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Depression and Stress in Patient of Hospice Uni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0, 2011년, pp.4394 - 4402  

권윤희 (대구과학대학교 간호과) ,  송미옥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암센터) ,  김정남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9년 4월 29일부터 7월 26일까지 D시의 D병원에 입원된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각각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처치인 원예요법 프로그램은 실내 외 원예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주 6회 3주간 매일 30분씩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우울과 혈청 코티졸 검사를 통한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원예요법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예요법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혈청 코티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원예요법은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완화적 중재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depression and stress in patient of hospice un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ospice patient in D hospital in D city, thirty hospice patient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thirty hospice patient were assigned to contr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표 1].
  • 본 연구는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증상관리를 도울 수 있는 완화적 중재의 효과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원예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1 가설 : 원예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울 변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2 가설 : 원예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변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란? 호스피스는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돕는 총체적 돌봄을 의미한다[1]. 특히 호스피스병동에 입원하는 말기 암 환자는 질병 그 자체 뿐 아니라 통증, 우울, 스트레스 등의 증상관리가 중요하다.
우울이란? 호스피스환자의 우울 발생 원인은 극심한 만성통증, 식욕부진, 피로 등의 신체적 증상과 심리사회적 제한, 경제적 압박, 사회적 지지 부족, 영적갈등 등 총체적 차원과 관련되어 있다[3]. 우울은 슬픈 감정과 침울한 기분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서장애로 심리, 행동, 신체적 증상으로도 표현되며[4], 불안, 죄책감, 집중력 장애, 절망감, 자살 등을 포함하는 심리상태이다[5]. 이러한 우울은 호스피스환자 자신과 가족들의 삶을 더욱 악화시키고 무력하게 만드는 위험성이 높아 전반적인 삶에 대한 희망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6].
호스피스환자의 스트레스 원은 무엇인가? 우울과 함께 호스피스환자의 또 다른 주요 증상인 스트레스는 어떤 상황 요인이 일상생활과 정서,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개인이 나타내는 반응을 의미한다[7]. 호스피스환자의 경우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통증, 신체 및 경제적 손상에 대한 불안과 공포, 가족이나 친구와의 분리와 같은 정서적인 문제로 스트레스를 경험[8]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암세포가 자신들을 죽일 수 있다는 불안감에 대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9], 치료로 인한 부작용과 불편함을 견뎌야하고, 계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치료과정에 참여해야 하는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다[10, 11]. 이러한 호스피스환자의 스트레스 원은 대뇌피질의 시상하부를 자극하며, 자율신경계가 반응하고 이에 활성화된 교감신경계는 부신 수질로부터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고, 스트레스 반응의 하나로 뇌하수체가 부신피질을 자극하여 면역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 코티졸 분비를 증가시키게 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 G. No, S. S. Han, S. H, Ann, & C. G. Kim, "Hospice and death", Seoul: Hyunmun Publishing, 1997. 

  2. K. P. Kaut, "Religion, spirituality, and existentialism near the end of lif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6(2), pp. 220-234, 2002. 

  3. J. A. Paice, "Managing psychological conditions in palliative car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 102(11), pp. 36-42, 2002. 

  4. G. H. Sung, "A Study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grandchildren parented by their Grandparents in Pover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0. 

  5. L. R. Derogatis, "Clinical psychopharmacology", Menlo Park: Addison-Wesley Publishing, 1986. 

  6. P. Mazanec, & C. Matthews, "HPNA web teleconference-september, 2002: Managing anxiety ",[Online] , HPNA, Sunday, April 25, 2002. 

  7. L. McDowell, & C. Newell,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 and questionnai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8. M. Burman, & C. Weinert, "Concerns of rural men and women experiencing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Vol 24, pp.1593-1600, 1997. 

  9. L. Loach, "Blue days", Nursing Times, Vol. 93(32), pp. 30-31, 1997. 

  10. M. S. Park, & M. J. Suh, "The effect of the hand massage on anxiety of the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5(2), pp.316-329, 1995. 

  11. M. Alexander, "Aromatherapy and immunity: How the use of essential oils aids immune potentia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romatherapy, Vol 12(1), pp. 49-56, 2002. 

  12. C. Kirschbame, J. Straburger, & L. Krar, "Attenuated cortisol response to psychological stress but to CRM or ergometry into yound habitual smoker", Pharmacol Biochem Begav, Vol 44, pp. 527-531, 1993. 

  13. H. Lin, & S. M. Bauer-Wu, "Psycho-spiritual well-being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n in 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4(1), 69-80, 2003. 

  14. S. Y. Chang,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pa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hospic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4), pp.493-502, 2008. 

  15. S. E. Choi, E. S. Kang, & S. N. Kang, "Develo pment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 gram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Hospice Care, Vol 7(1), pp. 29-45, 2007. 

  16. M. Dannenmaier, "Healing garden", Landscape Archi tecture, Vol 85(1), pp. 56-58, 1995. 

  17. K. A. Kang, "Factors Influencing Suffering of Pat ients with Cancer(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1(4), pp. 561-570, 2001. 

  18. G. C. Son, H. J. Jeong, H. J. Bae, & J. E. Song,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horticult ural therapy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chizophrenia", Korean Journal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Vol 22(1), pp. 135-142, 2004. 

  19. S. J. Kang,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ortic ultural therapy on physical ability in elderly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2. 

  20. K. H. Kim,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flower color harmony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aichai University, Daejeon, 2008. 

  21. C. N. Kim, M. O. Song, & Y. H. Kwon, "Development and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quality of sleep and immune function in patient in hospic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6(3), pp. 39-50, 2010. 

  22. K. H. Kim, H. R. Lee, M. O. Song, H. S. Chung, & H. J. Chung,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erum cortisol, pain, anxiety and depr 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Korean Journal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Vol 24(1), 95-103, 2006. 

  23. K. H. Kim,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of the hospic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Daejeon, 2004. 

  24. M. O. Song, "Development and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hospic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009. 

  25. H. R. Kim, "Theory and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Seoul: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Research Center Publishing, 2003. 

  26. W. W. Zung,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 of General Psychiatry, Vol 12, pp.63-70, 1965. 

  27. O. H. Song, ""A study of the self-raiting depression scale in psychiatric out-clinic patien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Vol 16(1), 84-93, 1977. 

  28.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 Y: Academic Press, 1988. 

  29. G. C. Son, M. K. Jo, J. E. Song, S. Y. Kim, &, S. S. Lee.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Seoul: Koo Book Publishing, 2006. 

  30. H. M. Cho, "Effect of foot-reflexo-. massage on stress and inmmune function in patient with gastric cancer", Unpublished doctor on 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