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지원주택 연구의 흐름과 특성 - 의료복지 데이터베이스의 2009-2016년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
Rec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upportive Housing Research - Focused on 2009-2016 International Research Articles of Medical Service Database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2, 2017년, pp.1 - 12  

박재현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안소미 (백석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dern society, diverse vulnerable population, such as homeless, disabled, elderly and so on, have been prominently appeared with polarization of wealth because of radial biased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 sprawl. Housing acquisition is a difficult problem for the venerable population to ge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지원주택은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인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한국에서도 적지 않은 관심을 모으고 있어서 Tabol, Drebing, & Rosenheck(2010)이 분석한 2008년까지 연구 이후, 지원주택 관련 국제 연구들이 어떠한 흐름과 특성을 지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5) 이러한 연구를 진작시키기 위해서 첫째, 국외의 경우에 지원주택 관련 연구들은 주로 어떤 분야에서 누구를 대상자로 하여 연구되고 있는가, 둘째, 지원주택 연구들은 어떤 목적과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연구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어떠한 연구방법으로 지원주택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넷째, 연구대상 지원주택의 유형과 서비스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뉴욕시에는 지원주택사업 관련 조직들 간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부 지원으로 다수 NGO단체들이 구성되어 주거복지를 도모해왔다. SHNNY는 지원주택을 적절히 공급하고, 지원주택에 대한 공공의 이해와 지원을 증진시키며, 지원주택의 효과를 유지하고 자원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HNNY는 공교육, 연구 및 정책분석, 변호업무, 훈련과 기술적 지원을 지역사회와 공공에 제공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원주택과 관련이 있는 주거분야 이외 본래 지원주택이 출현하였던 정신의학, 심리학, 재활학, 사회복지학 등에서 선정된 국제학술지를 분석하였다. 지원주택이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잡기 위해서 건축학 및 주거학에서 주택과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주택유형이 발전해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하나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차원으로 ‘지원’의 의미를 지니는 주택이 많다.
  • 본 연구에서는 지원주택의 발전과정 기반에서 최근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지원주택은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택을 치유요소로 보는 관점에서, 탈 시설화와 지역사회 융합이라는 거대한 패러다임 변화를 실증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 수집된 자료는 연구내용의 특성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내용분석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원주택에 관한 연구들의 유형이 얼마나 다양하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 유목을 설정하고 정리하였다. 즉, 연구분야, 연구목적, 연구대상자, 연구방법, 서비스프로그램, 주택유형으로 분류하였다[Table 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원주택 관련 최근 국제연구의 특성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연구 특성은 어떤 분야에서 연구되었는지, 어떤 내용들이 연구되었는지, 연구대상자는 누구이고, 연구방법은 무엇이며, 어떤 서비스프로그램이 다루어졌는가이다.
  • 지원주택은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택을 치유요소로 보는 관점에서, 탈 시설화와 지역사회 융합이라는 거대한 패러다임 변화를 실증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연구를 진작시키기 위해서 현시점에서 선행연구의 노력과 제반측면을 보고자하였다.
  • 초고령·저출산·저성장 사회로 진전함에 따라 주거복지 문제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는 한국에서 지원주택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원주택은 국제사회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발전하고 있는데 그간 학계의 노력과 관심이 어떻게 새로운 지식기반 형성에 기여해왔는지 본 연구에서 논하였다. 지원주택은 생소한 개념일 수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상황에 적절한 지원주택의 개발방향과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본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지원주택은 국제사회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발전하고 있는데 그간 학계의 노력과 관심이 어떻게 새로운 지식기반 형성에 기여해왔는지 본 연구에서 논하였다. 지원주택은 생소한 개념일 수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상황에 적절한 지원주택의 개발방향과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본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둘째, 연구 흐름이란 연구에서 나타나는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의미한다. 지원주택은 주택과 서비스를 통합하는 특성으로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접근할 수 있으나 그 태동은 의료복지 분야이므로 이 분야에서의 비전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을 위한 한국적 주거대안 마련에 앞서 지원주택에 대한 기본적 이해의 틀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한국 고유의 사회문화적 상황에 적절한 지원주택 개발방향 설정에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본 연구는 기존 자료들의 내용을 2차적으로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지원주택이 미미하고 요원한 한국의 상황에서 국제적인 연구들을 분석하여 무엇이 중점으로 흘러가는지, 무엇이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어떻게 주택이 다른 영역과 만나서 진화해 갈 것인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총체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맥락에서 그 방향을 바꾼 선주거지원정책의 윤리적인 접근은 이후 노숙생활 종결과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 Park, 2015). 지원주택이 현실적으로 가능하였던 것은 미국 Section 8 주거법이 있었기 때문인데 이는 연방정부의 가장 큰 프로그램으로서 주 대상인 저소득층에게 안전하고 양질의 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점차 과거 획일적이고 비효율적인 임대주택공급방식에서 벗 어나 수요자중심 주거지원 방식으로 개선되며 시행되어 왔다.
  • 초고령·저출산·저성장 사회로 진전함에 따라 주거복지 문제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는 한국에서 지원주택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빈곤 계층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노숙인,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하는 이러한 취약계층은 주거의 획득이 어려운 주거 빈곤 계층으로서, 우리사회에서 이들을 위한 적합한 주거 대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주거빈곤 계층은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함으로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없고, 불안정한 사회에서 잠재적인 위험집단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이들을 위한 정부의 주거정책은 취약계층의 보호는 물론 사회안정화를 위해서 필수적이다.
미국의 주거복지 제도 중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 한편, 사회취약계층의 인권 증진과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한 노력이 한국보다 앞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에서는 주거빈곤에 대응하는 주거복지 제도들이 선시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도는 지원주택(Supportive Housing) 모델이며, 적지 않은 기간동안 꾸준히 실험되고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지원주택 모델은 취약계층을 위한 ‘선주거지원(Housing First)’정책에서 시작되었는데, 사회적 약자에게 주택을 먼저 제공하여 삶을 안정화시킨 다음, 거주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원리이다.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도시의 확장으로 발생한 문제점은?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도시의 확장으로 인하여 빈부격차, 양극화 현상이 가속화 되었고,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부각되게 되었다. 노숙인,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하는 이러한 취약계층은 주거의 획득이 어려운 주거 빈곤 계층으로서, 우리사회에서 이들을 위한 적합한 주거 대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derson, G. (2016). What makes supportive relationships supportive? the social climate in supported housing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14(5), 509-529. 

