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지하철 전동차에서의 라돈 농도 분포 조사
Indoor Radon Levels in the Subway Cabin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8 no.4, 2012년, pp.374 - 383  

전재식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서종원 (신흥대학교 보건위생과) ,  전명진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엄석원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채영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observed the airborne radon levels in the subway cabins before and after platform screen doors (PSD) installation. The measurements have been conducted at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s in 2008, 2009 and 2010. The mean concentration of the radon inside subway cabins were in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하철 전체 노선(1~9호선)과 일부 수도권을 포함한 구간을 운행하는 전동차 객실의 라돈 농도를 조사하였다. PSD 설치가 지하철 전동차의 라돈 분포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PSD 설치 전과 후의 전동차 실내 공기 중 라돈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철 역사에서의 라돈 농도 현황 및 분포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라돈은 토양과 접해있는 지하건축물의 실내공간에서 높은 농도 수준으로 나타나며, 환기상태가 불량한 지하공간에서 오랜 기간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큰 위해를 준다(Font et al., 2008; Nemeth et al., 2005; Veiga et al., 2004; Schmitz and Fritsche, 1992). 따라서 공중의 건강보호를 위한 차원에서 건축물 지하공간에서의 라돈분포 조사 및 선량평가(Xiaoyan et al., 2006; Hafez and Hussein, 2001; Korhonen et al., 2000; Yu et al., 1996)와 지하철을 대상으로 실내 라돈에 관한 조사가 진행된 바 있다(Liendo et al., 1997; Espinosa and Gammage, 1995).
방사능에 대한 국민 불안이 증폭되는 이유는? 최근 주택가 도로와 건축물 실내 마감재인 벽지 등에서의 “방사선 검출” 보도와 관련, 생활주변 환경에서의 방사능에 대한 국민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인간에게 노출되는 한 해 평균 방사선량은 총 2.
일상에서 인간에게 노출되는 한 해 평균 방사선량은? 최근 주택가 도로와 건축물 실내 마감재인 벽지 등에서의 “방사선 검출” 보도와 관련, 생활주변 환경에서의 방사능에 대한 국민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인간에게 노출되는 한 해 평균 방사선량은 총 2.8 mSv로이중 86%인 2.4 mSv가 자연방사능에 의한 것이다. 자연방사선 피폭의 근원은 지각방사선과 우주선 등 체외피폭 요인이 되는 것과 라돈과 그 후대핵종(radon progenies)에 의한 체내(호흡기관) 피폭의 요인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Jun, 1990), 자연방사능 중 약 50%인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전재식, 조준호, 박영만, 서광석 (2009) 서울지하철 실내소음 및 스크린도어에 의한 역사소음,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2.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2) 수치지질도, 국가지질자원정보센타. 

  3. Chen, J. (2005) A review of radon doses, Radiation Protection Management, 22(4), 27-31. 

  4. Espinosa, G. and R.B. Gammage (1995) Radon levels survey in the underground transport metro system in Mexico city,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59(2), 145-148. 

  5. Font, L., C. Baixeras, and V. Moreno (2008) Indoor radon levels in underground workplaces Catalonia, Spain, Radiation Measurements, 43, S467-S470. 

  6. Ha, K.T. (2000) Characteristics of airborne radon contamination level in Seoul subway station, Master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in Korea). 

  7. Hafez, A.F. and A.S. Hussein (2001) Radon activity concentrations and effective doses in ancient Egyptian tombs of the Kings,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55, 355-362. 

  8. Ishikawa, T., Y. Yamada, K. Fukutsu, and S. Tokonami (2003) Deposition and clearance for radon progeny in the human respiratory tract,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105, 143-148. 

  9. Jeon, J.S. and D.C. Kim (2006) Distribution of $^{222}Rn$ concentration in Seoul subway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Engineers, 28(6), 588-595. 

  10. Jeon, J.S., G.M. Han, I.C. Ryu, J.H. Kim, and M.Y. Kim (2010) Change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subway trains by installing PSDs, Proceeding of the 51st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p 328. 

