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차 적응 최근접 이웃을 활용한 결측값 대치법
On the Use of Sequential Adaptive Nearest Neighbors for Missing Value Imputation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4 no.6, 2011년, pp.1249 - 1257  

박소현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  방성완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  전명식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모수적 결측치 대치법인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KNN) 대치법을 개선한 적응 최근접 이웃(Adaptive Nearest Neighbor; ANN) 대치법과 순차 k-최근접 이웃(Sequential k-Nearest Neighbor; SKNN) 대치법의 장점들을 결합한 순차 적응 최근접 이웃(Sequential Adaptive Nearest Neighbor; SANN) 대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ANN 대치법의 장점인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반영할 뿐 아니라, SKNN 대치법과 같이 결측값 대치가 이루어진 개체를 다음 결측값을 대치할 때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에 개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quential Adaptive Nearest Neighbor(SANN) imputation method that combines the Adaptive Nearest Neighbor(ANN) method and the Sequential k-Nearest Neighbor(SKNN) method. When choosing the nearest neighbors of missing observations, the proposed SANN method takes the local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Kim 등 (2004)은 결측값 대치가 완료된 개체를 다음 결측값을 대치할 때 이웃의 후보로 사용하는 SKNN 대치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KNN 대치법을 보완한 ANN과 SKNN 대치법의 장점을 결합한 Sequential ANN(SANN) 대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ANN 대치법이 목표개체가 속한 지역의 국소적 특징을 고려해서 이웃의 개수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장점과 SKNN 대치법의 장점인 결측값이 대치된 개체를 그 다음 대치과정에서 후보집단으로 이용하는 효율성을 함께 지니게 된다.
  • 본 논문에서는 KNN 대치법의 단점을 보완한 ANN 대치법과 SKNN 대치법의 장점을 결합한 순차 적응 최근접 이웃(Sequential Adaptive Nearest Neighbors; SANN) 대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SANN 대치법은 각 개체가 지니는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반영하여 개체에 따라 결측값 추정에 이용하는 이웃의 개수 k를 변화시킨다는 점과 결측값이 대치된 개체를 다음 대치에서 사용한다는 두 가지 장점을 모두 지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결측값을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논문에서는 SANN 대치법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이는 Jhun 등(2007)에서 제안된 ANN 대치법과 매우 유사한 형태이다.
  • 실제 자료에서 흔히 발생하는 결측값을 다루는 방법으로 널리 쓰이는 KNN 대치법은 알고리즘이 간단하고 자료의 분포에 대해 강건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간과하고 결측값이 발생한 개체가 지닌 관측값들은 이용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고려하는 ANN 대치법과 결측값이 대치된 개체를 재활용하는 SKNN 대치법의 장점을 결합한 SANN(Sequential Adaptive Nearest Neighbors) 대치법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모형 하에서의 모의실험을 통해서 결측비율이 높고 자료의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결측값이 발생한 경우, 기존의 방법들보다 SANN 대치법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실제사례 분석을 통해서 SANN 대치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제안된 방법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NN 대치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Jhun 등 (2007)이 제시한 이웃의 개수를 적응적으로 부여하는 방안은 판별분류방법에도 적용되어 연구되었다 (전명식과 최인경, 2009; 맹진우 등, 2010). 한편, KNN 대치법은 결측값이 발생하지 않은 완전한 개체들만을 이용해서 이웃집단을 선정하기 때문에 결측값이 하나라도 발생한 개체가 지닌 관측된 변수들에 대한 정보는 이용할 수 없다. 이에, Kim 등 (2004)은 KNN 대치법의 대안으로 결측이 발생한 개체 내의 관측된 변수들의 값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는 순차 k-최근접 이웃(Sequential k-Nearest Neighbors; SKNN) 대치법을 제안하였다.
SANN 대치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반면에, SANN 대치법은 결측 변수의 수가 적은 개체부터 대치를 함으로서, 이미 결측값 대치가 완료된 개체 B와 D도 이웃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실선 안에 있는 세 개의 개체를 이용하여 결측값을 대치하게 된다. 이 방법은 이웃에 있는 개체 수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먼저 결측값이 대치된 개체를 재활용함으로써 자료를 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최근접 이웃(KNN) 대치법이란 무엇인가? 통계적 분석과정에서 결측값의 처리에 관하여 많은 방법론이 연구되어 왔으며 (Little과 Rubin, 1987; 이진희 등, 2006; 이상은과 신기일, 2010), 그 중 대치법(imputation)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여러 다양한 종류의 대치법들 중에서 Dixon (1979)과 Troyanskaya 등 (2001)에 의해 제안된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KNN) 대치법은 결측이 발생한 개체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k개의 이웃 개체들을 활용하여 결측값을 대치하는 비모수적 방법으로, 다변량 정규성 등의 모수적 모형이 만족되지 않을 때에도 강건성(robustness)을 지니며 그 계산 알고리즘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KNN 대치법은 모든 개체에 대해 고정된 k개의 이웃을 사용하기 때문에 결측이 발생한 개체의 위치에 따른 국소적 특징을 간과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맹진우, 방성완, 전명식 (2010). 수정된 적응 최근접 방법을 활용한 판별분류방법에 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23, 1093-1102. 

  2. 이상은, 신기일 (2010). BLS 무응답 보정법을 이용한 대체법과 이월대체법에 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23, 909-921. 

  3. 이진희, 김진, 이기재 (2006). 표본조사에서 공간변수를 이용한 결측 대체의 효율성 비교, 응용통계연구, 19, 57. 

  4. 전명식, 최인경 (2009). Adaptive nearest neighbors를 활용한 판별분류방법, 응용통계연구, 22, 479-488. 

  5. Dixon, J. K. (1979). Pattern recognition with partly missing data,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9, 617-621. 

  6. Jhun, M., Jeong, H. C. and Koo, J. Y. (2007). On the use of adaptive nearest neighbors for missing value imputatio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Simulation and Computation, 36, 1275-1286. 

  7. Kim, K. Y., Kim, B. J. and Yi, G. S. (2004). Reuse of imputed data in microarray analysis increases imputation efficiency, BMC Bioinformatics, 5, 160. 

  8. Little, R. J. A. and Rubin, D. B. (1987).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 Wiley, New York. 

  9. Troyanskaya, O., Cantor, M., Sherlock, G., Brown, P., Hastie, T., Tibshirani, R., Botstein, D. and Altman, R. B. (2001). Missing value estimation methods for DNA microarrays, Bioinformatics, 7, 520-5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