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Area in Green Belt -Focused on City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mpact City Metho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2, 2011년, pp.5917 - 5930  

정재용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  오민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기본전략과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개발제한구역내 도시들의 개발사업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부터 선진국들은 컴팩트시티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기준으로 삼고, 세부적인 도시개발계획을 추진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은 지속가능한 개발과 컴팩트시티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이 개발계획을 도시공간, 도시환경, 도시커뮤니티, 도시관리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적용가능한 요소를 산정하고 컴팩트시티와의 관련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과천, 의왕, 하남의 개발제한구역 내 다수의 개발계획들을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 비교해본 결과 유사점과 한계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를 고려하여, 앞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정책적인 반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and planning elements with the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uggestions are based o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in the cities within Green-Belt.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the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년 이후 세 도시는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를 감안하여 지속적인 자연환경관리와 지역이미지 구축을 진행하고, 인구증가에 따른 도시공간 구조 변화와 주거환경 개선욕구에 따라 기성시가지를 정비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산업의 특성화 및 활성화를 통해 도시경쟁력 및 자족성을 확보하고, 문화자원과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 셋째, 이를 바탕으로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 중 개발제한구역 면적이 높은 상위 3개 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한다. 각 도시의 발전사와 개발제한구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도시개발사업들을 분석하고 앞에서 도출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의 연관성을 연구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에 적용가능한 지속가능한 계획요소와 개발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들의 개발방향으로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필요성과 함께,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개발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통합적으로 도출하고자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고천중심지구 개발사업은 의왕시청 인근에 위치한 고려합섭 공장부지를 포함하여 고천동 171번지 일대를 친환경적인 뉴타운으로 조성하는 사업이고, 오매기지구 도시개발사업은 환경 친화적인 중·저밀도의 저탄소 녹색 주거단지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장안지구 도시개발사업은 환경 친화적인 중·저밀도 명품주거지로의 특화개발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ICD 주변 조성사업은 철도특구와 연계된 첨단산업을 유치하여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며, 왕송호수 테마파크 조성사업은 호수주변의 자연경관을 활용한 철도테마 휴식공간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최근에는 신도시 개발에 있어서도 지속가능성을 얻고자 하는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효과를 얻고자 하며,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따라 추진 정책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컴팩트시티 정책사례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개발로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전략화 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추진중인 도시개발 및 합리적 도시관리를 위한 사업들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의 연관성 및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 2007년 이후 세 도시는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를 감안하여 지속적인 자연환경관리와 지역이미지 구축을 진행하고, 인구증가에 따른 도시공간 구조 변화와 주거환경 개선욕구에 따라 기성시가지를 정비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산업의 특성화 및 활성화를 통해 도시경쟁력 및 자족성을 확보하고, 문화자원과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세 도시는 이를 위해 기존의 도시공간구조의 구상에 변화를 주었는데, 세부 특징으로 단핵중심형 공간구조에서 다핵분산형 공간구조로 개편하고, 생활권간 연계체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성장축을 설정하여 공간구조 변화를 꾀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에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통해 무분별한 개발제한구역의 훼손을 막고 환경과 조화되는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으로 나아가기 위한 실천적 방법의 하나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제시된 이론적 방법을 중심으로 국내 도시들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본 연구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고 볼 수 있다. 향후 해외 컴팩트시티 전략들이 어떻게 차별화되어 적용되고 우리나라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만의 차별화된 컴팩트시티 개발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로 인한 대규모 개발이 불가피한 시점에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 방안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기본전략과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대상지역인 과천, 의왕, 하남에서 추진중인 개발사업 등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로 기존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들에 개발사업이 진행되어 시가지가 점차 확장되는 시점에서, 컴팩트시티는 고밀개발을 통해 무분별한 도시 확장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막고 효율적인 도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컴팩트시티 정책사례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개발로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전략화 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추진중인 도시개발 및 합리적 도시관리를 위한 사업들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의 연관성 및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 각 도시의 발전사와 개발제한구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도시개발사업들을 분석하고 앞에서 도출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의 연관성을 연구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에 적용가능한 지속가능한 계획요소와 개발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 기준’은 330만㎡ 이상의 대규모 택지개발에만 적용되며, 이와 같이 현재 국내의 컴팩트시티 반영 정책들은 대규모 도시개발에 대한 기준이거나 구체적인 전략이 없는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어, 개발제한구역 내 소규모 도시개발에 적용가능한 개발전략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해외정책사례를 분석하여 개발제한구역 내에 적용가능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 요소를 도출하고, 신규개발 관련 국내 정책과 개발제한구역 내 실제 도시개발경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개정되는 법적·정책적 틀에서 수도권 내 도시들의 도시공간구조 계획이 바뀌고, 다양한 도시개발 사업들이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 등에서 추진되면서, 수도권 도시들의 모습이 큰 변화를 보일 것이다. 이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게 될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2008년 말 기준으로 개발제한구역 비율 상위 3도시인 과천, 의왕, 하남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제한구역 내에서 추진 중인 다양한 도시개발사업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표 7 참조).
  • 현재 지속가능한 개발의 주요 테마는 ‘녹색 경제’로 경제, 사회, 환경의 3개의 부분에 국가간 자원배분의 공정성 및 형평성 달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지구촌적인 합의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기본전략과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들의 개발사업들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부터 선진국들은 컴팩트시티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기준으로 삼고, 세부적인 도시개발계획을 추진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은 지속가능한 개발과 컴팩트시티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이 개발계획을 도시공간, 도시환경, 도시커뮤니티, 도시관리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적용가능한 요소를 산정하고 컴팩트시티와의 관련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과천, 의왕, 하남의 개발제한구역 내 다수의 개발계획들을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 비교해본 결과 유사점과 한계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를 고려하여, 앞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정책적인 반영이 필요하다.
개발제한구역은 무엇인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은 도시의 경관을 정비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 설정된 녹지대로, 생산녹지와 차단 녹지로 구분되며, 건축물의 신축·증축, 용도변경, 토지의 형질변경 및 토지분할 등의 행위가 제한된다[3]. 1970년대에 수도권에서 1,566.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은 수도권의 평면적인 확산을 억제하고 수도권 집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도시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임야와 농경지가 하나로 연결되어 비오톱을 형성하여 생태계를 보전하며 동시에 수원조절과 대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도시민에게는 레크리에이션, 주말 농장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내 중소도시들은 정주지를 공급하고, 주변 배후지에 대한 도시서비스의 공급과 배후지역의 시장기능을 수행하며, 국토의 균형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도·농 혼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the development restricted area is valid, but over a range of social constraints have caused a severe burden and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regulation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is explicit. 