  2. Bassuk, E., DeCandia, C., Tsertsvadze, A., & Richard, M. (2014).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interventions and housing and service interventions on ending family homelessnes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4(5), 457-474. 

  3. Bengtsson-Tops, A., Ericsson, U., & Ehliasson, K. (2014). Living in supportive housing for people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 paradoxical everyday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3, 409-418. 

  4. Brolin, R., Brunt, D., Rask, M., Syre, S., & Sandgren, A. (2016). Striving for meaning life in supported housing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11, 1-9. 

  5. Bruce, M., Crowley, S., Jeffcote, N., & Coulston, B. (2014). Community DSPD pilot services in south London: Rates of reconviction and impact of supported housing on reducing recidivism. Criminal Behaviour and Mental Health, 24, 129-140. 

  6. Brunt, D., & Rask, M. (2012). A suggested revision of the community oriented program environmental scale (COPES) for measuring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of supported housing facilities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Mental Health Nursing, 33, 24-31. 

  7. Collard, C., Lewinson, T., & Watkins, K. (2014). Supportive housing: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reducing relapse among low income adults in addiction recovery. Journal of Evidence-Based Social Work, 11, 468-479. 

  8. Dickson-Gomez, J., McAuliffe, T., Obidoa, C., Quinn, K., & Weeks, 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subsidies and supportive housing on neighborhood distress and housing satisfaction: does drug use make a difference?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2016, 11-20. 

  9. Edens, E., Tsai, J., & Rosenheck, R. (2014). Does stimulant use impair housing outcomes in low demand supportive housing for chronically homeless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23, 243-248. 

  10. Gewirtz, A., DeGarmo, D., Plowman, E., August, G., & Realmuto, G. (2009). Parenting, parental mental health, and child functioning in families residing in supportive housing.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9(3), 336-347. 

  11. Gewirtz, A., DeGarmo, D., Lee, S., Morrel, N., & August, G. (2015). Two-year outcomes of the early risers prevention trial with formerly homeless families residing in supportive hous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9(2), 242-252. 

  12. Heer-Wunderink, C., Visser, E., Caro-Nienhuis, A., Sytema, S., & Wiersma, D. (2012). Supported housing and supported independent living in the Netherlands, with a comparison with England.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8, 321-327. 

  13. Henwood, B., Katz, M. & Gilmer, T. (2015). Aging in place within permanent supportive hou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0, 80-87. 

