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uccessful Aging Theory (SAT)에 근거한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예측요인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Older Women Based on Successful Aging Theory (SAT)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4, 2011년, pp.378 - 387  

김은주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희 (혜천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older Korean women based on a recent mid-range nursing theory, the Successful Aging Theory (SAT).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The convenience sample was composed of 174 older wo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 이론(SAT)을 근거로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실태와와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성공적 노화의 예측 요인으로 밝혀진 인구학적 변인들과 SAT이론에서 제시한 초월감과 대처행동이 본 연구대상자의 성공적 노화를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었는지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탐색하고, 성공적 노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SAT이론에서는 노년기 변화에 대한 수용과 적응이 초월감을 형성시키는 기본이 되며, 초월감을 통해 성공적 노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적응과 초월감의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와 설명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한 이들 변수간의 경로 분석을 제언한다.
  • 성공적 노화를 측정하는데 사용한 SAT는 국외에서 개발되어 신뢰도와 수렴, 판별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일관도를 검증 하였다. 이외에도 우리나라 노인에게 적용한 신뢰도 검증과 요인분석을 포함한 타당도 검증을 제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 이론(SAT)을 근거로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실태와와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성공적 노화의 예측 요인으로 밝혀진 인구학적 변인들과 SAT이론에서 제시한 초월감과 대처행동이 본 연구대상자의 성공적 노화를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었는지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성공적 노화 간호이론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AT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여성노인이 성공적 노화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탐색하고,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특성,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성공적 노화와의 차이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SAT에서 성공적 노화의 결정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대처행동과 초월감이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파악해 보려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AT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여성노인이 성공적 노화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탐색하고,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특성,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성공적 노화와의 차이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SAT에서 성공적 노화의 결정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대처행동과 초월감이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파악해 보려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인구학적 특성과 분포의 차이가 기존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산출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리라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인 SAI에 포함된 내용과 구성이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와 다르다는 점이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성공적 노화 도구는 신체적 기능, 사회활동, 가족으로부터 얻는 만족감을 중점적으로 측정하려고 한 반면, SAI는 삶의 적응과 만족, 관계의 만족, 영적 측면의 측정을 더 많이 고려한 도구이다.
  •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다음의 두 가지 이유 때문으로 추측해 볼 수 있겠다. 첫째, 연구대상자가 기존 연구에서는 남녀 노인을 모두 포함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만을 포함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구학적 특성과 분포의 차이가 기존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산출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리라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비율은 어떠한가? 2010년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11.0%를 차지하였으며 미국의 경우는 13.0%에 달했다.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관점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관점에는 차이가 있다. 남성노인들은 사회적 활동과 경험, 생산성 등에 비중을 두고 성공적 노화를 평가하는 반면, 여성노인들은 자녀에 대한 기대와 만족, 가족관계에 보다 무게를 두고 있다(Cheng & Chan, 2006; Park, 2011). 이러한 의미에서 Rossen 등(2008)은 여성노인 집단만을 구분하여 성공적 노화를 규명해 보려 했으며, 그 결과 미국 여성노인 표본에서는 SAT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노년기 변화의 수용, 의미 있는 관계와 활동 참여, 주관적 건강과 삶의 긍정적 평가 등이 성공적 노화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밝혔다.
노년기 적응에 있어서 대처행동이란 무엇인가?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적정화 모델(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에서도 성공적 노화를 성취하는데 적응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Baltes & Baltes, 1990; Rossen, Knafl, & Flood, 2008). 대처행동은 적응과정에 필요한 기전으로 개인과 환경의 지속적인 상호과정에서 사용되는 개인의 인지적 행동이다(McCarthy, 2009; Roy, 1997; Youn & Kim, 1994). 대처행동을 통해 노인은 노화에 수반되는 피할 수 없는 변화와 상실에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Baltes & Baltes, 1990; McCarthy,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 S. S., Kim, K. S., & Choi, J. H. (2010). Quality of lif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2 (3), 248-255. 

