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Social Exclusion of Residents Livng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2 no.5, 2011년, pp.91 - 100  

김미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노세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exclusion of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to provide basic source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social exclusi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ar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기 개발된 사회적 통합ㆍ배제 지표(Kim, Lee, & Noh, 2008)를 이용하여 최저소득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배제의 여러 하위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배제정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 간에 사회적 배제의 하위영역 중 어느 영역이 더 우수하고 어느 영역이 더 부족한 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저소득계층의 거주자가 겪고 있는 사회적 배제의 정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두 주택유형 별 거주자가 느끼는 사회적 배제 수준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 시 주택유형에 따른 사회적 재생기술과 주민지원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기 개발된 사회적 통합ㆍ배제 지표(Kim, Lee, & Noh, 2008)를 이용하여 최저소득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 실태를 조사하여, 최저소득계층을 위해 정책적으로 제공하는 주택 및 주거단지를 사회적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최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개발한 사회적 통합·배제 지표(Kim, Lee, & Noh, 2008)를 근거로 하여 지표에서 제시하고 있는 총 8가지 영역, 즉 소득, 고용, 교육·서비스, 주거, 건강, 가족관계망, 사회적관계망, 문화·규범적 수용을 중심으로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배제란 무엇인가? 사회적 배제의 사전적인 개념을 살펴보면 어떤 대상으로의 진입을 막거나 그 대상과의 교류를 제한한다는 의미로 그 범위는 인간의 사회적, 경제적 활동에서 소득이나 자산, 기술, 교육, 고용 그리고 주거 영역 등 구체적인 범주일 수도 있으며, 시민권 등 법적 평등, 인권과 관련된 인간적 대우 등 추상적인 범주일 수도 있다(Park, 1999). 빈곤과는 달리 일정한 기본적 권리를 부인당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열악한 주거환경이 사회적 배제의 원인 혹은 결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예시는? 즉 열악한 주거환경은 사회적 배제의 원인 혹은 결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택의 취약한 물리적 조건은 거주자에게 건강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 및 부적절한 난방 문제, 화장실 욕실 등의 기본적인 주거설비 미비, 일조·통풍의 불량, 열악한 주변 환경, 취약한 내구성 등의 문제는 거주 문제와 주거비의 가중, 건강의 악화, 사고위험, 가족갈등 및 사회적 관계의 단절 등의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또한 사회적 배제의 다른 차원인 재정 상태, 즉 소득원의 상실, 신용불량 또는 건강악화와 가족해체, 가정폭력 등 가구 내적 요인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및 정책 소외 등 가구 외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거환경 악화는 주거 빈곤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tkinson, A.B., Marlier, E., & Nolan, B. (2004). Indicators and targets for social inclusion in the European Union. Journal of Common Market Studies. 42(1). 47-75. 

  2. Bae, S., Chun, H., Jin, J., Jeon, S., & Kim, S. (2006). The strategies for social integration in urban residential spac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 Jehoel-Gijsbers, G., & Vrooman, C. (2007). Explaining social exclusion. The Netherlands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4. Hong, I., et al. (2005). The actual conditions of housing environmental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5. Kang, S., et al. (2005). A study in social exclusion indicators and their application in social polic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Kim, M., Lee, M., & Noh, S. (2008). The development of social inclusion . exclusion indicators -Focused o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dweller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6), 95-104. 

  7. Kim, M., & Noh, S. (2011). Housing environmental condition and usage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among residents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133-142. 

  8. Kim, S., Kim, S., Kim, S., & Kim, Y. (2002). Residents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9. Lee, M., Kim, M., & Na, H. (2009). A study about social inclusion of permanent rental and lot-sold a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2), 123-138. 

  10. Park, Y. (2007). A Study on the residential condi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projects in Kyungki provinc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1. Park, N. (1999). Effectiveness of welfare-work policy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The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Fall Conference Proceedings, 1-24. 

  12. Seo, S., Kim, J., Jung, K., & Sul, J. (2004). Planning strategies for social mix in national rental housing estates.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13. Sin, M., et al. (2004).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oor In terms of social exclusio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