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지역 추정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지역 실업률 추정
An Efficient Estimation of Local Area Unemployment Rate Based on Small Area Estimation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4 no.6, 2011년, pp.1129 - 1138  

김수택 (경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방자치제가 정착되면서 시군구와 같은 소지역 단위의 실업률에 대한 통계는 실업대책이나 고용지원 사업을 위한 예산 편성과 같은 지역 노동시장정책의 수립은 물론 정책 집행 후 그에 대한 사후평가를 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기준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지자체 기관장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실업률 통계를 생산하는 데에는 자료의 신뢰성, 연속성및 시의성 면에서 많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지역 실업률 추정치에 대한 신뢰성(변동계수 25% 이하)을 확보하면서 통계생산에 소요되는 조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정법 및 최소 표본조사구 수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ll area estimation has received significant in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a growing demand for reliable local area statistics. Traditional area-specific direct estimates based solely on sample survey data in the areas of interest do not provide adequate small area precision; however, design-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의 목적은 연 1회 조사에 그치는 실업률에 대한 최상의 추정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각 시군 등 소지역들이 최소한의 조사비용을 투입하여 매월 단위의 소지역 통계를 지속적으로 산출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 이와 같이 크기가 작은 표본 자료로부터 실업률을 직접 추정하게 되면 추정 오차가 너무 커서 통계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경상남도에서는 2007년 9월 통계청의 지도하에 10개 각 시에서 평균 50개의 조사구를 선정하고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실시하여 소지역(시)의 실업률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각 소지역에 배정된 표본조사구 수보다 훨씬 많은 50여개에 달하는 조사구를 조사하여 직접추정법으로 실업률을 추정하였지만 통계청에서 요구하는 목표정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군과 같은 소지역 실업률 추정에서 추정치의 신뢰성(변동계 수 기준)을 확보하는 동시에 조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으로 소지역 실업률 통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지역 노동정책 수립에 반드시 필요한 실업률의 효율적 추정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의 효율성이란 추정치의 변동계수를 기준으로 일정 수준의 신뢰성을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서 추정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본조사구의 수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매월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와 매 5년마다 시행하고 있는 인구 및 주택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가 처한 현실적인 상황에서 실업률 등과 같은 소지역 노동 통계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통계청에서 2009년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정한 표본 조사구들 중에서 경남 지역 시·군에 배정된 조사구 수를 나타내고 있는 표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군구와 같은 소지역 단위의 실업률에 대한 통계가 지자체 기관장들의 관심 대상이 되는 이유는? 지방자치제가 정착되면서 시군구와 같은 소지역 단위의 실업률에 대한 통계는 실업대책이나 고용지원 사업을 위한 예산 편성과 같은 지역 노동시장정책의 수립은 물론 정책 집행 후 그에 대한 사후평가를 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기준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지자체 기관장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실업률 통계를 생산하는 데에는 자료의 신뢰성, 연속성및 시의성 면에서 많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소지역 추정법에서 사용되는 추정량은 무엇이 있는가? 소지역 추정에 사용되는 추정량으로는 설계기반 추출법(design-based sampling)의 표본추출확률을 이용한 직접추정량(direct estimator)과 목표 소지역의 특성과 유사한 인근 소지역에 관한 통계정보(보조정보)를 이용하는 간접추정량(indirect estimator)이 있다. 간접추정량은 설계기반(design-based)과 모형기반(model-based) 간접추정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초자치단체에서 실업률 통계를 생산함에 있어 겪는 어려움은? 지방자치제가 정착되면서 시군구와 같은 소지역 단위의 실업률에 대한 통계는 실업대책이나 고용지원 사업을 위한 예산 편성과 같은 지역 노동시장정책의 수립은 물론 정책 집행 후 그에 대한 사후평가를 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기준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지자체 기관장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실업률 통계를 생산하는 데에는 자료의 신뢰성, 연속성및 시의성 면에서 많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지역 실업률 추정치에 대한 신뢰성(변동계수 25% 이하)을 확보하면서 통계생산에 소요되는 조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정법 및 최소 표본조사구 수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달호, 김남희 (2002). 반복조사에서 소지역자료의 베이지안 분석, 응용통계연구, 15, 119-128. 

  2. 김영원, 성나영 (2000). 소지역 통계 생산을 위한 추정방법,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1, 111-126. 

  3. 김재두, 신기일, 이상은 (2005). 공간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응용통계연구, 18, 627-637. 

  4. 박종태 (1998). 소지역추정, 평택대학교 논문집, 11. 

  5. 박종태 (2001). 국내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대한 소지역 추정의 경험적 비교, 평택대학교 자연과학연구 창간호, 69-79. 

  6. 박종태, 이상은 (2001). 소지역 추정법에 관한 비교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2, 47-55. 

  7. 양영춘, 이상은, 신민웅 (2003). Kalman Filter기법을 이용한 실업자 수의 소지역 추정, 응용통계연구, 16, 239-246. 

  8. 이계오 (2000). 시.군.구 실업자 추정을 위한 소지역 추정법, 응용통계연구, 13, 276-86. 

  9. 이계오 (2002). 소지역 추정법에 의한 시.군.구 실업통계 개발, 통계청. 

  10. 정연수, 이계오, 이우일 (2003). 시.군.구 실업자 총계 추정을 위한 설계기반 간접추정법, 응용통계연구, 16, 1-14. 

  11. 전경배 (2001). 공식통계의 소지역 적용사례, 계간국민계정, 1, 22-37, 한국은행. 

  12. Fabrizi, E., Ferrante, M. R. and Pacei, S. (2007). Small area estimation of average household income based on unit level models for panel data, Survey Methodology, 33, 187-198. 

  13. Falorsi, P. D., Falorsi, S. and Russo, A. (1994). Empirical comparison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for the Italian Labour Force Survey, Survey Methodology, 20, 171-176. 

  14. Farrell, P. J. (2000). Bayesian Inference for small area proportions, Sankhya: The Indian Journal of Statistics, Series B, 62, 402-416. 

  15. Ghosh, M. and Rao, J. N. K. (1994). Small area estimation: An appraisal, Statistical Science, 9, 55-93. 

  16. Rao, J. N. K. (2003). Small Area Estimation, Wiley, New York. 

  17. Ugarte, L., Militino, A. F., Prado, C., Vincente, J. S. and Ayestaran, M. (2007). Small area estimation in official statistics: The labour force survey of the basque country, Proceedings of the Section on the Small Area Estimation, IASS Satellite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