  11. Jeon, J.S., J.C. Yoon, H.C. Lee, S.W. Eom, and Y.Z. Chae (2012) A noticeable change in indoor radon levels after platform screen doors installation in Seoul subway s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1), 59-67. 

  12. Jeon, J.S., J.Y. Lee, and D.C. Kim (2007) Temporal variation and source of 222Rn in subway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Engineers, 29(11), 1231-1242. 

  13. Jeon, J.S., J.Y. Lee, S.W. Eom, and Y.Z. Chae (2011)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from buildings with different environment,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6), 692-702. 

  14. Jun, J.S., H.S. Chai, B.Y. Lee, H.C. Kim, D.J. Lee, D.S. Kim, and D.H. Um (1990) Study on the assessment of total dose (effective dose equivalent) from natural environmental radiation, New Physics, 30(5), 483-495. 

  15. Kim, K.H., D.X. Ho, J.S. Jeon, and J.C. Kim (2012) A noticeable shift in particulate matter levels after platform screen door installation in Korea subway station, Atmospheric Environment, 1, 1-5. 

  16. Korhonen, P., H. Kokotti, and P. Kalliokoski (2000) Survey and mitigation of occupational exposure of radon in workplaces, Building and Environment, 35, 555-562. 

  17. Lee, T.J., J.S. Jeon, S.D. Kim, and D.S. Ki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PM_{10}$ source con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 before/after installing platform screen do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5), 543-553. 

  18. Liendo, J., L. Sajo-Bohus, J. Pafalvi, E.D. Greaves, and N. Gomez (1997) Radon monitoring health studies in the Caracas subway using SSNTDs, Radiation Measurements, 28(1), 729-732. 

  19. Monchaux, G. and J.P. Morlier (2002) Influence of dose-rate on lung cancer induction in rats exposed to radon and its progeny, International Congress, 1225, 212- 221. 

  20. Nemeth, C., S. Tokonami, J. Somlai, T. Kovacs, N. Kavasi, Z. Gorzanacz, A. Varhegyi, and J. Hakl (2005) Inaccuracies in assessing doses from radon workplaces, International Congress 1276, 369-370. 

  21. Park, D.U. and K.C. Ha (2008) Characteristics of $PM_{10}$ , $PM_{2.5}$ , $CO_{2}$ and CO monitored in interiors and platforms of subway train in Seoul, Korea, Environ. Int., 34, 629-634. 

  22. Park, E.Y., D.K. Park, Y.M. Cho, and S.B. Kwon (2011) Air quality in the subway cabin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nalysis of its influencing factor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2), 142-151. 

  23. Ryu, I.C., C.M. Kim, G.M. Han, J.S. Jeon, and M.Y. Kim (2010) Estimation of IAQ by before and after establishing PSD in subway, Proceeding of the 51st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 Schmitz, J. and R. Fritsche (1992) Radon impact at underground workplaces in western Germany,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45 (Suppl. 5), 193-195. 

  25. Som, D., C. Dutta, A. Chatterjee, D. Mallick, T.K. Jana, and S. Sen (2007) Studies on commuters' exposure to BTEX in passenger cars in Kolkata, India, Sci. Total Environ., 372, 426-432. 

  26.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1993), United Nations. 

  27.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2000), United Nations. 

  28. Veiga, L.H.S., V. Melo, and S. Koifma (2004) High radon exposure in a Blazilian underground coal mine, Journal of Radiological Protection, 24, 295-305. 

  29. Xiaoyan, L., B. Zheng, Y. Wang, and X. Wang (2006) A study of daily and seasonal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 in underground build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87, 101-106. 

  30. Yoon, S.W., B.U. Chang, Y.J. Kim, J.I. Byun, and J.Y. Yun (2010) Indoor radon distribution of subway station in a Korea major city, Journal of Environment Radioactivity, 101, 304-308. 

  31. Yu, K.N., E.C.M. Young, T.F. Chaj, T. Lo, and R.V. Balendran (1996) The variation of radon exhalation rates from concrete surface of different ages, Building and Environment, 31(3), 255-2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