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건축물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실내 라돈농도 변화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from Buildings with Different Environment, Seoul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7 no.6, 2011년, pp.692 - 702  

전재식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지영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엄석원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채영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more effective indoor radon reduction policy and technique, we researched radon data analysis for some buildings in Seoul. Those buildings were categorized as dwelling, underground and office space and the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 and its sources were evaluated. The variations of rad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일부 건축물을 대상으로 주거공간, 지하공간, 업무공간 등 용도별로 구분하여 공간별 실내환경의 특성에 따른 라돈농도의 변화를 분석하고 발생원을 평가하여 효율적인 실내 라돈저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 따라서 생활공간마다 라돈의 발생원이 다양하고 분포패턴이 상이하여 용도가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근본적인 원인파악에 한계가 있으므로 적정한 라돈저감 방안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건축물을 대상으로 실내라돈의 시간적 변화와 분포특성을 분석하고 발생원을 추적 ∙ 평가하여, 고농도 라돈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실내공간의 대기환경개선을 위한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라돈 저감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환경에서의 라돈 발생원은 주로 무엇인가? 실내공간의 라돈농도 분포 및 변화는 외부 대기환경과는 그 양상이 매우 다르다. 대기환경에서의 라돈 발생원은 주로 토양가스로, 특정한 장소를 제외하고는 대기의 확산에 의해 매우 낮은 농도의 라돈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Wilkening, 1990), 실내공간에서는 환기량을 포함한 여러 가지 영향 요인에 따라 농도수준의 정도 차이가 매우 광범위하다. 즉, 라돈 발생원의 종류는 물론 실내공간의 구조∙형태, 생활습관, 건축물 내∙외부의 기압차, 온도, 습도 등 많은 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돈을 지배하는 요인들 자체도 타 요인에 의해 지배를 받으므로 실내공간에 대한 라돈농도 평가시 과대 또는 과소평가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라돈이란 무엇인가? 토양, 건축자재, 지하수 및 천연가스 등에서 주로 발생(ECA, 1995; NCRP, 1976)하는 라돈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자연방사능으로 지질학적 환경에 따라 지각을 이루는 암석과 토양에 다양한 농도로 분포하고 있는 우라늄의 6번째 붕괴생성물이다. 지구상에 노출되어 있는 라돈은 방사능 중 유일한 기체상으로 이동성이 크며 공기에 비해 매우 큰 분자량과 비활성 등 고유한 화학적 특성 때문에,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지하 건축물 등 실내공간에서 고농도로 검출되고 있어 장기간 노출 시 호흡을 통해 인체에 쉽게 흡입되며 폐암 발생 위해성이 높아 석면, 벤젠 등과 함께 A 등급의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U.
실내공간에 형성된 라돈농도를 예측할 때 건축자재의 우라늄 및 라듐 함량만으로 실내 라돈농도가 높다고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라돈발생원으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방출 (exhalation)되어 실내공간에 형성된 라돈은 방사능 붕괴에 의한 소멸과정과 외기와의 공기교환에 의해 감소된다. 실내공간에서의 라돈농도는 공기 교환율에 의해 큰 영향을 받으므로 실내공간에 대한 라돈농도를 예측할 때 건축자재의 우라늄 및 라듐 함량만으로 실내 라돈농도가 높다고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윤신, 홍승철, 이철민, 박원석, 이태형, 전형진, 조정현(2003)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중 라돈농도분포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529-530. 

  2. 김창규, 김용재, 이재성, 노병환(2003) 국내 가옥 및 공공건물내 라돈농도, 한국대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67-68. 

  3. 전재식, 김덕찬, 이호찬, 이지영, 홍대화, 신정식(2006) 서울지역 지하역사의 라돈농도 분포 특성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49-551. 

  4. 전재식, 이 진, 김주형, 김민영(2008) 서울지하역사 라돈농도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692-694. 

  5. 전재식, 한규문, 윤종철, 유인철, 김주형, 김민영(2010) 스크린도어 설치 후 지하철 전동차 객실의 라돈농도 변화, 한국대기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23. 

  6. ECA(1995) Indoor Air Quality and its Impact on Man, Radon in Indoor Air Report No. 15, EUR 16123 EN. 

  7. Harley, N.H. and T.B. Terilli (1990) Predicting annual average indoor $^{222}Rn$ concentration, Health Physics, 59, 205-209. 

  8. ICRP (1998) Protection against Radon-222 at Home and at Work, Publications 65. 

  9. Kim, Y.J., H.Y. Lee, C.S. Kim, B.U. Chang, C.K. Rho, and S. Tokonami (2005) Indoor radon, thoron, and daughter concentrations in Korea,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76, 46-49. 

  10. Li, X., B. Zheng, Y. Wang, and X. Wang (2006) A study of daily and seasonal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s in underground building, J. Environmental Radioactivity, 87, 101-106. 

  11. Muramatsu, H., Y. Tashiro, N. Hasegawa, C. Misawa, and M. Minami (2002) Seasonal variations of $^{222}Rn$ concentrations in the air of a tunnel located in Nagano city, Environment Radioactivity, 60, 263-274. 

  12. NCRP (1976) Environmental radiation measurements, NCRP Report No. 50. 

  13. NCRP (1987) Exposure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from natural background radiation, NCRP No. 94. 

  14. Richon, P., F. Perrier, J.C. Sabroux, M. Trique, C. Ferry, V. Voisin, and E. Pili. (2005) Spatial and time variations of radon-222 concentration in atmosphere of a dead-end horizontal tunnel, J. Environmental Radioactivity, 78, 179-198. 

  15. Tokonami, S., M. Furukawa, Y. Shicchi, T. Sanda, and Y. Yamada (2003) Characteristics of radon its progency concentrations in air-conditioned office buildings in Tokyo,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106, 71-75. 

  16. U.S.EPA (1992a) A Citizen's Guide To Radon, ANR-464, 4022-K-92-001. 

  17. U.S.EPA (1992b) A Consumer's Guide To Radon Reduction, 402-K-92-003. 

  18. U.S.EPA (2001) Building Radon Out, Step-by-Step Guide On How To Build Radon-Resistant Homes, EPA/402-K-01-002. 

  19. UNSCEAR (2000)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UNSCEAR United Nations. 

  20. Yu, K.N., E.C.M. Young, M.J. Stokes, and K.K. Tang (1998) Radon properities in offices, Health Physics, 75, 159-164. 

  21. Wilkening, M. (1990) Radon in the environment, Elsevier, p. 137. 

  22. Zhuo, W., M. Turukawa, Q. Guo, and Y.S. Kim (2005) Soil radon flux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 in East Asia,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76, 285-2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