실은 모든 아밀로그램 측정값이 현저하게 낮았다. 4. 녹두나물을 생산하고 나물의 수율과 색도 및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력재배로 생산한 녹두는 나물의 생산수율이 낮으나 색도와 아미노산 함량은 관행재배로 수확한 종실을 이용하여 생산한 나물과 비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ve quality of mungbeans harvested in bulk after applying a labor-saving cultivation (LSC) method, compared to mungbeans harvested three different times under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rch, crud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새롭게 개발된 녹두 생력재배 생산 종실이나 원료곡을 이용하여 재배한 녹두나물의 품질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농현장에서 안정적으로 녹두 생력재배 면적을 확대하고 유통을 촉진시키고자 생력재배로 생산된 종실과 관행재배로 1~3차 손 수확한 종실의 품질과 그 종실로 재배한 나물의 품질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생력재배로 일시수확 및 관행재배로 생산한 녹두의 품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력재배는 7월 23일에 파종하여 10월 28일 일시에 수확하였고, 관행재배는 6월 13일에 파종하여 8월 중순부터 3차례 손으로 수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두의 생육 최적온도는? 녹두는 아열대성 작물로 생육 최저온도는 20℃이고 최적온도는 28~30℃이며 저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여러 번 개화피크를 이루는 생리적인 특성 때문에 일시수확이 곤란하여 그동안 농가에서는 3~4회 손으로 수확해야만 했다.
새롭게 개발된 녹두 생력재배기술로 인한 결과는 무엇인가? , 2010). 새롭게 개발된 녹두 생력재배기술은 농가 수용도가 높아 남부지역 잡곡류 주산지를 중심으로 적용 면적이 급속하게 증가되었고 생산물의 품질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 녹두의 단백질, 지방, 전분 등(Kim et al.
녹두의 생리적 특성 때문에 그동안 농가에서는 어떻게 수확했는가? 녹두는 아열대성 작물로 생육 최저온도는 20℃이고 최적온도는 28~30℃이며 저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여러 번 개화피크를 이루는 생리적인 특성 때문에 일시수확이 곤란하여 그동안 농가에서는 3~4회 손으로 수확해야만 했다. 위도에 따른 녹두 생육반응과 우리나라의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특성을 이용하여 최근에 남부지역에서 7월 20~25일에 파종하여 10월 하순부터 범용콤바인으로 일시에 수확·탈곡하는 생력재배기술을 개발하고(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oeck, J. A., W. R. Fehr, P. A. Murphy, and G. A. Welke. 2000. Influence of genotype and environment on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Crop Sci. 40 : 48-51. 

  2. Jung, S. H., G. J. Shin, and C. U. Choi. 1991.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weet potato, potato, wheat and mungbean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 : 272-275. 

  3. Kim B. J., J. H. Kim, Y. Hea, and H. P. Kim. 1998.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ungbean. Cosmetics & Toiletries magazine. 113 : 71-74. 

  4. Kim, D. K., D. M Son, J. K. Choi, S. U. Chon, K. D. Lee, and Y. S. Rim. 2010. Growth property and seed quality of mungbean cultivars appropriate for labor saving cultivation. Korean J. Crop Sci. 55(3) : 239-244. 

  5. Kim, D. K., D. M Son, S. U. Chon, K. D. Lee, K. H. Kim, and Y. S. Rim. 2009a.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DPPH, ADH, ALDH activities of mungbean sprout based on growth temperature. Korean J. Crop Sci. 54(1) : 1-6. 

  6. Kim, D. K., J. G. Choi, B. J. Jung, D. M. Son, and K. H. Kim. 2009b. Proper seeding time for mechanical harvesting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54(1) : 7-12. 

  7. Kim, D. K., J. G. Choi, Y. S. Lee, D. M. Son, J. K. Moon, Y. J. Oh, and K. H. Kim. 2009c. A new mungbean cultivar, "Dahyeon" with many pod and high yielding. Korean J. Breed. Sci. 41(1) : 36-39. 

  8. Kim, J. S., S. B. Wang, S. K. Kang, Y. S. Cho, and S. K Park. 2009d. Quality properties of white lotus leaf fermented by mycelial Paecilomyces japon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 : 594-600. 

  9. Kim, D. K., S. U. Chon, K. D. Lee, J. B. Kim, and Y. S. Rim. 2008a.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3) : 279-284. 

  10. Kim, D. K., S. U. Chon, K. D. Lee, K. H. Kim, Y. S. Rim, and S. C. Jeong. 2008b. Effect of seeding times on yield and flavonoid conten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3) : 273-279. 

  11. Kim, D. K., Y. S. Lee, B. J. Jung, D. M. Son, J. K. Moon, Y. J. Oh, J. B. Kim, and K. H. Kim. 2008c, A new high quality and yield mungbean cultivar "Sohyeon". Korean J. Breed. Sci. 40(4) : 507-511. 

  12. Kim, S. R., and S. D. Kim. 1996. Studies on soybean isoflavones. RDA. J. Agri. Sci. 38 : 155-165. 

  13. Kim, Y. S. Y. B. Han, Y. J. Yoo, and J. S. Jo. 1981.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mungbean. Korean J. Food Technol. 13(2) : 146-152. 

  14. Kitamura, K., K. Ijta, A. Kikuchi, S. Kudou, and K. Okubo. 1991. Low isoflavone content in some early maturinr cultivars, so called "summer-type soybeans". Japan J. Breed. 41 : 651-654. 

  15. Koh, K. J., D. B. Shin, and Y. C. Lee. 199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in small red bean, mung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 : 854-859. 

  16. Kweon, M. R. and S. Y. Ahn. 199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4) : 334-339. 

  17. Lee, S. C., T. G. Lim, D. C. Kim, D. S. Song, and Y. G. Kim. 1997. Varietal differences of major chemical compon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42(1) : 1-6.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3. Evaluation of rice quality and sikmi. pp. 58-74.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6a.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ition) part I. pp. 78-81. 

  2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6b.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ition) part II. pp. 294-295. 

  21. Um, S. H., Y. O. Song, and H. S. Cheigh. 1990. Compositions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in lipids extracted from mungbean starch. J. Korean Soc. Food Nutr. 19(1) : 87-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