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0년산 맥류의 붉은곰팡이병 발생 및 Fusarium 곰팡이독소 자연발생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Head Blight and Its Mycotoxins in 2010-harvested Barley and Wheat Grains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7 no.3, 2011년, pp.272 - 279  

류재기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이수형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손승완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이승호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남영주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김미자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이데레사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윤종철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산 쌀보리 43시료, 겉보리 17시료, 맥주보리 11시료, 청보리 14시료, 밀 41시료 등 총 126개 시료를 농가로부터 채집하였다.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Fusarium균 오염정도와 이들 균이 생산하는 주요 독소인 DON, NIV, ZEA의 자연발생을 조사하였다. 2010년산 맥류의 전국 평균 오염율은 23.0%로 2009년 전국 평균 오염율(Yeh 등, 2010)에 비해 10% 이상 높았다. 지역별 오염율은 전남지방의 맥류가 35.8%로 가장 높았고 전북 20.8%, 경기 20.5% 순이었다. 각 독소별 오염빈도와 오염수준을 조사한 결과, DON은 43시료(34%), 0.89 mg/kg 이었고, NIV는 107시료 (84.9%), 1.86 mg/kg, ZEA은 13시료(10.3%), 0.06 mg/kg이 었다. NIV의 오염빈도가 DON과 ZEA에 비해 높았다. 한편 40시료(31.7%)가 DON과 NIV가 중복오염되어 있었다. 맥류 종류별 곰팡이독소의 오염수준을 보면, 밀에서는 DON의 오염수준이 NIV보다 높았으며, 보리에서는 NIV 오염수준이 DON보다 높았다. 보리 종류별 NIV의 오염수준은 청보리, 맥주보리, 쌀보리, 겉보리 순으로 높았다. 독소오염에 대해 지역별로 분석하여보면 경기, 충남북의 중부지방은 DON의 오염수준이 NIV보다 높았으며, 전남북과 경남북의 남부지방은 NIV의 오염수준이 높았다. DON과 NIV 독소의 오염빈도 또한 중부지방에 비해 남부지방이 많았다. 지역별 맥류 곰팡이독소 자연발생 양상의 차이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sarium species are worldwide causal agents of Fusarium head blight (FHB) in cereals such as barley and wheat. Their toxigenic potential is a health risk for both humans and animals. To survey the natural occurrence of FHB and mycotoxins produced by Fusarium, total 126 barley or wheat grains grow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최근의 이상기온 및 잦은 강우로 인한 맥류 붉은곰팡이병 발생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산 곡물의 Fusarium 곰팡이독소 오염에 대해 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농산물의 안전관리 기반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2010년에 수확하여 농가에 보관중인 국내산 보리와 밀을 대상으로 Fusarium 균 오염 현황과 이들이 생산하는 주요 Fusarium 곰팡이독소인 DON, NIV와 같은 트리코쎄신계 화합물과 ZEA 독소의 자연발생 정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 수확 곡물의 맥류 붉은곰팡이 오염율과 곰팡이독소의 자연발생을 조사하기 위하여 맥종별 주산시군을 파악하였다. 겉보리는 경남, 경북지방을 중심으로, 쌀보리는 전남, 전북을 중심으로, 청보리는 전북지방을 중심으로, 밀은 전남, 전북,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맥주보리는 전남,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총 42개 시군의 80개 독농가로부터 2010년도에 수확하여 농가에 보관중인 맥류 곡물시료를 종류별로 각 1 kg씩 수집하였다.
  • DON과 NIV 독소의 오염빈도 또한 중부지방에 비해 남부지방이 많았다. 지역별 맥류 곰팡이독소 자연발생 양상의 차이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류 붉은곰팡이병은 어떤 병해인가? 맥류 붉은곰팡이병은 아시아, 북미, 유럽, 남미 등 전세계적으로 보리, 밀, 옥수수 등 여러 곡류에 발병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주요 관리대상 병해이다. 붉은곰팡이병의 감염은 단순히 품질 저하로 인한 식용 곡류의 활용 저하와 수량 감소 등의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축에 구토, 설사, 면역력 저하, 암 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독소를 생산한다.
붉은곰팡이병이 만드는 곰팡이독소가 야기하는 병은? 맥류 붉은곰팡이병은 아시아, 북미, 유럽, 남미 등 전세계적으로 보리, 밀, 옥수수 등 여러 곡류에 발병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주요 관리대상 병해이다. 붉은곰팡이병의 감염은 단순히 품질 저하로 인한 식용 곡류의 활용 저하와 수량 감소 등의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축에 구토, 설사, 면역력 저하, 암 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독소를 생산한다. 주요 독소로는 DON, NIV, ZEA 등이 자연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sjardins, 2006;Leslie과 Summerell, 2006).
붉은곰팡이병이 만드는 주요 곰팡이독소의 종류는? 붉은곰팡이병의 감염은 단순히 품질 저하로 인한 식용 곡류의 활용 저하와 수량 감소 등의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축에 구토, 설사, 면역력 저하, 암 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독소를 생산한다. 주요 독소로는 DON, NIV, ZEA 등이 자연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sjardins, 2006;Leslie과 Summerel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OAC International. 1990. Method No. 986.18. In: Helrich, K. (Ed.),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5th ed., Arlington. 

  2. Chung, H. S. 1975. Cereal scab causing mycotoxicoses in Korea and present status of mycotoxin researches. Kor. J Mycol. 3: 31?36. 

  3. Desjardins, A. E. 2006. Fusarium mycotoxins: chemistry, genetics and biology. APS Press, St. Paul, MN. 

  4. Ibanez-Vea, M., Lizarraga, E., Gonzalez-Penas, E. and Cerain, A. L. 2011. Co-occurrence of type-A and type-B trichothecenes in barley from a northern region of Spain. Food Control. doi: 10.1016/j.foodcont.2011.10.028. 