  14. Henwood, B., Stanhope, V., Brawer, R., Weinstein, L., Lawson, J.,... Crossan, C. (2013). Addressing chronic disease within supportive housing programs. Progress in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Research, Education, and Action, 7(1), 67-75. 

  15. Hwang, S., Gogosis, E., Chambers, C., Dunn, J., Hoch, J., & Aubry, T. (2011).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residential stability, substance use, and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adults applying to a supportive housing program.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88(6), 1076-1090. 

  16. Lee, T. J. (2002). A strategic proposal of assistance programs for homeless in Korea. Proceeding of healthcare and welfare Forum.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6-18. 

  17. Lee, Y. S., Ko, J. Y., & Park, J. H. (2015).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rental housing ‘Manhattan Plaza’ for socially vulnerable people in New York.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4), 33-44. 

  18. Lee, Y. S., & Park, J. H. (2015). A field study of supportive housing ‘the Christopher’ in New York, US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1), 19-30. 

  19. Levitt, A., Mueser, K., DeGenova, J., Lorenzo, J.,... Chernick, M. (2009). Randomized controlled trail of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in multiple-unit supportive housing. Psychiatric Services, 60(12), 1629-1636. 

  20. Levitt, A., Jost, J., Mergl, K., Hannigan, A., DeGenova, J., & Chung, S. (2012). Impact of chronically street homeless tenants in congregate supportive housing.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2(3), 413-420. 

  21. Nam, K. C. (2011). Social welfare and housing service for the homeless in Korea.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31), 121-159. 

  22. Nordentoft, M., Pedersen, M. Pedersen, C., Blinkenberg, S., & Mortensen, P. (2012). The new asylums in the community: Severely ill psychiatric patients living in psychiatric supported housing facilities. A Danish register-based study of prognostic factors, use of psychiatric services, and mortality. Soc Psychiatry Psychiatric Epidemical, 47, 1251- 1261. 

  23. O'brien A., & Farrell, S. (2009). Community Treatment Orders: Beyond hospital utilization rates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community treatment orders with community engagement and supportive housing.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5, 415-419. 

  24. O'Connell, M., Kasprow, W., & Rosenheck, R. (2010). National dissemination of supported housing in the VA: Model adherence versus model modification.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33(4), 308-319. 

  25. O'Connell, M., Kasprow, w., & Rosenheck, R. (2012). Differential impact of supported housing on selected subgroups of homeless veterans with substance abuse histories. Psychiatric Services, 63(12), 1195-1205. 

  26. Park, J. H., & Lee, Y. S. (2016). Comparative analysis of four supportive housing cases developed from policies in USA. Proceeding of Spring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9(15), 176. 

  27. Rieke, K., Smolsky, A., Bock, E., Erkes, L., Porterfield, E. & Watanabe-Galloway, S. (2015). Mental and nonmental health hospital admissions among chronically homeless adults before and after supportive housing placement.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30, 496-503. 

  28. Robbins, P., Callahan, L. & Monahan J. (2009). Perceived coercion to treatment and housing satisfaction in housingfirst and supportive housing programs. Psychiatric Services, 60(9), 1251-1253. 

  29. Salem, L., Crocker, A., Charette, Y., Seto, M., Nicholls, T., & Cote, G. (2015). Supportive housing and forensic patient outcomes. Law and Human Behavior, 39(3), 311-320. 

  30. Seo, J. G. (2009). Review for housing support service introduction. Citizen Housing Welfare Forum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05-125. 

  31. Seo, J. G. (2011). Housing support service. Urbanity and Poverty, 90(0), 173-183. 

  32. Seo, J. G. (2014). Study for introducing and expansion of supportive housing. Korea City and Environment Research 'City and Poverty', 104(0), 72-97. 

  33. Srebnik, D., Connor, T., & Sylla, L. (2013). A pilot study of the impact of housing first-supported housing for intensive users of medical hospitalization and sobering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3(2), 316-321. 

  34. Tabol C., Drebing C., & Rosenheck R. (2010). Studies of 'Supported' and 'Supportive' hous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model descriptions and measurement.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33(2010), 446-456. 

  35. Townley, G., & Kloos, B. (2011). Examining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for individual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residing in supported housing environment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7, 436-446. 

  36. Tsai, J., Kasprow, W., & Rosenheck, R. (2014). Alcohol and drug use disorders among homeless veteran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supported housing outcomes. Addictive Behaviors, 39(2014), 455-460. 

  37. Tsai, J., O’Connell, M., Kasprow, W., & Rosenheck, R. (2011). Development-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supportive housing program of 1990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Development, 48(7), 755-7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