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사랑채와 현대주거 내 업무공간의 연계성 연구
Research in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arangche of the Chosun Dynasty and Modern Residential Work Space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2 no.5, 2011년, pp.37 - 46  

노진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 ,  최경란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성윤정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ential space has come to maintain a degree of specialization dependent upon the division of space according to function, while roles and functions have either expanded or ceased to exist corresponding to shifts in social values. However, various human behaviors connected to lifestyle habit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전통 주거의 가치관 변화에 따른 공간의 사용 행태와 조선 시대 사대부의 주요 덕목인 봉제사 접빈객을 중심으로 한 주거 생활의 주요 기능을 알아본다. 둘째는 조선 시대 사랑채의 유형, 배치, 기능에 대해 정신적, 사회적, 기능적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조선시대 사랑채의 기능과 사용실태 연구는 과거의 생활행태에 대한 부분으로 연구의 정확성에 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고서(古書)와 사대부의 생활일기를 통해 그 시대의 생활행태를 유추해 보기로 한다.
  • 대한 주택공사 주택연구소가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재택 공간 내에서 또한 ‘작업 및 근무’ 이외에 휴식, 취침, 음악 감상, 식사 등 다양한 행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거 내 업무 공간 역시 단지 업무만이 아닌 함께 동반되어지는 행위들도 함께 만족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때로는 휴식과 재충전의 공간으로 때로는 타인과의 어울림이 가능한 공간으로 재인식 하고자 한다. [Table 8]은 전통 주거공간과 현대주거 공간에서의 공간별 기능을 사랑채와 현대의 업무공간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 내 업무공간이 전통주거의 사랑채 공간의 사용 개념과 비교해 볼 때 삶의 방식과 생활양식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우리선조가 추구하던 마음가짐과 수양, 생활의 기본 신념과는 매우 흡사하다는 전제 아래 현대 주거 내 업무 공간과 사랑채에 대해 정신적, 사회적, 기능적 측면에서의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 지금까지 사랑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지역에 따른 배치와 유형 그리고 공간 구조에 대한 연구로 오늘날의 주거공간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주거 내 업무공간의 기능을 조선시대 사랑채에서 이루어졌던 업무 개념과 연관하여 그 연계성을 보고 현대주거 내 업무공간에서 재고되어야 할 개념과 가치를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전통주거에서 유가사상의 영향에 따른 사랑채의 역할과 기능의 부각을 통해 오늘날 주거 내 업무공간이 지녀야 할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거 내 업무환경은 일을 위한 공간만이 아닌 일과 함께 동반되는 행위를 함께 만족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전통 주거의 가치관 변화에 따른 공간의 사용 행태와 조선 시대 사대부의 주요 덕목인 봉제사 접빈객을 중심으로 한 주거 생활의 주요 기능을 알아본다.
  • 본 연구는 전통주거에서 유가사상의 영향에 따른 사랑채의 역할과 기능의 부각을 통해 오늘날 주거 내 업무공간이 지녀야 할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거 내 업무환경은 일을 위한 공간만이 아닌 일과 함께 동반되는 행위를 함께 만족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화로 인해 현대의 주거공간의 기능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산업화가 되면서 가장은 직장을 갖고 사회로 진출하게 되었고 주거의 관리와 사용은 주부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로 현대 주거공간은 전통 주거공간에서 담당하던 공적인 사회생활의 기능이 점차 축소되었고 가족의 휴식 공간인 사적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다. 가족중심의 주거는 정보화 기능이 도입되면서 재택업무가 가능한 주거공간으로 발전되었다.
조선시대의 접견 공간으로 무엇이 있는가?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주거의 기능 중 접견은 양반 즉 사대부에게 매우 빈번하면서도 중요한 의무였다. 접견 공간으로 가까운 일가친척은 안채를 이용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는 사랑채에서 접견했다.
사랑채의 기본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이는 조선 시대 사대부 남성들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며 역할로써 오늘날로 볼 때 주요 업무라 할 수 있다. 사랑채의 기본 구성 요소는 사랑방과 사랑대청으로 사랑방은 대부분 1-2칸 규모로 공동침실이 되기도 하고, 사적 생활을 위한 방 사이에 장지문을 두어 큰 사랑방, 작은 사랑방으로 구분 하였다. 사랑채의 공간 구성과 각 공간의 기능은 구체적으로 [Table 5]10)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강영환 (2003).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서울: 기문당. 

  2. 노재덕 (1993. 9. 24). 현대건축산책. 경향신문, p.11. 

  3.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9.5). 가사.생활일체및 재택근무형 주택 개발 연구(연구-99-25). 대전: 대한주택공사 

  4. 박기종 (1998. 3) 재택근무를 위한 한국형 아파트계획안. 현대주택. 108-111 

  5. 이규경(2008). 오주연문장전산고1. 파주: 민족문화추진회편. 

  6. 이복규 (2007).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서울: 민속원 

  7. 전남일.손세관.양세화.홍형옥 (2008). 한국 주거의 사회사. 파주: 돌베개 

  8. 전남일.양세화.홍형옥 (2009). 한국 주거의 미시사. 파주: 돌베개 

  9. 정창권 (2003).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서울: 사계절. 

  10. 한미라.전경숙 (2004). 한국인의 생활사. 서울: 일진사. 

  11. Choi, K., Noh, J., & Joung, J. (2007. 8). Direction for the LDK Space Design through Korean domestic living environment. Preceeding of 2007 IASDR, Hong Kong. 

  12. Kim J., & Joo, N. (1996). A study on the process of partition sarang-chae from an-chae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2), 81-89. 

  13. Kim, S., & Chio, K. (2009). A study on "YuSik" space of jung-ja architecture in choso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9), 197- 204. 

  14. Youn, L. (1999).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arang-Chae of the upper-class house in the late Chosun dynasty. Ph.d Thesis. Puson National University. 

  15. Yun, S., & Choi, K, (2003).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Housing Based on Cultural Patterns-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Present. Asia Design International Conference, Vol 1.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