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자녀교육열과 가계 특성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the Household's Characteristics on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6, 2011년, pp.1199 - 1212  

나영미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윤정혜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other'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household's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the likelihood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and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Factor analysis, probit and tobit analyses were used. The main f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교육비지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무엇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나? 사교육비지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사교육비 지출의 규모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교육비는 학부모들이 등록금과 같은 공교육비와 같이 의무적으로 지출해야하는 비목이 아니기 때문에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가계가 있을 수 있고 사교육비를 지출하지 않는 가계도 있을 수 있다.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이 사회․경제적 가치관 및 인식체계와 어떠한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이 사회․경제적 가치관 및 인식체계와 어떠한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교육비를 직접 지출하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의식과 같은 심리적 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자녀 교육에 대한 책임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어머니에게 맡겨지므로 부모 중에서도 어머니의 자녀교육열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가계의 과다한 사교육비 지출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거주지역 변수로 넓은 의미에서는 가계자원 변수로 포괄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우경제연구소의 한구가구패널조사 1998년 자료를 이용하여 재무비율로 우리나라 가계재정상태를 평가한 Lee et al.(2004)의 연구에서는 서울시거주가구의 실물자산이 광역시 또는 기타지역 거주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서울지역의 부동산의 시장가치가 더 크기 때문에 비롯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Lee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광기. (1998. 6, 26). 잠든 부동산 기지개 켤까. 중앙일보, p. 4. 

  2. 김시월. (1999).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 부담감과 경제적 복지감과의 관련성 연구, 소비자학연구, 10(3), 101-121. 

  3. 김영화, 박현정, 이인효. (1993).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 김흥주, 한유경, 김현철, 김성은, 김연. (1998). 한국의 교육비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5. 정영숙. (1996a). 가계의 교육비 지출과 선별가설: 사교육비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8(1), 1-13. 

  6. 정영숙. (1996b). 가계의 인적자본투자율과 경제적 복지: 사교육비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7(1), 207-221. 

  7. 통계청. (1998). 1998 한국의 사회지표. 

  8. 통계청. (2008a). 2007 사교육비 실태조사 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자료검색일 2010, 8. 28. 자료 출처 http://kostat.go.kr 

  9. 통계청. (2008b). 가계동향조사: 품목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1990-2008. 자료검색일 2010, 9. 26. 자료 출처 http://kosis.kr 

  10. 통계청. (2008c). 사회조사: 학생의 기대하는 교육수준 및 기대교육목적. 자료검색일 2010, 10. 3. 자료 출처 http://kosis.kr 

  11. 교육과학기술부통계청. (2009). 2008 사교육비 조사결과 분석 및 대책. 

  12. 통계청. (2009). 가계동향조사: 품목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2003-2009. 자료검색일 2010, 9. 26. 자료출처 http://kosis.kr 

  13. 통계청. (2010). 2009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자료검색일 2010, 8. 28. 자료 출처 http://kostat.go.kr 

  14. 한국소비자보호원. (1997). 사교육비 지출실태 및 경감방안. 서울: 한국소비자보호원 

  15. Becker, G. S.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6. Hong, S., & Sung, N.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Korean Household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10(3), 183-212. 

  17. Kim, H. (2004). Analyzing the Structure of Variables Affecting on private Tutoring Expen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2(1), 27-45. 

  18. Kim, H. B. (1992).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Parents' Involvements in Schooling of Their Children.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Kim, J. S. (2002). A Study on the Parents' Education Fever in Alternative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Kim, M. J., & H. C. Choe (2009), The Consumption Styles of Korean Urban Households according to Social Clas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2(4), 119-144. 

  21. Kim, S. J. (1995). Middle-class Parents' Way of Thinking about Expending Private Co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2. Kim, Y. H. (1992). Social Class and parents' Demand for Children's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0(4), 173-197. 

  23. Kim, Y. K. (1995). Money and Time Investment to Children's Education of Household with High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4. Kim, Y. O. (1991). (A) Study on Parents' Tendency toward Their Children's High Educational Attai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5. Lee, E. W. (2004). Is There Still discrimination Against Daughters in Korea?.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Journal of Economic Studies, 22(2), 1-31. 

  26. Lee, H. S., Yang, S. J., Sung, Y. A., & Choe, H. (2004). Evaluating Household Financial Status Using Financial Ratio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7(3), 59-84. 

  27. Lee, J. H. (1994). A Study on the parent's educational supporting activities and purposes for entering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8. Lee, S. (2002). Inequality of the Household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by Income Classes.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9), 143-159. 

  29. Lee, S. (2005). Household Strategy for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Burde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7(2), 115-132. 

  30. Lee, S. (2006).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63-76. 

  31. Lee, S. S. (2002).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Children and Economic Well-being of Household.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7), 211-227. 

  32. Nam, K. (2007a). Time Series Trend of the Scale of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16(1), 57-79. 

  33. Nam, K. (2007b). Is There Still discrimination Against Daughters in Korea?. The Korean Economic Review, 54(2), 119-141. 

  34. Park, M. H., & Yeo, J. S. (2000).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of Korean Households.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12), 189-206. 

  35. Yoo, H. S., & Yoon, J. H. (1999). Factors Which Determine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of Urban Households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Extra-calss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of General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7(4), 159-171. 

  36. Yoon. J. H., & Rhee, K. C. (1994). Relative Deprivation in Consumption of Urban Poor Households in Korea.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3), 27-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