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식중독 현황 통계 분석으로 살펴본 1인 식중독과 집단 식중독 비교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ood-Borne Outbreaks Two or More Persons and Individual Cases by Using Statistics of Japa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6 no.3, 2011년, pp.248 - 253  

이종경 (한양여자대학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2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에 대해서 식중독 발생건수와 환자수에 대해서 통계집계를 실시하고 있지만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1인 식중독에 대해서는 집계 되고 있지 않다. 실제 발생하는 식중독을 식중독 통계에 근접하게 집계하는 방안의 하나로써 l인 식중독의 비중 및 패턴을 파악하고자 한국과 식이 패턴이 유사한 일본의 통계 (2002-2003)를 이용하여 1인 식중독과 2인 이상 집단식중독을 비교분석 하였다. 아울러 한국의 인구수 대비 식중독 발생 및 보고 비율을 일본과 비교하였다. 일본의 1인 식중독이 전체 식중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발생 건수에서 43.5%이며 발생장소는 장소불명 (90-92.3%)과 가정집 (6.2-8.5%)이 대부분이었다. 일본의 l인 식중독에서 C. jejuni (51.9%), Salmonella spp. (35.3%), V parahaemolyticus (9.5%)가 원인균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한편 2인 이상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은 norovirus (3l.3%), Salmonella spp. (20.8%), C. jejuni (15.5%)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 식중독이 자주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 (46.6-50.1%)과 여관(9.2-9.8%)이었고 1인 식중독보다 주로 집단 식중독에서만 발생한 식중독 원인균은 norovirus, S. aureus, Cl. perfringens, unknown였다. 한국과 일본의 식중독 발생 및 보고 비율은 2002-2009년 통계를 비교한 결과 2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을 기준으로 1:1.5 수준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FDA compiles the statistical data of food poisoning outbreaks two or more persons since 2002 in Korea and release them to the public on the web. There is a gap of outbreak number between the real situation and the reports. To reduce the gap, addition of sporadic individual case of food poisoning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집계되고 있지 않는 산발적인 식중독인 1인 식중독의 비중이 어느 정도에 이를지 일본의 집계 상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본은 1인 식중독을 함께 집계함으로써 식중독 보고는 약 2배 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1인 식중독의 집계로 인하여 C.
  • 산발적인 1인 식중독을 집계한다면 주의할 점은 어떤 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국내에서 향후 1인 식중독의 관리 방법 및 통계 집계에 포함 여부가 필요한지 자료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일본의 식중독 발생 비율을 우리나라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2인 이상의 식중독을 비교하기 용이하게 될 것이다.
  • 이를 통하여 일본의 식중독 발생 비율을 우리나라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2인 이상의 식중독을 비교하기 용이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1인 식중독을 제외한 한국과 일본의 최근(2002-2009년) 식중독 통계 집계 상황에서 인구수 대비 두 나라의 식중독 보고 정도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식중독 보고건수가 일본에 비해서 어떤 수준인지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집계되지 않는 1인 식중독은 전체 식중독에서 과연 어느 비중으로 존재하고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집계된 data가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가장 식이 패턴이 비슷한 국가중 하나인 일본의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2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과 1인 식중독의 비중 및 패턴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1인 식중독이 전체 식중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FDA: Available from http://fm.kfda.go.kr accessed Jul. 27, 2010 (2010). 

  2. 강기정: Available from http://kj21.org/board/bbs/board.php? bo_table0302&wr_id130&page4 accessed Jul. 27, 2010 (2006). 

  3. 한톨신문: Available from http://www.hantol.org/news/service/ article/mess_1.asp?P_Index183 accessed Jul. 27, 2010 (2008).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 intro.jsp. accessed Jul. 27, 2010 (2010). 

  5. CDC: Available from http://www.cdc.gov/foodnet/ accessed Jul. 1, 2010 (1995). 

  6. 시.도 공무원 교육원: 역학 및 전염병 관리: Available from http://www.logodi.go.kr/sub2/s2_2_2.asp accessed Aug. 10, 2011 (2011). 

  7. 박경진: 식품원인질병의 사회적, 경제적 손실비용의 측정 모델개발과 식중독사고에 의한 손실평가 (2001). 

  8. 신호성: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분야의 사회.경제적 손실비용 평가 (2009). 

  9. de Wit, M. A. S., Koopmans, P. G., Korbeek, L. M., Wannet, W. J. B., Vinje, J., van Leusden, F., Bartelds, A. I. M., van Duynhoven, Y. T. H. P.: Sensor,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n Gastroenteritis in the Netherlands: Incidence and Ethiology. Am. J. Epidemiol., 154, 666-674 (2001). 

  10.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Japan: Food Poisoning Statistics, 2009.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 english/topics/foodsafety/poisoning/dl/Food_Poisoning_ Statistics_2009.pdf accessed Aug. 10, 2011 (2009). 

  11. CIA: Available from accessed Jul. 27, 2010. (2010). 

  12. 질병관리본부: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accessed Jul. 27, 2010 (2010). 

  13. Lee, W. C., Sakai, T., Lee, M. J., Hamakawa, M., Lee, S. M., Lee, I. M.: An epidemiological study of food poisoning in Korea and Japan. Int. J. Food Microbiol., 29, 141-148 (1996). 

  14. Toyofuku, H.: Food Safety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 Japan. 아태지역 식품 안전 위해평가 기술 워크샵, 그랜드 힐튼호텔, 10월 5일 서울 2010. (2010). 

  15. 박일규: 식중독 예방 및 관리 정책, 식품안전의 날. 프레스 센터 5월 13일 서울 201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