  5. Kim, J. C., Kang, H. J., Lee, D. H., Lee, Y.-W. and Yoshizawa T. 1993.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trichothecenes and zearalenone) in barley and corn in Korea. Appl. Environ. Microbiol. 59: 3798-3802.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onthly weather report: April, May, June, 2010. 

  7. Lee, U.-S., Jang, H.-S., Tanaka, T., Hasegawa, A., Oh, Y.-J. and Ueno, Y. 1985. The coexistence of the Fusarium mycotoxins nivalenol,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in Korean cereals harvested in 1983. Food Addit. Contam. 2: 185-192. 

  8. Lee, U.-S., Jang, H.-S., Tanaka, T., Hasegawa, A., Oh, Y.-J., Cho, C.-M., Sugiura, Y. and Ueno, Y. 1986. Further survey on the Fusarium mycotoxins in Korean cereals. Food Addit. Contam. 3: 253-256. 

  9. Leslie, J. F. and Summerell, B. A. 2006.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Blackwell Professional, Ames, IA. pp. 388. 

  10. McMullen, M., Jones, R. and Gallenberg, D. 1997. Scab of wheat and barley: a re-emerging disease of devastating impact. Plant Dis. 81: 1340-1348. 

  11. O'Donnell, K., Ward, T. J., Geiser, D. M., Kistler, H. C. and Aoki, T., 2004. Genealogical concordance between the mating type locus and seven other nuclear genes supports formal recognition of nine phylogenetically distinct species within the Fusarium graminearum clade. Fungal Genet. Biol. 41: 600-623. 

  12. Osborne, L. E. and Stein, J. M. 2007. Epidemiology of Fusarium head blight on small-grain cereals. Int. J. Food Microbiol. 119: 103-108. 

  13. Park, K. J. and Lee, Y.-W. 1990.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in Korean barely samples harvested in 1987 and 1989. Proc. Jpn. Assoc. Mycotoxicol. 31: 37-41. 

  14. Park, K.-J., Park, A.-R. and Lee, Y.-W. 1992.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of the 1990 barley crop in Korea. Food Addit. Contam. 9: 639-645. 

  15. Rossi, V., Ravanetti, A., Pattori, E., and Giosue, S. 2001.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infection of wheat spikes by some fungi causing Fusarium head blight. J. Plant Pathol. 83: 189-198. 

  16. Ryu, J.-C., Yang, J.-S., Song, Y.-S., Kwon, O.-S., Park, J. and Chang, I.-M. 1996. Survey of natural occurrence of trichothecene mycotoxins and zearalenone in Korean cereals harvested in 1992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od Addit. Contam. 13: 333-341. 

  17. Son, S.-W., Nam, Y. J., Lee, S.-H., Lee, S. M., Lee, S. H., Kim, M. J., Lee T., Yun, J.-C. and Ryu, J.-G. 2011. Toxigenic fungal contaminants in the 2009-harvested rice and its millingbyproducts samples collected from Rice Processing Complex (RPC)es in Korea. Res. Plant Dis. 17: 280-287. 

  18. Shirai Y., Ono Y. and Akimoto K. 2001.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deoxynivalenol and nivalenol in grai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multifunctional clean up column for purification. Res. Rep. Animal Feed 26: 1-9. 

  19. Statistics Korea. 2011. Cultivated area of barley, wheat, spring potatoes, apples and pears in 2011. URL http://kostat.go.kr/ portal/english/news/1/8/index.board?bmoderead&aSeq249 064. 

  20. Statistics Korea. 2010. Household food grain consumption per capita in 2010. URL http://kostat.go.kr/portal/english/news/1/ 8/index.board?bmoderead&aSeq245363. 

  21. Tanaka, T., Hasegawa, A., Yamamoto, S., Lee, U.-S., Sugiura, Y., and Ueno, Y. 1988. Worldwide contamination of cereals by the fusarium mycotoxins nivalenol,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1. Survey of 19 Countries. J. Agric. Food Chem. 36: 979-983. 

  22. Visconti A. Pascale, M. 1998. Determination of zearalenone in corn by means of immunoaffinity clean-up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ion. J. Chromatogr. A 815: 133-140. 

  23. Xu, X.-M. Parry, D. W., Nicholson, P., Thomsett, M. A., Simpson, D. , Edwards, S. G., Cooke, B. M., Doohan, F. M., Brennan, J. M., Moretti, A., Tocco, G., Mule, G., Hornok, L., Giczey, G. and Tatnell, J. 2005. Predominance and association of pathogenic fungi causing Fusarium ear blight in wheat in four European countries. Eur. J. Plant Pathol. 112: 143-154. 

  24. Yang, L., Lee, T., Yang, X., Yu, D. and Waalwijk, C. 2008. Fusarium population on Chinese barley show a dramatic gradient in mycotoxin profiles. Phytopathol. 98: 719-727. 

  25. Yeh, W.-H., Nam, Y. J., Lee, T., Lee, S., Park, K., Ryu, J.-G. and Yoon, J. 2010. The suvey on Fusarium head blight (FHB) of cereals grown in 2009. Abstracts Presented at the 2010 KSPP Spring Meeting. 

  26. Zachariasovaa, M., Lacinaa, O., Malachovaa, A., Kostelanskaa, M., Poustkaa, J., Godulab, M. and Hajslovaa, J. 2010. Novel approaches in analysis of Fusarium mycotoxins in cereals employ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nalytica Chimica Acta 662: 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