  2. In addition, Seocho-Gu, in 2009, "Kangnam roadside of the feasibilit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act city" has done research on. 

  3. Gyeonggi research institute, "Thematic maps of Gyeonggi 2010", pp.28, 2010. 

  4. Song In-Sung, "The industry-specific status and improvement of medium-sized cities", pp.36-37, 1992. 

  5. Kim Jun-young, "Compact city : towards the city future of sustainable society", pp.16, 2007. 

  6. UNCSD will hold the Rio+20 on june 2012, and as a key agenda 'the green ec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anishment of poverty'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defined. So far,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was sharply opposed, there were many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Through this mee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will get to, and Is expected to solve new problems that occur. 

  7. Joshua Arbury, "From urban sprawl to compact city: an analysis of urban growth management in Auckland", Geography and Environmental Science, University of Auckland, 2005 

  8. Williams, K., Burton E. and Jenks, M., Achieving Sustainable Urban Form, E & FN Spoon, 2000. 

  9. SGN, This is Smart Network, 2006. 

  10. Kim Jun-young, "Compact city : towards the city future of sustainable society", pp.38-42, 2007. 

  11. Kim Jun-young, "Compact city : towards the city future of sustainable society", pp.24-25, 2007. 

  12. Cha Hak-bong, Land of Aging society in Japan to learn, pp.138, 2006. 

  13. Gwacheon-si, 2020 Gwacheon Urban Master Plan, 2008. 

  14. Uiwang-si, 2020 Uiwang Urban Master Plan, 2007. 

  15. Hanam-si, 2020 Hanam Urban Master Plan, 2008. 

  16. 2nd Green Belt Management Plan (2006-2011), the Governor of competent jurisdiction against the Green Belt will be established.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 to change the Green Belt Management Plan and approved by the Land Department can proceed with develop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