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Trait of Local Community Adaptation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2, 2011년, pp.307 - 316  

성향숙 (부산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중 Colaizzi방법론을 채택하였는데, 심층면접을 통하여 녹취한 진술을 텍스트화 한 후, 유의미한 진술내용을 코딩하여,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역량의 강화', '문화적응', '제한적 수혜자 되기', '인적네트워크 없음', '미래를 낙관할 수 없음' '지역사회 안착을 염원함', '한국을 떠날 수 있음'으로 총 7개의 주제묶음과 17개의 주제, 47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some specific features that were found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to their local community, and also to elicit certain practical implications to facilitate their adaptation, based on the findings. For data collection, i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결혼이민여성이 단순히 다문화 가족정책·서비스·연구의 대상자가 아니라,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주체로서 인식하는 전제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연구들이 다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민여성을 지역사회의 주체적 구성원으로 전제하면서, 이들의 지역사회 참여와 적응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역량 강화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확보하고자 한다.
  • 이러한 빈곤은 교육, 문화, 의료, 사회 참여 등 지역사회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이용의 기회가 배제될 수 있는 직접적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결혼이민여성의 빈곤은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윤혜미[25]는 이들이 단순히 지역사회의 서비스 수급자로 머물 우려를 표하였는데,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이들이 지역사회 서비스의 일방적 수혜자로서의 위치가 아니라, 시혜적 차원의 서비스를 거부하면서, 무엇인가를 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지역에 정주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이 지역의 서비스 수혜자로 머물기보다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상호작용 관계를 맺고 주체적 지역주민이 되고자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아울러 삼각측정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결혼이민 여성 대상의 자원봉사자, NGO활동가와의 면접내용과 연구참여자의 진술내용을 비교하면서 진술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삼각측정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결혼이민 여성 대상의 자원봉사자, NGO활동가와의 면접내용과 연구참여자의 진술내용을 비교하면서 진술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 연구참여자들은 모국을 떠나 낮선 지역에 정착해야 하는 이주민으로서 언어, 지리, 문화가 다른 지역에 정착하기 위한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심리적 불안감을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삶을 대처하고자하였다. 모든 것이 낮선 곳에서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대개의 경우, 사람을 움츠러들게 하지만 이들은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적극적 성격으로 거듭나는 노력을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민여성을 지역사회의 주체적 구성원으로 전제하면서, 이들의 지역사회 참여와 적응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역량 강화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확보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이론적으로는 이주민의 문화적응이 동화보다 통합적 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말하지만, 그 사회의 정책지향, 문화개방성, 역사성, 사회경제적 발전 정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적응의 유형이 결정될 것이다. 또한 한국사회가 여전히 단일민족주의, 순혈주의 등과 같은 다문화적 흐름에 역행하는 흐름을 이완시키지 않으면서, 자칫 결혼이민여성을 한국사회에 일방적으로 동화되기를 원하는 것은 또 다른 형태의 차별과 폭력이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응이란 무엇인가? Berry는 문화적응(adaptation)이란 하나의 문화가 새로운 환경의 문화와 상호작용하면서 결과적으로 이 환경 속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라고 하였다. 나아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정도와 주류사회에 참여의 결합정도에 따라 통합, 동화, 주변화, 고립으로 분류하였다.
결혼이민여성과 지역주민의 접촉 양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이 필요한가? 둘째,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과 지역주민이 공존하고, 양자 간 상호호혜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결혼이민여성과 지역주민의 접촉의 양과 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양적으로는 공공기관(학교, 주민자치센터 등), 보육시설, 복지관, 서비스 제공기관, 시장 등 공공과 민간 기관에서 양자가 빈번하게 접촉이 이루어질 수있도록 프로그램을 양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접촉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콘텐츠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 것인가가 핵심적 과제인데, 예를 든다면 이주민과 지역주민을 위한 유네스코의 세계시민교육이 구체적 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결혼이민여성에 관한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여성가족부는 어떠한 개념을 바탕으로 가족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가? 현재 결혼이민여성에 관한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여성가족부는 자녀양육기, 자녀교육기, 가족역량강화기는 생애주기라는 시간적 개념을 바탕으로 가족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자녀양육과 교육, 가족의 경제·사회적 역량강화를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구체적 삶을 영위하는 곳은 지역사회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문제는 주로 국가단위에서 문화적 차원에 집중하여 논의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앤서니 기든스, 한상진.박찬욱 역, 제3의 길, 생각의 나무, 1998. 

  2. 설동훈, 국제결혼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 이선주 외,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4. 양애경 외,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5. 이오복,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제4호, pp.25-56, 2009. 

  6. 이용재.배화숙, "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및 정보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 pp.479-504, 2008. 

  7. 황정미,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 현황과 증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9. 

  8.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소통과 갈등: 다문화가족 갈등예방과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2006. 

  9. J. W. Berry,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pp.291-326 in Handbook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Vol.3 (2nded) edited by Berry ,Segall and Kagitcibasi, Allyn & Bacon, 2005. 

  10. 김현숙,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유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2007. 

  11. C. Ward, Acculaturation,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edited by D. Landis and R. Bhagat, Newbury Park, pp.124-147, 1996. 

  12. L. V. Newman, The expatriate adjustment proc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2007에서 재인용. 

  13. 이용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39권, 제4호, pp.479-504, 2007. 

  14. 정천석, 강기정,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3권, 제1호, 2008. 

  15.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8권, 제2호, 2005. 

  16. 양애경,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수용성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7. 김승권,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8. Crang, "Transnationalism and the space of commodity culture, Progress," Human Geography, Vol.27, No.4, pp.438-456, 2003. 

  19. 고민경,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자료집, pp.91-93, 2009. 

  20. 이용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39권, 제4호, pp.479-504, 2007. 

  21. 조용환, 질적 사회복지연구: 현상학적 ,임상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워크샵 자료, 2010. 

  22. 데보라 K. 패짓, 유태균 역, 사회복지 질적 연구 방법론, 나남출판사, 2001. 

  23. 에드먼드 셔먼, 위리엄 리드 편, 유태균.이선혜.서진 환 역,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의 이론과 활용, 나남출판사, 2003. 

  24. 원희목 국회의원 국감보도자료, 2010.10.8. 

  25. 윤혜미,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4호, pp.85-108, 2009. 

  26. B. Atca and J. W. Berry,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37, No.1, pp.13-26, 2002. 

  27. 이혜경,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5권, 2009. 

  28. 김승권,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9. 이숙진, "다문화가족에 대한 몇 가지 오해", 복지동향 5월호,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1. 

  30. 김영혜,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지원방안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