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양 치성 종양(adenomatoid odontogenic tumor)은 악골에 드물게 발생하는 치성 기원의 종양이다. 이전에는 법랑모세포종(ameloblastoma)의 한 종류로 여겨졌으나 양성이며 재발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상악 견치에 호발하며 대개는 무증상이지만 크기가 천천히 커져 무통성 종창을 일으킬 수 있다. 방사선학적으로 함치성 낭종(dentigerous cyst) 및 단방성 법랑모세포종(unicystic ameloblastoma)과 매우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보존적인 소파술(curettage) 및 적출술(enucleation)을 통해 치료한다.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측절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여자 환아에서 방사선 사진 검사를 통해 치아의 매복 및 병소를 확인하고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치아에는 브라켓을 부착하여 교정적 정출을 유도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선양 치성 종양으로 확진되었으며 양호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AOT) is an infrequent odontogenic tumor which arise in the jaw. It was considered as a variant of ameloblastoma. Th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is clearly benign and, in contrast to the ameloblastoma, present a very low recurrence. It most often appears in the canin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측절치에 발생한 선양 치성 종양을 외과적으로 적출하고 교정적 견인을 통해 이환된 치아의 양호한 맹출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양 치성 종양은 어떠한 용어들로 불려졌나? 1905년 최초로 선양 치성 종양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6). 하지만 1970년 초반까지 법랑모세포종(ameloblastoma)의 한 종류로 여겨졌으며 adenoameloblastoma, ameloblastic adenomatoid tumor, adamantinoma, epithelioma adamantinum, teratomatous odontoma 등 다양한 용어로 불려졌다7). 1969년 Philipsen과 Birn은 처음으로 선양 치성 종양이라는 용어를 제안하였고8), 1971년 WHO는 이를 승인하였다.
선양 치성 종양의 성별에 따른 발생빈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하악보다 상악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특히 상악 견치에 호발한다3). 여자의 발생빈도가 남자보다 두 배 정도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10대에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3,4). 특별한 임상 증상은 없지만 천천히 크기가 커져 종창을 야기하기도 한다1,4).
선양 치성 종양은 전체 치성 종양의 몇 퍼센트인가? 선양 치성 종양(adenomatoid odontogenic tumor)은 전체 치성 종양의 3~7% 정도의 빈도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악골 종양이다1,2). 하악보다 상악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특히 상악 견치에 호발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roncek GG, Acevedo A, Higa LH : An atypical odontogenic adenomatoid tumor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al Med, 6:102-105, 1981. 

  2. Dayi E, Gurbuz G, Bilge OM, Ciftcioglu MA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ur(adenoameloblastom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 Dent J, 42:315-318, 1997. 

  3. Toida M, Hyodo I, Okuda T, Tatematsu N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report of two cases and survey of 126 cases in Japan. J Oral Maxillofac Surg, 48:404-408, 1990. 

  4. Philipsen HP, Reichart PA, Zhang KH, et al.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biologic profile based on 499 cases. J Oral Pathol Med, 20:149-158, 1991. 

  5. Handschel JG, Depprich RA, Zimmermann AC, et al.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of the mandibl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rare case. Head Face Med, 1:3, 2005. 

  6. Steensland HS. : Epithelioma Adamantinum. J Exp Med, 6:337-389, 1905. 

  7. Unal T, Cetingul E, Gunbay T : Peripheral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birth of a term. J Clin Pediatr Dent, 19:139-142, 1995. 

  8. Philipsen HP, Birn H : Th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ur. Ameloblastic adenomatoid tumour or adeno-ameloblastoma. Acta Pathol Microbiol Scand, 75:375-398, 1969. 

  9. R.Eversole L. : Clinical outline of oral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Pmph-USA, Shelton, 258, 2002. 

  10. Motamedi MH, Shafeie HA, Azizi T : Salvage of an impated canine associated with a adenomatoid odontogenic tumour: a case report. Br Dent J, 199:89-90, 2005. 

  11. Dilu NJ, Bobe A, Muyembi, Lelo T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and a suborbital premolar. Apropos of a case. Odontostomatol Trop, 22:33-37, 1999. 

  12. Philipsen HP, Reichart PA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ur: facts and figures. Oral Oncol, 35:125-131, 1999. 

  13.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 최신 구강악안면 병리학. 대한나래출판사, 서울, 148, 2005. 

  14. Neville BW, Damm DD, Allen CM, Bouquot JE.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Saunders, Philadelphia, 714-715, 2008. 

  15. Takeda Y, Kudo K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associated with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Int J Oral Maxillofac Surg, 15:469-473, 1986. 

  16. 백병주, 김미라, 안수현, 김재곤 : 하악골에 발생한 낭종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4:678-687, 1997. 

  17. Reichart PA, Junt G : Benign epithelial odontogenic tumors. Pathologe, 29:178-188, 2008. 

  18. 이병도, 이완, 권경환 등 : 하악 전치부에 발생한 선양 치성 종양의 증례보고.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39:99-102, 2009. 

  19. Schirmer I, Reichart PA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AOT) of the mandible: a surgical follow-up. Mund Kiefer Gesichtschir, 11:291-294, 2007. 

  20. Gardner DG : Critique of the 1995 review by Reichart et al. of the biologic profile of 3677 ameloblastomas. Oral Oncol, 35:443-449, 1999. 

  21. Buchner A, Merrell PW, Carpenter WM : Relative frequency of central odontogenic tumors: a study of 1,088 cases from Norther California and comparison to studies from other parts of the world. J Oral Maxillofac Surg, 64:1343-1352, 2006. 

  22. 최서정, 박호원, 김성민 : 단방성 법랑모세포증 환아에 대한 증례 보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9:463-468, 2002. 

  23. Mori M, Makino M, Imai K : The histochemical nature of homogeneous amorphous materials in odontogenic epithelial tumors. J Oral Surg, 38:96-102, 1980. 

  24. Yamamoto H, Kozawa Y, Hirai G, et al.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Int J Oral Surg, 10:272-278, 1981. 

  25. Spouge JD : The adenoameloblast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3:470-482, 1967. 

  26. Moro I, Okamura N, Okuda S, et al. : The eosinophilic and amyloid-like materials in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J Oral Pathol, 11:138-150, 1982. 

  27. Nomura M, Tanimoto K, Takata T, Shimosato T : Mandibular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with unusual clinicopathologic features. J Oral Maxillofac Surg, 50:282-285, 1992. 

  28. Ishikawa G, Mori K : A histopathological study on the adenomatoid ameloblastoma. Report of four cases. Acta Odontol Scand, 20:419-432, 1962. 

  29. Blumenthal NM, Mostofi R : Repair of an intrabony defect from an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J Periodontol, 71:1637-1640, 2000. 

  30. de Macedo LG, de Macedo NL, do Socorro Ferreira Monteiro A. Fresh-frozen human bone graft for repair of defect after adenomatoid odontogenic tumour removal. Cell Tissue Bank, 10:221-226. 2009 

  31. Vitkus R, Meltzer JA : Repair of a defect following the removal of a maxillary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us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A case report. J Periodontol, 67:46-50, 1996. 

  32. Yilmaz N, Acikgoz A, Celebi N, et al. : Extrafollicular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of the mandible: report of a case. Eur J Dent, 3:71-7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