  2. Baltes, P. B., & Baltes, M. M. (1990).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Cheng, S., & Chan, A. C. (2006).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life satisfaction in later life: Do gender and widowhood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eng, S., & Chan, A. C. (2006).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life satisfaction in later life: Do gender and widowhood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61B (1), 46-54. 

  4. Cheon, J. S., Byun, I. W., Song, H. R., & Oh, B. H. (2004). Factors related to the morale of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8 , 56-62. 

  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R.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ast}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4), 1149-1160. 

  6. Flood, M. (2002). Successful aging: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 Testing, 6 (2), 105-108. 

  7. Flood, M. (2005). A mid-range nursing theory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 Testing, 9 (2), 35-39. 

  8. Flood, M. (2006).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depression, and successful aging. Activities, Adaptation & Aging, 31 (1), 55-72. 

  9. Flood, M., & Scharer, K. (2006). Creativity enhancement: Possibilities for successful aging.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7 (9), 939-959. 

  10. Flood, M., Nies, M. A., & Seo, D. (2010). Successful aging: Selected indicators in a southern sample. Home Health Care Management & Practice, 22 (2), 111-115. 

  11. Greenglass, E., Schwarzer, R., Jakubiec, D., Fiksenbaum, L., & Taubert, S. (1999). The Proactive Coping Inventory (PCI): A multidimensional research instrument. Retrieved August 2, 2011, from http://www.psych.yorku.ca/greenglass/pci.php 

  12. Korean Woman's Development Institute. (2011). 161th Korean woman's trend. Retrieved October 11, 2011, from http://www.kwdi.re.kr/noticeView.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3&cmsCdCM0025&pnum4&cnum1&ntNo1767 

  13. Lee, I. J. (2007). Difference between older women and older men of factors for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6 , 159-179. 

  14. McCarthy, V. L. (2009). Exploring a new theory of successful aging among low-income older adults in an independent and assisted living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Louisville, Kentucky, USA. 

  15. Park, J.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older adults' coping strategies on depression: Focused on senior centers located in Pusa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16. Park, Y. M.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17. Pfeiffer, E. (1975). Short portable mental status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organic brain deficit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23 , 433-441. 

  18. Reed, P. G. (1989). Self-transcendence in aging scal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1 (2), 161-163. 

  19. Reed, P. G. (2003). Middle range theory for nursing. In M. E. Smith and P. R. Liehr(Ed.), The theory of self-transcendence. (pp. 145-165). New York: Springer. 

  20. Rossen, E. K., Knafl, K. A., & Flood, M. (2008). Older women's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ctivities, Adaptation & Aging, 32 (2), 73-88. 

  21. Rowe, J. W., & Kahn, R. L. (1987).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237 (4811), 143-149. 

  22. Rowe, J. W., & Kahn, R. 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 433-440. 

  23. Roy, C. (1997). Future of the Roy model: Challenge to redefine adaptation. Nursing Science Quarterly, 10 (1), 42-48. 

  24. Shin, Y., & Lee, H. (2009).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of Korean older people living in a c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4), 1327-1340. 

  25. Smit, B., Burton, I., Klein, R. J. T., & Street, R. (1999). The science of adaptation: A framework for assessment. Mitigation & Adap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4 (3), 199-213. 

  26. Statistics Korea. (2010). 2010 statistics for older adults. Retrieved September 28, 2011,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180000 

  27. Sung, K. (2011). Relation of successful aging and wisdom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 (1), 48-57. 

  28. Tornstam, L. (1997). Gerotranscendence: The contemplative dimension of aging. Journal of Aging Studies, 11 (2), 143-154. 

  29. U.S. Census Bureau. (2010). 2010 census data-2010 census. Retrieved September 28, 2011, from http://2010.census.gov/2010census/data/index.php 

  30. Youn, H., & Kim, M. (1994). The stress, coping behavior, and well-being of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4 (1), 17-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