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패션산업 활성화 방안 -4년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y's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Activating Fashion Busines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5 no.11, 2011년, pp.1399 - 1408  

홍성애 (한성대학교 의류패션산업) ,  이진희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a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more appropriate educational courses and to activate the fashion business. A total of 82 different departments related to fashion and apparel were se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복구성분야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전국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의복구성분야의 다양한 교과목들을 다각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패션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각 대학에서 의복구성분야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의복구성분야는 대학에서의 교육대상자 및 대학교육 편성 비율상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교과목으로 인지되고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의복구성분야 전체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 연구가 수행된 것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패션산업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고 학생들의 새로운 직업군 등장에 따른 교육의 변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4년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의복구성분야 교과목이 개설된 전국 82개 학과 및 전공에 대하여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을 다각도로 비교분석하여 패션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각 대학의 관련 교과과정 개편에 참고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구성분야 교과목이 개설된 학과·전공들의 전국 지역별 분포를 볼 때, 가장 많이 차지한 지역은 어디이며 얼마나 차지했는가? 의복구성분야 교과목이 개설된 학과·전공들의 전국 지역별 분포[Fig. 1]를 볼 때 Seoul(서울)지역이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여 전국의 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Seoul(서울)·Gyeonggi-do(경기도)·Incheon(인천)의 수도권에 37.8%로 나타나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현상을 알 수 있다.
의복구성분야는 어떤 교과목인가? 특히 의복구성분야는 Kim(2000)의 연구에서 학부, 석사, 박사과정 모두 중요하게 인식한 교과목이며, Ju et al.(2011)의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의 교과목 구성 비율 조사에서 의복구성분야가 포함된 제품생산 관련 과목(한복 포함)이 디자인(36.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의류학의 학문분야는 패션디자인, 패션마케팅, 의복구성, 의류소재, 복식사 등 다양한 세부 분야들의 학문영역을 포괄하는 복합학문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고 본 이유는? 의류산업을 통해 생산되는 의류제품은 다양한 공정을 거쳐서 생산되며 그러한 공정은 의류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문 인력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의류학의 학문분야는 패션디자인, 패션마케팅, 의복구성, 의류소재, 복식사 등 다양한 세부 분야들의 학문영역을 포괄하는 복합학문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ng, D. R. (1997). A study on the basic education program of fashion drawing. Fashion Business, 1(1), 84-98. 

  2. Cho, J. M. (2010). Development of contents in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65-1276. 

  3. Choi, M. S., Cho, H. J., & Ahn, H. J. (2004). Investigation on the education effect and recognition of apparel pattern CAD system on the apparel majority stud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 1-10. 

  4. Choi, H. J. (1993).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and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7(4), 638-647. 

  5. Choo, T. G. (1997). A study of fashion and textile design education in the U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3, 55-71. 

  6. Chun, H. J. (2000). The direction for fashion merchandising education. Fashion Business, 4(1), 87-96. 

  7. Han, Y. H., Jung, J. E., & Lee, C. W. (2011). Curriculum development for fashion busines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Fashion Business, 15(1), 1-19. 

  8. Jo, J. S. (1992). Teaching about automation in the cloth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 75?81. 

  9. Joung, H. O., & Park, S. H. (1997).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fashion illustr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6(1), 65-77. 

  10. Ju, J. A., Ryu, H. S., & Kim, H. A.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o industrial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3), 325-335. 

  11. Jung, H. J. (2009). Study of fashion retail management curriculum: 4-year colleges in Korea and the USA. Fashion Business, 13(1), 34-50. 

  12. Kim, H. E. (1999). A study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for the dept. of fashion design i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 89-107. 

  13. Kim, H. Y. (2000).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riculum in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Based on the sample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2), 81-95. 

  14. Kim, M. H. (2008).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an analysis in pursuit of better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6), 115?122. 

  15. Kim, S. H. (1996). A report on the fashion education in Ita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7, 147-162. 

  16. Kim, S. H., & Lee, S. J. (1999).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apparel cad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in domestic colle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 26-33. 

  17. Ku, Y. S., Kim, J. W., Park, K. G., Park, K. H.,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s: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1), 19-32. 

  18. Lee, J. S., & Han, G. H. (1999). A study to improve the rinkage between apparel industry and a university education on clothing cunstruction: Focus on process of pattern mak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6), 972?984. 

  19. Lee, S. H., & Park, S. K. (2007). A globalization-focu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area: Comparison of Korean and U.S. graduate school's fashion marketing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420-432. 

  20. Lee, Y. J. (2002).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5), 727-736. 

  21. Lee, Y. J. (2003a).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2), 169?176. 

  22. Lee, Y. J. (2003b).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725?734. 

  23. Lee, Y. J. (2004). A comparative analysis of cad education and key success factors in Korea, Japan, Germany and USA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448?1457. 

  24. Lee, Y. J. (2005). A comparative analysis of cad education and key success factors in Korea, Japan, Germany and USA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46?57. 

  25. Lee. Y. R., & Lee, M. Y. (2007).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a and i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5), 123?139. 

  26. Park, T. Y. (2005). A study on the situation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5), 585-594. 

  27. Rah, S. I., Kwon, H. S., & Lee, J. S.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urses. Fashion Business, 12(5), 54?66. 

  28. Shin, K. H. (2001). Job analysis for fashion merchandise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2), 191-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