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특성에 따른 여름철 극한강수 변화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the Variability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Local Feature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1 no.2B, 2011년, pp.129 - 146  

김광섭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김종필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BK21)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역특성에 따른 우리나라의 여름철(6월-8월) 극한강수의 정량적 변화와 호우빈도의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73년부터 2009년까지 전국 59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시간별 강수량의 월별 최고치와 한계치(threshold)를 초과한 강수일수를 대상으로 Mann-Kendall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상관측소의 지역적 특성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도, 위도, 경도, 유역, 내륙 및 해안, 도시화 정도 등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지역특성에 따른 여름철 극한강수의 변화특성은 연강수량의 공간분포와 같이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강수일수는 연강수일수의 감소추세와는 반대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름철 강수집중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지역보다는 내륙지역이, 도시화 지역일수록 강수량의 증가와 강수일수의 증가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유역별로는 한강 유역이 강수의 양과 빈도의 증가가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racterization the regional impact of the variability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and the rain days over several thresholds (i.e. 10, 20, 30, 40, 50, 60, 70 and 80 mm/day) in South Korea was performed using daily precipitation data of 59 weather stations operated by Korean Meteorological Ad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역특성에 따른 여름철 극한강우량의 정량적 변화 및 발생빈도의 변화추세를 분석하기 위하여 1973년부터 2009년까지 전국 59개 기상관측소 일강수량, 시강수량 자료를 대상으로 선형 회귀분석 및 경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역특성별로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도, 위도, 경도, 유역, 내륙/해안, 도시화 정도 등에 따라 기상관측소를 분류하여 극한강우량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강수 특징은? 우리나라의 강수는 월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특히,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고, 관측지점별로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여름철 강수집중현상은 장마나 국지성 집중호우 등의 형태로 나타나 홍수, 범람 등 자연재해를 야기하고 반대로 봄철과 겨울철에는 가뭄을 유발하는 등 수자원 관리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름철 강수집중현상이 야기하는 문제는? 우리나라의 강수는 월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특히,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고, 관측지점별로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여름철 강수집중현상은 장마나 국지성 집중호우 등의 형태로 나타나 홍수, 범람 등 자연재해를 야기하고 반대로 봄철과 겨울철에는 가뭄을 유발하는 등 수자원 관리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연간 강수일수는 점차 감소하고 일강수량 80 mm 이상의 호우일수는 증가하는 등 강수의 집중현상은 갈수록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광섭, 임태경, 박찬희(2009) 우리나라 월 및 연강수량의 경년 변동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6호, pp. 17-30. 

  2. 박창용, 문자연, 차은정, 윤원태, 최영은(2008) 최근 한반도 여름철 강수특성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3권 제3호, pp. 324-336. 

  3. 배덕효, 이병주, 정일원(2008) 기후변화에 의한 건설시공환경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4D호, pp. 513-521. 

  4. 오제승, 김형수, 서병하(2006) 수문 및 기후 자료에 대한 선형 경향성 및 평균이동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B호, pp. 355-362. 

  5. 정대일, 제리 스테딘져, 성장현, 김영오(2008)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 위험도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B호, pp. 55-64. 

  6. Chang, H. and Kwon, W.T. (2007) Spatial variations of summer precipitation trends in South Korea, 1973-2005.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DOI: 10.1088/1748-9326/2/4/045012. 

  7. Dietz, E.J. and Kileen, A. (1981) A nonparametric multivariate test for monotone trend with pharmaceu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76, pp. 169-174. 

  8. Haylock, M. and Nicholls, N. (2000) Trends in extreme rainfall indices for an updated high quality data set for Australia, 1910- 1998.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0, pp. 1533- 1541. 

  9. Hirsch, R.M. and Slack, J.R.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pp. 727-732. 

  10. Jung. I.W., Bae, D.H., and Kim, G. (2010)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DOI: 10.1002/joc.2068. 

  11. Karagiannidis, A., Karacostas, T., Maheras, P., and Makrogiannis, T. (2009) Trends and seasonality of extrem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mid-latitude cyclones in Europe. Advances in Geosciences, Vol. 20, pp. 39-43. 

  12. Kurbis, K., Mudelsee, M., Tetzlaff, G., and Brazdil, R. (2009) Trends in extremes of temperature, dew point, and precipitation from long instrumental series from central Europe.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98, pp. 187-195. 

  13.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59. 

  14. Partal, T. and Kahya, E. (2006) Trend analysis in Turkish precipitation dat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0, pp. 2011-2026. 

  15. dos Santos, C.A.C., Neale, C.M.U., Rao, T.V.R., and da Silva, B.B. (2010) Trends in indices for extreme in dai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Utah,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DOI: 10.1002/joc.2205. 

  16. Vincent, L.A. and Mekis, E. (2006). Changes in daily and extrem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dices for Canada over the twentieth century. Atmosphere-Ocean, CMOS, Vol. 44, No. 2, pp. 177-1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