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송이버섯과 공생하는 소나무 세근으로부터 분리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let of Pinus densiflora Colonized by Tricholoma matsutake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9 no.3, 2011년, pp.223 - 226  

유영현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윤혁준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우주리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임순옥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진형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송이버섯 생육지의 소나무세근으로부터 내생균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내생균을 rDNA-ITS 영역으로 동정한 결과 18종이 확인 되었으며, 이중에는 자낭균류 15종, 털곰팡이 아문 3종이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내생균 중에는 Penicillium속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생육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Pinus densiflora rootlet colonized by ectomycorrhizal fungus Tricholoma matsutake. Eighteen species of endophytic fungi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rDNA-ITS sequence. As the result of the rDNA-ITS analysis, ascomycota of 15 species and Mucoromycotina of 3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송이버섯과 공생관계에 있는 소나무 세근의 내생균을 분리하여 동정을 수행하였으며, 공생관계 연구가 부족한 내생균의 다양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 세근에서 분리된 내생균의 계통분류를 크게 2가지 그룹으로 나누면 어떻게 분류되는가? 1). 첫 번째 그룹은 자낭균문(Ascomycota)에 속하였으며, Trichocomaceae과에 속하는 Penicillium속과 Aspergillus속 그리고 Talaromyces속을 확인 하였고, 분류체계가 명확하지 않은 Helotiales목에 속하는 Phialocephala속을 동정하였다. 그리고 Clavicipitaceae과에 속하는 Chaunopycnis속과 Dermateaceae과에 속하는 Cryptosporiopsis속이 동정 되었다. 두 번째 그룹은 털곰팡이 아문(Mucoromycotina)으로서 Mortierellaceae과에 속하는 Mortierella속과 Umbelopsis속을 동정 하였다. 소나무 세근에서 분리된 내생균의 빈도는 자낭균문에 속하는 Penicillium속 10 종, Aspergillus속 1종, Talaromyces속 1종, Phialocephala속 1종, Chaunopycnis속 1종, Cryptosporiopsis속 1종이 동정되었고, 털곰팡이 아문에 속하는 Mortierella속 2종과 Umbelopsis속 1종이 분리 및 동정되었다.
송이버섯이란?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은 소나무(Pinus densiflora) 뿌리 끝부분인 세근에 붙어사는 외생균근으로, 소나무로부터 탄수화물을 공급받으며 무기양분의 일부를 소나무에 공급하는 활물공생균으로 알려져 있다(Koo, 2005; Yamada et al., 1999).
송이의 독특한 향기 성분으로 어떤 물질이 있나요? 메틸 트랜스 신나메이트(Methyl trans-cinnamate), 마츠다케올(1-octen-3-ol)과 같은 독특한 향기성분을 가지고 있는 송이는 씹는 맛이 일품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전역에서 선호하는 버섯식품이다(안과 이, 1986). 그러나 현재까지 송이버섯의 인공재배법은 개발 중에 있으며, 생산량은 그 해의 온도, 강수량, 소나무림 환경, 소나무 재선충병, 산불 등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마다 발생하는 송이 생산량에는 큰 차이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가강현, 허태철, 박현, 김희수, 박원철. 2010. 송이 감염묘로부터 송이균의 생장과 균환 형성. 한국균학회지. 38:16-20. 

  2. 김명욱, 조영제. 2006. 송이버섯 biomass를 위한 균사체 배양 조건.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9:266-269. 

  3. 송현순, 민강희. 1991. 적송(Pinus densiflora)림내 송이(Tricholoma matsutake) 발생지와 미발생지의 토양 균류의 수직 분포. 한국균학회지. 19:109-119. 

  4. 심교문, 고철순, 이양수, 김건엽, 이정택, 김순정. 2007. 양양지역 송이 발생과 기상요소의 상관관계. 한국농림기상학회지. 9:188-194. 

  5. 안장수, 이규한. 1986. 한국산 식용버섯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I)-송이버섯의 향기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5:253-257. 

  6. 양효식. 2002.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127-134. 

  7. 이경준, 김양섭, 이태수, 김교수. 1986. 송이발생림과(松發生林) 미발생림의 버섯분포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임학회지. 72:27-31. 

  8. 허태철, 박현. 2001. 송이 균환 주변의 토양미생물과 토양효소의 동태. 한국임학 회지. 90:767-773. 

  9. Clay, K. and J. Holah. 1999. Fungal endophyte symbiosis and plant diversity in successional fields. Science. 285:1742-1744. 

  10. Farjon, A. 2005. Pines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genus Pinus. Brill Academic Publishers Leiden, Netherlands. 

  11. Fisher, P. J., Anson, A. E. and Petrini, O. 1984. Novel antibiotic activity of an endophytic Cryptosporiopsis sp. isolated from Vaccinium myrtillus. Trans. Br. Mycol. Soc. 83:145-148. 

  12. Gong, M. Q., Su, L., Chen, Y., Wang, F. G. and Cao, J. X. 2002. A study on development of shiro and productive potentialities of Tricholoma matsutake. Forest Research. 15:374-379. 

  13. Koo, C. D. 2005.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ectomycorrhiza. J. Kor. For. Soc. 94:16-20. 

  14. Khan, S. A., Hamayun, M., Yoon, H. J., Kim, H. Y., Suh, S. J., Hwang, S. K., Kim, J. M., Lee, I. J., Choo, Y. S., Yoon, U. H., Kong, W. S., Lee, B. M. and Kim, J. G. 2008. Plant growth promotion and Penicillium citrinum. W 8:231. 

  15. Kil, Y. J., Eo, J. K. and Eom, A. H. 2009.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n Boeun, Korea. Kor. J. Mycol. 37:130-133. 

  16. Park, H., Ka, K. H., Hur, T. C., Hong, Y. P., Bak, W. C. and Yeo, U. H. 2004. Occurrence of fruiting body of Tricholoma matsutake at a Pinus rigida stand in Korea. Kor. J. Mycol. 93:401-408. 

  17. Rim, S. O., Lee, J. H., Khan, S. A., Lee, I. J., Rhee, I. K., Lee, K. S. and Kim, J. G.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al strains producing gibberellins from the root of plant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357-363. 

  18. Seo, S. T., Kim, K. H., Kim, M. J., Hong, J. S., Park, J. H. and Shin, S. C. 2009. Diversity of Fungal Endophytes from Pinus koraiensis Leaves in Korea. Kor. J. Mycol. 37:108-110. 

  19. Yamada, A., Maeda, K. and Ohmasa, M. 1999. Ectomycorrhiza form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solates on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in vitro. Mycoscience. 40:455-4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