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관련 학과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현황분석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ashion Related Courses -Focusing on Four-year Domestic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2, 2017년, pp.242 - 253  

김경애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조경숙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elected 81 universities (39.1%) for research and close analysis to analyze the current availability of courses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at four-year domestic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curriculum is currently composed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course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제품생산 관련 과목인 의복구성분야 교과과정 현황을 다 각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제품생산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보완에 필요한 기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특성과 변화를 고려하여 미래 지향적인 교육과정개발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의복구성분야 교과목들이 다양하게 발전 · 개발되어 이론과 실기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유사하면서도 다양한 교과목들이 단계별로 이론과 실기교과목으로 적절하게 편성 · 분포되어 있음이 분석되었다.
  • 전국 4년제 대학 패션 관련 학과 의복구성분야 교과목 개설이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분포를 살펴보았다. 교과목 개설분포는 2개의 교과목 개설에서 17개의 개설교과목 수로 다양하게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패션 관련 학과의 지역별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행정 구역 단위를 기준으로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패션 관련 학과의 지역별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행정 구역 단위(강원도, 서울, 경기, 인천,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대전, 광주, 울산, 대구, 부산, 제주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조사 ·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서울지역이 가장 높은 23.5%의 분포율을 보였고, 수도권인 경기지역이 14.8%로 뒤를 이어 서울과 수도권의 분포율 38.3%로 전체 1/3 이상 집중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화된 의류제 품 생산 환경이 전문적인 이해와 숙련된 기술을 겸비한 생산 전문 인력을 요구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패션디지털 산업은 제품 생산 분야에서 다양한 공정개발과 함께 첨단화를 이루고 있으며, 이제 패션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도는 의류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척도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렇게 제품생산 공정이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생산이 이루어지는 지리적 공간은 이전보다 훨씬 확장되어 전 세계가 생산기지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세계화된 의류제 품 생산 환경은 다양한 문제를 능률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전문적인 이해와 숙련된 기술을 겸비한 생산 전문 인력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제품생산 분야에 속하는 전국 대학 구성분야 교육과목 비율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하는가? 수행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Ju et al., 2011)에서는 제품생산 분야에 속하는 전국 대학 구성분야 교육과목 비율이 패션디자인(36.2%) 다음으로 구성분야(20.4%)가 높은 편성비율을 나타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Rh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J. (2010). Development of contents in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65-1276. 

  2. Choi, H. J. (1993). The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17(4), 638-647. 

  3. Choi, M. S., Cho, H. J., & Ahn, H. J. (2004). Investigation on the education effect and recognition of apparel pattern CAD system on the apparel majority stud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 1-10. 

  4. Han, Y., Jung, J., & Lee, C. (2011). Curriculum development for fashion busines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1), 1-19. 

  5. Hong, S. A., & Lee, J.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y's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activating fashion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1), 1399-1408. doi:10.5850/JKSCT.2011.35.11.1399 

  6. Jo, J. S. (1992). Teaching about automation in the cloth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 75-81. 

  7. Ju, J., Ryu, H., & Kim, H.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o industrial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3), 325-335. 

  8. Jung, H. J. (2009). Study of fashion retail management curriculum - 4-year colleges in Korea and the USA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1), 34-50. 

  9. Kim, H. Y. (2000). A study on the student perception of curriculum in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 Based on the sample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2), 81-95. 

  10. Kim, M. H. (2008).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an analysis in pursuit of better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6), 115-122. 

  11. Kim, S. H., & Lee, S. J. (1999).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apparel CAD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in domestic colle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 26-33. 

  12. Lee, J. S., & Han, G. H. (1999). A study to improve the rinkage between apparel industry and a university education on clothing construction-Focus on process of pattern mak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6), 972-984. 

  13. Lee, S. H., & Park, S. K. (2007). A globalization-focu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area-Comparison of Korean and U.S. graduate school's fashion marketing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420-432. 

  14. Lee, Y. J. (2004). A comparative analysis of CAD education and key success factors in Korea, Japan, Germany and USA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448-1457. 

  15. Lee, Y. J. (2005). A comparative analysis of CAD education and key success factors in Korea, Japan, Germany and USA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46-57. 

  16. Oh, S. Y., & Ryu, E. J. (2015). A study on expressivity of virtual clothing made of 3D apparel CAD system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4), 613-625. doi:10.5805/SFTI.2015.17.4.613. 

  17. Park, T. Y. (2005). A study on the situation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Textiles, 29(5), 585-594. 

  18. Rha, S, I., Kwon, H. S., & Lee, J. S.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ur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5), 54-66. 

  19. Shin, K. H. (2001). Job analysis for fashion merchandise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2), 191-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